반응형

 

 

코로나19 난리 통에 그리스 최대 난민캠프 전소

연합뉴스

 

 

코로나19 난리 통에 그리스 최대 난민캠프 전소 | 연합뉴스

코로나19 난리 통에 그리스 최대 난민캠프 전소, 홍준석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09-09 19:04)

www.yna.co.kr

 

과밀 문제로 악명높은 그리스 최대 규모의 난민수용시설이 사실상 전소됐다.

 

8일(현지시간) 밤 그리스 레스보스섬에 있는 난민캠프 '모리아'에서 불이 나 이곳에 머무르던 난민 1만2천여명이 피신했다고 AFP통신 등이 9일 보도했다.

광고

화재는 그리스 이민부 장관이 모라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35명이 나왔다고 발표한 뒤 자가격리될 예정이었던 난민들이 소요를 일으키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발생했다고 현지 언론들은 전했다.

 

한편 모리아에는 최대 수용인구인 2천757명의 4배를 넘는 1만2천600여명의 이주민이 머무르고 있다

 

 

Moria migrants: Fire destroys Greece's camp on Lesbos

BBC NEWS

 

 

Moria migrants: Fire destroys Greece's camp on Lesbos

Nearly 13,000 migrants lived at the camp on the island of Lesbos - four times the number it can hold.

www.bbc.com

 

Fire has destroyed Greece's largest migrant camp, the overcrowded Moria facility on the island of Lesbos.

 

Some locals reportedly attacked and prevented migrants from passing through a nearby village after they fled the flames.

 

A statement issued by UNHCR, the UN refugee agency, said it was aware of "tensions" between nearby townsfolk and the migrants.

In April,Human Rights Watch said the Greek authorities had not done enough to tackle "acute overcrowding"at the site, warning it was not prepared for an outbreak of coronavirus.

 

 

Moria 이주민: Lesbos에 있는 그리스 난민캠프를 파괴시킨 화재

 

이번 화재로 그리스 최대 이주 캠프인 레스보스 섬의 포화 상태인 모리아 시설이 파괴됐다.

 

이주민들이 대피(evacuated)하면서 엔진 10개를 단 25여명의 소방관들이 불길과 싸웠다. 일부는 연기 노출로 부상을 입었다.

화재가 어떻게 시작됐는지는 불분명하며 일부는 이주민을 비난하고 일부는 그리스 현지인을 비난하고 있다.

 

경찰은 대피하는(fleeing) 이주민들이 인근 마을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캠프에서 이어지는 도로를 차단했다(cordoned off).

 

cordon something off

1.저지선을 치다, (비상 경계선을 치고) 사람들의 출입을 통제하다

Policecordonedoffthe area until the bomb was made safe.

폭발 위험이 없어질 때까지 경찰이 그 지역에 저지선을 쳤다.

 

fleeing

1.도망치는

flee(fleeing)[fliː]

Verb

1.달아나다, 도망하다

[V] a camp for refugeesfleeingfrom the war

그 전쟁을 피해 도망 온 난민들을 위한 수용소

 

현재 수천 명이 숙소를 찾지 못하고 있으며 당국은 이들을 대피소로 찾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정부는 나흘간의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하이코 마스 독일 외무장관은 이번 화재(blaze)를 '인도주의적 재앙'이라고 칭하며 트위터를 통해 "EU 입국(admission)을 기꺼이 받아들이려는 사람들 가운데 난민들이 분포(distribution)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부 현지인들은 이주민들이 불길을 피해 달아난 뒤 인근 마을을 지나가지 못하도록 공격해 막은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난민기구인 유엔난민기구가 발표한 성명에서 인근 마을 주민들과 이주민들 사이의 "긴장"을 일고 있다고 밝혔다.

 

townsfolk[táunzfòuk]

Noun

1.pl. = TOWNSPEOPLE

"우리는 모두 자제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하고, 캠프에 있었던 모든 사람들은 "일시적인 해결책이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이동을 제한하고 [현장] 근처에 머물도록 하라"고 요청했다."

 

모리아에는 공식 수용 인원의 4배가 넘는 13,000명 가까운 사람들이 살고 있다. InfoMigrants에 따르면, 캠프의 약 70%가 아프가니스탄 출신이지만, 70개 이상의 다른 나라에서 온 이주민들이 그곳에 살고 있다고 한다.

모리아한테 무슨 일이 있었나?

 

콘스탄티노스 테오필로풀로스 소방국장은 ERT TV 채널에 "짧은 시간 동안 3곳 이상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시위하는 이주자들이 화재를 진압(tackle)하려는 소방관들을 방해(hindered)했다고 그는 말했다.

 

be hindered[impeded, prevented, interrupted]

1.지장이 있다

 

테오필로풀로스 씨는 현장에서 일부 컨테이너 안에서 여전히 작은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지만 주요 화재는 수요일 아침까지 진압되었다.

 

한 지역 주민은 BBC에 거의 모든 캠프에 불이 붙었다고 말했다.

 

타나시스 볼가라키스는 "이제 처음 빛을 비추면 텐트가 몇 개 있어 괜찮지만, 이 거리에서 볼 수 있듯이 나머지 부분은 모두 타버렸다"고 말했다.

보도에 따르면, 레스보스 부지사 아리스 하츠코몬노스는 지역 라디오 방송에서 캠프가 "완전히 파괴되었다"고 말했다. 키리아코스 미토타키스 그리스 총리는 16일 오전 화재와 관련해 긴급회의를 소집했으며, 현재 여러 장관들이 상황을 평가(assess)하기 위해 레스보스로 향하고 있다.

 

assess[əˈses]

Verb

1.(특성·자질 등을) 재다

[VN] It’s difficult toassessthe effects of these changes.

이들 변화의 영향을 가늠하기는 어렵다.

2.(가치·양을) 평가하다

They haveassessedthe amount of compensation to be paid.

그들이 지불해야 할 보상액을 사정했다.

 

© Capri23auto, 출처 Pixabay

 

EU는 그 대응을 돕겠다고 제의했다. 마르가르티스 스키나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부위원장은 미토타키스 씨와 통화한 적이 있으며 "이 같은 어려운 시기에는 모든 수준에서 그리스를 직접 지원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엘바 요한슨 EU 내무장관은 미동반(unaccompanied)청소년과 어린이 400명을 본토와 숙소로 이송하는 데 자금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녀는 트위터에 "모리아에 있는 모든 사람들의 안전과 은신처가 우선"이라고 적었다.

광고

당국은 지난 주 소말리아 이주자가 코로나바이러스 양성반응을 보인 후 이 캠프를 격리시켰다. 현재 확인된 환자는 35명이다.

 

화재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정확히 어떻게 불이 시작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그리스 통신사 ANA는 35명 중 일부가 가족과 격리(isolation)수용을 거부한(refused)후 화재가 발생했다고 밝혔으나 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레스보스의 다른 곳에서는 산불이 번지고 있으며, 이 지역의 강풍에 의해 부채질되고 있다.

 

미할리스 프라체스코스 시민보호부시장은 ERT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화재는 "예비된 것(premeditated)"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주민 텐트가 비어있었으며 방화범(arsonist)들은 "강풍을 이용했다"고 말했다.

 

premeditated[ˌpriːˈmedɪteɪtɪd]

ADJ.

1.사전에 계획된, 계획적인

apremeditatedattack

사전에 계획된 공격 행위

 

그러나 일부 이주민들은 BBC 페르시안에게 난민촌에서 그리스군과 그리스군 사이에 난투극을 벌인 후 화재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몇몇은 코로나바이러스 사건 발표 후 "극우 그리스인"의 화재를 비난했고,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사용된 통조림(canister)이라고 말한 것을 사진으로 찍었다.

 

scuffle[ˈskʌfl]

Noun

1.실랑이, 옥신각신함

Scuffles broke outbetween police and demonstrators.

경찰과 시위자들 사이에 실랑이가 벌어졌다.

Verb

1.실랑이를 벌이다, 옥신각신하다

Shescuffledwith photographers as she left her hotel.

그녀는 호텔을 나서다가 사진 기자들과 실랑이를 벌였다.

2.휙 움직이다

Some animal wasscufflingin the bushes.

덤불 속에서 어떤 동물이 휙 지나가고 있었다.

정부 대변인은 방화(arson)에 대한 보고가 조사 중이며 섬 전역에 비상사태가 선포될 것이라고 말했다.

 

메데킨스 산프르티에르(MSF)의 레스보스 프로젝트 공동주관(co-ordinator)인 마르코 산드론은 BBC 월드 서비스와의 인터뷰에서 캠프에서 몇 개의 다른 화재와 시위가 발생하면서 이번 산불의 원인이 무엇인지 밝히기 힘들다고 말했다.

 

그는 "마침내 폭발한 시한폭탄(time bomb)"이라며 "몇 년 전부터 현장에서 사람들이 '비인권적 상태'로 갇혀 있었다"고 덧붙였다.

 

소지품을 소지한 이주민들은 미틸렌 항구의 항구도시로 들어가는 것이 차단되었다. 보도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화재 이후 들판에서 잠을 잤다고 한다.

 

이 마을의 시장은 지역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외부에 있는 사람들 중에는 코로나바이러스 양성 환자가 포함될 것이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마노스 로고테티스 그리스 이민부 장관은 ANA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모리아에서의 재난은 총체적"이라며 "현장으로 향하고 있다"고 밝혔다.

어떤 캠프인가?

 

모리아 난민 캠프는 레스보스의 수도인 미틸렌의 북동쪽에 위치해 있다.

 

그것은 단지 2,000명을 위해 지어졌지만 엄청난 수의 난민들에게 압도되어 왔다. 카라 테페 난민 캠프라는 오버플로우 현장이 그 이후로 지어졌지만, 여전히 모든 입국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없다.

 

수 년 동안 레스보스에 도착한 수천 명의 사람들이 수용소에 수용되어 그들의 망명(asylum)신청이 본토에서 처리될 때까지 떠나지 못했는데, 이것은 느리고 관료적인(bureaucratic)과정이다.

 

EU는 다른 회원국들 사이에서 이주민들을 재정착(resettle)하려고 노력해왔다. 그러나 전 지역에 걸쳐 정부들은 서로 다른 제안들을 거부해 왔고, 이주민들은 지저분한(squalid)환경에서 기다렸다.

 

squalid[ˈskwɑːlɪd]

ADJ.

1.지저분한, 불결한

squalidhousing

지저분한 주택

2.추잡한, 지저분한

It was a squalidaffair involving prostitutes and drugs.

그것은 매춘부와 마약이 관련된 추잡한 사건이었다.

 

인권단체들은 현장의 열악한 환경을 거듭 공격해 왔다.

 

지난 4월 휴먼라이츠워치는 그리스 당국이 현지의 '급격한 과밀화(acute overcrowding)'를 막기 위해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밝히며 코로나바이러스 발생에 대비하지 않았다고 경고했다.

 

그리스 정부는 그리스 섬에 이주민을 수용하기 위해 폐쇄적인(closed detention) 수용소를 건설할 계획이다. 지난 2월 레스보스 시위대는 건설장비를 가져온 당국자들을 공격했다.

detention[dɪˈtenʃn]

Noun

1.(특히 유치장·교도소에서의) 구금

a sentence of 12 months’ detentionin a young offender institution

소년원 구류 12개월 형 선고

2.(학생에 대한 벌로서) 방과 후 남게 하기

They can’t give me (a) detentionfor this.

이것 때문에 날 방과 후에 남으라고 하지는 못할 걸.

 

 

 

반응형
반응형

기로에 선 화웨이 스마트폰 사업... 11월에 운명 갈린다

조선비즈

 

 

기로에 선 화웨이 스마트폰 사업... 11월에 운명 갈린다

11월 美 대선 바이든 민주당 후보 대통령 선출시 규제완화 가능성 제기중국 화웨이의 스마트폰 사업이 기로에 섰다.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전쟁의 핵..

biz.chosun.com

 

중국 화웨이의 스마트폰 사업이 기로에 섰다.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전쟁의 핵심인 화웨이에 대한 규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오는 11월 미국 대선 결과에 화웨이의 운명이 달렸다는 분석마저 나온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지난 17일(현지시각) 전 세계 21개국의 38개 화웨이 계열사를 거래 제한 블랙리스트에 추가시켰다.

 

화웨이는 올 2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전 세계 반중 정서 등 악재로 수출은 줄었지만, 애국소비로 인한 내수 판매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광고

화웨이가 다시 살아날 기회는 있다. 바로 오는 11월 미국 대선이다. CNBC는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11월 미국 대선에서 조 바이든 후보(전 부통령)가 당선되면,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했던 화웨이와 관련한 규제들이 완화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Huawei's smartphone business is at a crossroads... Destiny will be decided in November.

 

China's Huawei's smartphone business is at a crossroads. This is because the U.S. is tightening regulations on Huawei, the core of its trade war with China. Some analysts say that Huawei's fate depends on the outcome of the upcoming U.S. presidential election in November.

 

According to Reuters, the U.S. Department of Commerce added 38 Huawei affiliates from 21 countries on the 17th (local time) to the blacklist of restrictions on transactions. blacklisted U.S. software and technology will not be available for products and components(부품)). As a result, the number of Huawei's affiliates(계열사) on the U.S. list has increased to 152 in total. In addition, four assembly facilities of Huawei were also included in the transaction restriction list.

 

affiliate

Verb

1.(더 큰 회사기관 등과) 제휴하다

The hospital isaffiliatedwith the local university.

그 병원은 지역 대학과 제휴하고 있다.

2.가입하다, 연계되다

[VN] The majority of people questionedaffiliatedthemselves with a religious group.

설문에 응한 사람들 대부분이 종교 단체에 가입해 있었다.[also V

Noun

1.계열(회)사

Recently, Huawei announced that it will give up production of its own communication chip called 'Kirin' that will be used for Smartphones. This is because the U.S. government has decided to have Taiwan's TSMC, a Taiwanese semiconductor(반도체) consignment(위탁) production company cut ties with Huawei. However, the U.S. government is tightening Huawei even more. The U.S. has completely blocked the purchase of mass-produced APs (application processors) in Taiwan and other countries due to the U.S. additional regulations.

 

U.S.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ii said on his Twitter account that "Huwait has directly dealt a blow to Huawei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more strongly limiting its acquisition of U.S. technology, violating network safety and Americans' personal information around the world."

◇Huwai can't even apply AP to OS...Domestic market is also

 

If Huawei fails to supply the latest AP stably when even Google's Android OS cannot be used, it will have to end its smartphone business. It is heard that SMIC, which is a Chinese semiconductor foundry company, is having difficulty producing APs for 5G due to lack of technical skills. For Huawei, there is no clear plan to secure supply of parts in the futur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U.S. will tighten regulations even if new methods are found.

 

Nicole Peng, vice president of mobility at market research firm Canalys, recently said in an interview with CNBC, "The Huawei (smartphone business) will survive by this year, but the next two years will be very difficult."

Huawei overtook(제치다) Samsung Electronics in the global smartphone market in the second quarter of this year. Exports declined due to unfavorable factors such as anti-China sentiment(정세) around the world, but domestic sales increased due to patriotic(애국) consumption. In fact, percentage of Huawei's total smartphone sales has increased from 60% last year to 70% this year. However, if there is a problem in production of products in the future, other Chinese companies such as Oppo and Xiaomi will be given the top spot in domestic market.

 

patriotic[ˌpeɪtriˈɑːtɪk]

ADJ.

1.애국적인

apatrioticman who served his country well

자기 국가에 충실히 봉사한 애국적인 남자

◇Joe Biden... Will Huawei be a 'save pitcher(투수)' or a 'hopeful torture'?

 

There is a chance for Huawei to come back to life. It is the upcoming U.S. presidential election in November. In an interview with experts, CNBC predicted that if candidate Joe Biden (former vice president) is elected in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in November, regulations related to Huawei, which President Trump had previously pushed for, are likely to be eased(완화되다).

 

Avishur Prakash, a geopolitics expert at the Center for Future Innovation (CIF), a Canadian consulting firm, said, "The Biden camp may propose that Huawei withdraw(철회) its ban on supplying products for U.S. companies, including Qualcomm."

 

withdraw[wɪðˈdrɔː;wɪθˈd-]

Verb

1.(뒤로) 물러나다, 철수하다; 빼내다, 철수시키다

[V] Government troops were forced towithdraw.

정부군은 어쩔 수 없이 철수해야 했다.

2.(제공 등을) 중단하다

Workers have threatened towithdrawtheir labour.

근로자들이 노동을 중단하겠다고[파업에 들어가겠다고] 협박해 왔다.

3.(활동·조직에서) 탈퇴하다; 탈퇴시키다

[V] There have been calls for Britain towithdrawfrom the EU.

영국이 유럽연합에서 탈퇴해야 한다는 요구들이 있어 왔다.

"(Biden) prevents Huawei from producing its own chips as it does now, but Qualcomm's supply of existing AP (application processors equivalent to smart phone brains) is acceptable," said Neil Moston, an analyst at Strategy Analytics.

 

On the other hand, some predict that the Trump administration's anti-China policy could be maintained or strengthened even if Biden becomes president.

 

At a time when relations with China have entered the Cold War,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t is too late to turn China's relations back to the past. In particular, Biden's camp is already shifting from free trade to strengthening protectionism in line with mainstream forces in the Democratic Party.

Professor Sam Zhao of Denver University, an expert on U.S.-China relations, said in an interview with NPR, "The Republican Party as well as the Democratic Party have antipathy(반감) toward China, so we cannot go back to the same relationship as the past."

 

 

삼성전자·SK하이닉스, 美 추가제재에 화웨이 반도체 납품 중단

美 상무부 화웨이 추가제재안 15일 발효당초엔 메모리 포함 여부 불명확… "모든 반도체 제재 대상으로 결론"반도체 구매 세계 3위 큰손 화웨이 ..

biz.chosun.com

 

美 상무부 화웨이 추가제재안 15일 발효

당초엔 메모리 포함 여부 불명확… "모든 반도체 제재 대상으로 결론"

반도체 구매 세계 3위 큰손 화웨이 구매 중단 반도체 업계 실적 타격 우려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미국 상무부 제재안에 따라 오는 15일부터 화웨이에 반도체 공급을 중단한다. 메모리는 물론 5세대(G)·모바일AP 등 시스템 반도체까지 공급이 불가능해질 전망이다

광고

오는 15일 이후 화웨이와 거래하기 위해선 미 상무부 승인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미국 정부가 ‘화웨이 죽이기’를 선언한 만큼, 국내 기업들은 승인 요청을 보내기를 꺼려하고 있다. 미국의 심기를 건드리는 대신 화웨이와 거래 중단을 선택한 셈이다.

 

반응형
반응형

 

 

금융시장

 

금융시장은 경제주체 간에 자금을 중개할 수 있게 해주며, 나라 경제의 저축과 투자를 중개하는 역할을 한다. 은행과 저축은행 등 금융회사들은 국제결제은행이 규정한 자기자본을 일정비율 이상 유지해야 한다. 이를 자기자본비율(BIS 비율)이라고 하는데, 보통 BIS 비율 8% 이상을 유지하도록 권고하고있다. 한편 자본시장이 발달하면 기업의 은행 차입 의존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채권시장이나 주식시장이 발달해 은행 차입 외에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수단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국세와 지방세

 

세금은 과세권 주체에 따라 국세와 지방세로 나뉜다. 국세는 국가가 행정 서비스 등 국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국민에게 부과 징수하는 조세다.지방자치단체가 부과 징수하는 지방세와 대비된다. 국세는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상속세, 주세, 종합부동산세등이 있다. 납세자와 담세자의 일치 여부에 따라 직접세와 간접세로 나뉜다.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종합부동산세는 직접세고 주세, 부가가치세는 간접세다. 지방세는 취득세, 주민세, 재산세, 자동차세등이 있다. 지방세는 용도를 지정하지 않고 일반 경비에 충당하는 보통세와 특정한 경비에 충당하는 목적세로 나뉜다. 어떤 조세를 국세로 하고 지방세로 할 것인지의 명확한 기준은 없다. 다만 일반적으로 세원 규모가 크고 전국적인 것은 국세, 규모가 비교적 작고 지방에 보편적으로 산재한 것은 지방세 대상으로 하고 있다.

 

 

루이스 전환점

 

루이스 전환점(Lewisian turning point)은 개발도상국이 산업화 초기에 농촌의 값싼 인력이 도시의 산업 분야로 유입되면서 급속한 경제 발전을 이루지만 일정 시점에 이르면 임금 인상과 저임금 근로자의 고갈로 경제 성장세가 꺾이는 현상을 뜻한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아서 루이스가 제기한 개념으로 루이스 전환점에 이르면 인력 수요·공급 간 불일치로 인해 노동자 임금이 급등하면서 ‘고비용-저효율’ 구조로 바뀌는 게 전형적 패턴이다.

 

J커브란 환율 변동과 무역수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다. 전략적 변곡점은 기업의 생존과 번영에 있어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특정 시기를 일컫는 말이다. 따라잡기 효과(catch-up effect)는 자본이 동일하게 일정량 늘어났을 때 후진국이 선진국에 비해 성장률이 높은 현상을 말한다.

 

 

GDP 지표의 한계

 

GDP는 대표적인 경제 지표이지만 계산상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먼저 시장을 통하지 않고 거래되는 재화나 서비스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정주부의 가사노동 등은 GDP에 계산되지 않는다. 또한 GDP는 그 나라의 환경, 근로 시간, 여가 등과 같은 삶의 질을 제대로 알려주지 못하고, 총량 개념이기 때문에 그 나라의 소득 분배나 빈부 격차를 알려주지 못한다. 각 나라의 경제적 규모를 알 수 있을 뿐이다. 이 때문에 한국은행은 GDP 통계의 신뢰성이 하락하고 있다며 새 지표의 개발 필요성을 밝히기도 했다.

 

 

한국은행의 최우선 정책목표

 

한국은행법 제1조 제1항은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통해 물가안정을 도모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동 법의 목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은행의 최우선 목표는 물가를 안정시키는 일이다. 물가안정을 위해 한은은 물가목표치를 미리 제시하고 이에 맞춰 통화정책을 수행한다. 이를 물가안정목표제라고 한다.

 

 

한은이 정하고 있는 올해 물가목표는 소비자물가상승률 2%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목표(2%)에서 0.5%포인트 이상 하락하거나 상승한 상태가 6개월 이상 지속하면 한은은 그 배경을 설명한다. 올 들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5% 이하로 6개월 이상 지속하자 한은은 국제 유가 하락 등 대외 변수 때문으로 물가상승률만 보고 통화량을 조절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본인-대리인 관계

 

본인-대리인 관계에서 도덕적 해이 문제는 정보의 비대칭 때문에 발생한다. 대리인과 사용자가 가진 정보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본인이 대리인의 행동을 관찰할 수 없고 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리인이 본인의 입장에서 보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는 것이다. 대표적 예로는 주주와 경영자, 국민과 정치인, 사장과 종업원 등이다. 이 문제의 해결책으로는 대리인의 감시감독 강화 및 인센티브(스톡옵션, 성과급) 지급이 자주 거론된다

 

효율성 임금이론

 

효율성 임금이론은 시장균형 임금보다 높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보는 이론이다. 생산성이 임금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임금이 생산성을 결정한다고 본다. 근로자에게 높은 임금을 지급하면 이직률이 낮아지고, 근로 열의가 높아지며, 우수한 근로자를 채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노동 고용량 변화로 인한 노동 생산성 변화는 효율성 임금이론과는 관련성이 없다.

 

 

마이너스금리

 

마이너스 금리는 예금하거나 채권을 살 때 그 대가로 이자를 받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보관료 개념의 수수료를 내는 것을 뜻한다. 주로 시중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하는 자금에 적용된다. 시중은행의 적극적인 대출을 유도해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정책이다. 유럽중앙은행(ECB), 스위스, 스웨덴, 덴마크 등 유럽 외에 일본이 지난 1월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했다. 하지만 마이너스 금리 정책의 효과에 대해선 논쟁이 여전하다.

 

 

공유지의 비극

 

공유지의 비극은 공유지와 같은 공유 자원은 소유권이 설정돼 있지 않기 때문에 과다하게 사용해 고갈된다는 내용이다. 예를 들어 초원이 공유지라면 양이나 소를 키우는 사람들이 자신의 가축이 그 초원의 풀을 마구잡이로 뜯어 먹어 초원이 폐허로 변할 우려가 크다. 이런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유재산권 확립이 중요하다. 공유지를 분할해주면 자신의 목초지가 허용하는 만큼 방목할 것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좋은 결과를 낳는다는 것이다. 공유지의 비극은 인간이 누구나 자기의 이익을 앞세우는 이기적인 존재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디플레이션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는 반대로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이다. 물가가 하락하면 좋은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물가가 하락한다는 것은 화폐 가치가 상승한다는 뜻이다. 돈의 가치가 오르면 소비 매력이 떨어진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실물경제 규모 대비 적은 통화 공급등이 있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생산이 감소하고, 실업이 늘어나는 등 경제활동이 침체된다. 중앙은행이 통화 공급을 확대하면 단기적으로는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날 수도 있다. 한편 디플레이션 시대에는 화폐를 보유한 사람이 실물자산을 보유한 사람보다 유리해진다.

 

 

관세

 

커피에 관세를 부과하면 커피 공급이 감소한다. 커피의 공급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거래량은 감소하며 가격은 상승한다. 보완재는 두 재화를 동시에 소비할 때 효용이 증가하는 재화로 어느 한쪽의 수요가 증가(감소)하면 다른 한쪽의 수요도 증가(감소)한다. 커피와 완전 보완재 관계에 있는 설탕은 커피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가 감소한다. 이 경우 설탕 수요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해 설탕 가격과 거래량 모두 하락한다.

 

 

지니계수

 

문제에서 지니계수가 작년보다 낮아졌다고 했으므로 소득분배가 평등해진 것이다. 이는 로렌츠곡선이 45도선에 가까워진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10분위 분배율은 작년보다 커져야 한다. 한편 노동소득분배율은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는데 이를 통해 계층 간 소득 격차는 파악하기 어렵다.

 

수요와 탄력성

 

택시 요금이 올랐는데도 택시 회사의 총수입(가격×수량)은 오히려 감소했다.가격 변화율보다 수요 변화율이 더 컸기 때문에 택시 회사의 총수입은 오히려 감소한 것이다. 택시 요금이 올라 버스, 지하철을 타거나 아예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않고 자가용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택시를 타는 횟수를 많이 줄인 것이다. 이 경우 택시 탑승 수요는 가격에 대해 탄력적이라고 한다.

 

 

가격이 변했을 때 거래량이 얼마나 변화하는지 알아보는 것이 가격탄력성이다. 우리가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필수재는 가격이 올랐다고 해서 수요가 많이 변하지 않는다. 택시를 필수재라고 보기는 어렵다. 버스와 지하철은 택시의 보완재가 아니라 대체재다

 


 

이미지 썸네일 삭제

국가공인 한경 TESAT

한경 테샛, 국가공인 한경 TESAT, 테샛, 주니어 테샛, 한국경제신문, 경제이해력검증시험, 문제유형, 평가방법, 신청방법 등 제공

www.tesat.or.kr


 

 

 

 

반응형
반응형

 

 

소득재분배

 

소득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에는 은퇴와 질병, 실업 등에 대비해 국가가 운영하는 사회보험(공적보험)과 취약계층에 대한 보조금 지급(공공부조) 등이 있다. 소득금액이 커질수록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누진세도 소득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부의 소득세는 개인의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이면 그 부족분 일부를 정부가 세금 환급 등의 방법으로 보조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근로장려세제가 여기에 해당한다.비례세는 누진세에 반대되는 개념이다.

 

 

항상소득가설

 

항상소득가설은 항상소득이 소비를 결정한다는 이론으로 미국의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이 주장했다. 프리드먼에 따르면 소득은 정기적이고 고정적인 항상소득 임시적 수입인 변동소득(일시소득)으로 구분된다.

 

철수는 200만원의 항상소득을 벌고 있지만 이번 달은 일시적으로 소득이 20만원 줄었다. 항상소득가설에 따르면 일시적으로 소득이 20만원 줄어든다고 해서 소비에 변화가 생기지는 않는다.

 

 

탄력성과 환율

 

가격 탄력성은 가격이 변화할 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보여준다. 수요량 변화율을 가격 변화율로 나눠구한다. 원유 수요가 가격에 탄력적이면 소비자들이 가격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가격을 살짝만 내려도 수요량이 가격 하락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한다. 즉 가격 하락이 소비 증대를 가져오는 것이다. 반대로 가격을 살짝만 올리는 경우는 가격 상승률에 비해 수요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한다.

 

문제에서 국제 원유 가격이 탄력적이므로 원유 가격이 하락했는데도 수요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해 원유 구입비(=가격×수량)가 늘어났다. 또 환율이 상승(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 하락)하면 같은 양을 구입하더라도 원유 구입비가 증가할 수 있다.

 

 

실업

 

경기적 실업은 경기 침체로 일자리가 부족해 생기는 실업이고, 구조적 실업은 경제나 산업 구조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실업이다. 경기적 실업과 구조적 실업은 비자발적 실업이지만 마찰적 실업은 자발적 실업이다. 구조적 실업은 새로운 직업에 대한 교육이나 훈련을 받으면 실업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다.

 

 

정부지출승수

 

정부지출을 늘리면 승수효과가 발생한다. 승수효과는 지출의 증가가 총수요를 몇 배나 더 큰 폭으로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는데, 1/(1-한계소비성향)만큼 총수요가 증가한다. 정부지출 1원이 늘어났을 때 총수요가 늘어나는 배수를 나타내는 1/(1-한계소비성향)을 정부지출 승수라고 한다.

 

문제에서 한계소비성향이 3/4이므로 정부지출 승수는 1/(1-0.75)=4가 된다. 즉 정부지출이 2000억원 증가하면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8000억원 늘어나는 것이다. 한계소비성향이 클수록 총수요 증가폭은 커진다. 따라서 재정지출을 통한 경제 부양 효과가 커진다.

 

 

실증경제이론과 규범경제이론

 

실증경제이론

 

명목이자율이 낮아지면 유동성 함정에 빠지게 된다.

국내총생산(GDP)을 늘리려면 이자율을 낮춰야 한다.

완전고용 경제에서 저축이 증가하면 실질이자율이 낮아진다.

실질이자율은 명목이자율에서 물가상승률을 차감해 알 수 있다

 

 

경제이론은 실증경제이론과 규범경제이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실증경제이론 사실에 대한 분석이다. 일정한 수치로 증명이 가능하며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다. 규범경제이론은 ‘어느 것이 더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한 분석이다. 이런 분석에는 가치 판단이 개입하기 마련이어서 타당성 여부를 가려내기가 쉽지 않다. 보기 중 ‘이자율을 낮추는 것보다 법인세율을 인하하는 것이 사회후생에 바람직하다’는 주장은 사실에 대한 분석이 아니라 가치판단이 들어간 주장이라고 할 수 있다.

 

 

공공재와 공유자원

 

재화는 배제성과 경합성에 따라 사적 재화, 공유재, 공공재, 집단재로 나뉜다. 배제성은 대가를 지불하지 않으면 재화를 소비할 수 없도록 막을 수 있는 속성이다. 경합성은 한 사람이 특정 재화를 더 많이 소비하면 다른 사람들은 덜 소비해야 하는 특성을 말한다.

 

 

공원, 가로등과 같은 공공재는 비배제성과 비경합성을 가진 자원이다. 바닷속의 물고기와 같은 공유재는 경합성은 있으나 배제성은 없다. 이 때문에 공유지의 비극 현상이 나타난다. 무임승차는 비배제성 때문에 발생한다.


 

 

 

국가공인 한경 TESAT

한경 테샛, 국가공인 한경 TESAT, 테샛, 주니어 테샛, 한국경제신문, 경제이해력검증시험, 문제유형, 평가방법, 신청방법 등 제공

www.tesat.or.kr

 

 

반응형
반응형

 

 

Russia's Navalny in coma, allegedly poisoned by toxic tea

abc NEWS

 

 

Russia's Navalny in coma, allegedly poisoned by toxic tea

Russian opposition leader Alexei Navalny is in a coma in a hospital in Siberia after falling ill from a suspected poisoning

abcnews.go.com

 

Russian opposition leader Alexei Navalny, one of Vladimir Putin’s fiercest critics, lay in a coma Friday at a Siberian hospital, the victim of what his allies said appeared to be a poisoning engineered by the Kremlin.

 

Kremlin spokesman Dmitry Peskov said it was necessary to wait for test results showing what caused Navalny's condition, adding the authorities would consider a request to allow Navalny to leave Russia, which has not fully opened its borders after a coronavirus lockdown, for treatment.

 

Kremlin spokesman Dmitry Peskov said it was necessary to wait for test results showing what caused Navalny's condition, adding the authorities would consider a request to allow Navalny to leave Russia, which has not fully opened its borders after a coronavirus lockdown, for treatment.


혼수상태에 빠진 러시아 나발니, 독이 든 차에 중독됐다는 주장(allegedly)

 

allegedly[əlédʒidli]

ADV

1.주장한[전해진] 바에 의하면, 이른바

alleged[əlédƷd,-dƷid]

ADJ.

1.주장된

2.…이라고들 말하는

 

 

러시아 야당 지도자 알렉세이 나바니(Alexi Navnny)가 독살 의심으로 병에 걸려 시베리아의 한 병원에서 혼수상태에 빠져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의 가장 맹렬한(fiercest) 비판자 중 한 명인 러시아 야당 지도자 알렉세이 나발니가 28일(현지시간) 시베리아 병원에서 혼수상태로 누워있다. 그의 동맹국들은 크렘린궁이 만든(engineered by) 독살로 보인다고 말했다.

 

1.수작을 부리다, (일을) 꾀하다

Sheengineereda further meeting with him.

그녀는 그와 한 번 더 만나려고 수작을 부렸다.

2.(설계해서) 제작하다

The car is beautifullyengineeredand a pleasure to drive.

이 승용차는 멋지게 제작되어 운전하는 게 아주 즐겁습니다.

3.유전자를 조작하다

geneticallyengineeredcrops

유전자를 조작한 농작물

 

 

나발니의 조직은 치료를 위해 그를 독일로 이송하기 위한 준비를 서두르고(scrambling) 있었다; 독일 단체는 그를 위해 비행기를 보낼 준비가 되어 있고 베를린에 있는 유명한 병원이 그를 치료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키라 야르미시 나바니 대변인은 트위터를 통해 "44세의 나바니는 시베리아 도시 톰스크에서 모스크바로 돌아오는 비행기에서 병이 나 병원으로 이송됐다"고 밝혔다.

 

그녀는 목요일 아침 비행기에 탑승하기 전에 공항 카페에서 마신 차에 독을 넣은 것이 틀림없다고 에코 모스크비 라디오 방송국에 말했다. 나발니는 비행 중 땀을 흘리기(sweating) 시작했고 "목소리 소리에 집중할 수 있도록" 그에게 말을 걸어달라고 부탁했다. 이어 화장실에 갔다가 의식(consciousness)을 잃었고, 이후 혼수상태(grave condition)에 빠져 인공호흡기(ventilator)를 달고 있다.

 

야르미쉬는 9일 오전 옴스크에서 공개된 비디오 성명에서 나발니가 여전히 위독한(critical)상태라며 병원 지도부에 "이적에 필요한 모든 서류를 제공하는 것을 방해(obstruct)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어떤 장애물(obstructions)이 있을 수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았다.

 

 

다른 야당 인사들은 재빨리 크레믈린의 개입(involvement)을 시사했다.

 

2018년 독살 의심으로 중환자실에 들어간 푸시 라이엇의 멤버 표트르 베르질로프는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나비니나 나 자신을 타깃으로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은 러시아 정치지도층으로부터 확실한 허가를 받은 러시아 안보부뿐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우리는 푸틴이 이 상황에서 분명히 그러한 선동을 하는 사람이라고 믿는다."

 

베르질로프의 독일 치료를 주선한 독일 단체 '시네마 포 피스'의 자카 비질지는 베르질로프의 요청에 따라 "자정에 나발니를 독일로 데려올 수 있는 의료 장비와 전문의를 갖춘 항공 앰뷸런스를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옴스크는 베를린에서 동쪽으로 약 4,200 킬로미터 떨어져 있으며 대략 6시간 비행한다.

 

정치인이 치료를 받고 있는 옴스크 앰뷸런스 병원 1호 의사들은 그의 진단(diagnosis)에 대해 독살 등 다양한 이론을 검토하고 있다고만 말하며 입을 굳게 다물었다(tight-lipped). 현지 보건당국은 나바니가 심장마비, 뇌졸중(stroke), 코로나바이러스 등으로 고통받았다는 징후(indication)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tight-lipped

ADJ.

1.말을 잘 안 하는, 말이 없는

2.(특히 화가 나서) 입을 꽉 다문

 

야르미시 대변인은 나발니의 아내 율리아가 남편을 만나도록 허락하지 않았으며 유럽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서류 제출을 거부했다고 말했다.

 

2018년 치료를 위해 베를린으로 이송된 베르질로프는 옴스크나 모스크바의 병원들이 나발니를 제대로 치료할 수 없을 것이라며 러시아에서 의사들이 받을 수 있는 보안 서비스의 압박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나발니의 상태를 보여주는 실험 결과를 기다릴 필요가 있다며 당국은 나발니가 코로나바이러스 차단 이후 국경을 완전히 개방하지 않은 러시아를 떠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달라는 요청을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 통신은 경찰이 고의적인(deliberate)중독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dismissed

ADJ.

1.잊혀진

dismiss[dɪsˈmɪs]

Verb

1.(고려할 가치가 없다고) 묵살하다

I think we can safelydismisstheir objections.

나는 우리가 그들의 반대를 묵살해도 무방하다고 생각한다.

2.(생각·느낌을) 떨쳐 버리다

Dismissingher fears, she climbed higher.

두려운 생각을 떨쳐 내며 그녀는 더 높이 올라갔다.

3.해고하다

She claims she was unfairlydismissedfrom her post.

그녀는 자기 직장에서 부당 해고를 당했다고 주장한다.

 

 

그 독살 혐의에 대한 보도가 서구에서 파문(waves)을 일으켰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프랑스가 나발니와 그의 가족들에게 "모든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의료, 망명, 보호의 관점에서" 그리고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Chancellor)는 마크롱과 공동기자회견(joint news conference)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매우 중요한 것은 어떻게 이런 상황이 올 수 있는지 매우 시급히(urgently)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도미닉 라브 영국 외무장관과 유엔도 나발니 사태에 우려를 표명했고 국제사면위원회도 완전하고 철저한 조사를 요구했다.

 

 

2006년 런던에서 방사능(radioactive)중독으로 사망한 러시아 요원 알렉산더 리트비넨코의 미망인은 러시아 내 나발니의 적들이 이제는 '새로운 전술(tactic)'을 쓸 때가 됐다고 판단한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나타냈다.

 

"아마 그들은... 단지 체포(arrest)로 그를 막는 것이 아니라 독으로 그를 막으려는 것이다. 마리나 리트비넨코는 이탈리아 시칠리아에서 온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것은 나발니를 상대로 한 새로운 전술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러시아의 다른 많은 야당 정치인들과 마찬가지로, 나발니는 법 집행 기관(law enforcement)에 의해 자주 구금(detained)되어 왔고 친 크렘린 단체들로부터 괴롭힘(harassed by)을 받아왔다. 2017년에는 얼굴에 소독약(antiseptic)을 뿌리는 남성 여러 명으로부터 공격을 받아 눈이 상했다.

 

 

지난해 나발니는 교도소에서 병원으로 긴급 이송돼 행정 체포에 이어 복역 중이었으며, 그의 팀은 독극물이 의심된다고 말했다. 의사들은 그가 심한 알레르기 발작을 일으켜 다음날(following day)다시 감옥으로 돌려보냈다고 말했다.

 

discharge

Verb

1.(어떤 장소나 직무에서) 떠나는 것을 허락하다; 해고하다

Patients were beingdischargedfrom the hospital too early.

환자들을 병원에서 너무 빨리 퇴원시키고 있었다.

2.석방하다

He wasconditionally dischargedafter admitting the theft.

그는 그 절도죄를 인정한 뒤에 조건부로 방면되었다.

3.(기체액체가) 흐르다; 흘리다

[V] The river is diverted through the power station beforedischarginginto the sea.

그 강물은 바다로 흘러 들어가기 전에 발전소를 통해 물길의 방향이 바뀐다.

Noun

1.방출, 배출; 배출물, 분비물

a ban on thedischargeof toxic waste

유독성 폐기물 배출 금지

2.(공식적으로 어디, 특히 병원군대에서) 내보냄; 퇴원; 제대

3.이행

thedischarge of debts/obligations

채무/의무 이행

 

나바니의 부패 척결 재단은 고위층 일부를 포함한(graft) 정부 관료들 사이에 부패 척결을 폭로해 왔다. 지난달에는 크렘린궁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사업가 예브게니 프리고진(Yevgeny Prigozhin)의 재정파괴 소송(devastating lawsuit)으로 재단을 폐쇄해야 했다.

 

벨라루스의 권위주의자(authoritarian)인 알렉산더 루카셴코 대통령은 지난 주 나발니가 8월 9일 이후 러시아의 옛 소련 이웃을 뒤흔든 그의 재선에 반대하는 전례 없는(unprecedented)대규모 시위를 조직했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그는 어떤 증거도 제시하지 않았고 그 주장은 많은 외국 세력의 불안 탓 중 하나였다.

 

 

러시아의 야당 중 가장 저명한 멤버인 나바니는 2018년 대선에서 푸틴에 도전하기 위해 캠페인을 벌였으나 출마할 수 없었다(barred).

 

러시아 전역에 선거사무소를 설치하고 지방선거에서 야당 후보를 선전하며 러시아 집권당인 통합러시아당 의원들에게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이 지역 주지사 체포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에 휩싸인 러시아 극동 도시 하바로프스크에 있는 그의 동료 중 한 명이 지난주 집회에서 파업(strike at a rally)을 요구했다가 억류됐다.

 

야르미시는 에코 모스크비와의 인터뷰에서 독살 혐의와 올해 지방선거 선거운동이 연관돼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과 경기 침체로 국민들의 좌절감이 커지는 가운데 푸틴 대통령의 지지율이 60% 안팎으로 사상 최저 수준으로 곤두박질(plummeted)치면서 나발니가 크렘린궁에 갈수록 위험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plummet(plummeted)[ˈplʌmɪt]

Verb

1.곤두박질치다, 급락하다

Share prices plummetedto an all-time low.

주가가 사상 최저치로 곤두박질쳤다.

 

 

크렘린 연설문 작성자 출신 정치 분석가인 아바스 갈리아모프는 "나비스가 친크렘린 후보에 대해 유권자들을 동원하는 것은 2021년 총선(parliamentary elections)을 앞두고 특별한 도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갈리아모프 대통령은 "두마 선거는 크렘린에게 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푸틴의 현 대통령 임기가 만료되고 그가 재선거 출마를 선언할 수도 있는 2024년에 새로운 두마가 운영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크렘린에게는 차기 국가 두마를 통제하는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갈리아모프는 "나비니는 크렘린 정부가 통제권을 확립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고 덧붙였다.

 

이와 동시에 러시아 전역에 부패를 폭로하며 두각을 나타낸 나발니는 다른 적들을 가질 수 있으며 만약 그가 고의적(deliberately)으로 독살되었다면 그의 조사에 참여한 사람들의 표적이 되었을지도 모른다고 갈리아모프는 말했다.

 

 

나바니는 괴한의 독살로 쓰러진 최초의 야당 인사는 아니다.

 

2018년 독살 의심으로 병원에서 회복하며 한 달을 보낸 베르질로프는 나발니의 초기 증상인 조정력 상실, 통증, 실신(fainting)등이 자신과 매우 유사하다고 AP통신에 말했다.

 

야당 운동가 블라디미르 카라-무르자는 2015년과 2017년 두 차례 독살 증상으로 병원에 입원(hospitalized)했다. 저명한 언론인 안나 폴리트코프스카야도 살해되기 2년 전인 2004년에 독살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목요일 저녁, 러시아 여러 도시의 운동가들은 나발니를 지지하는 시위를 벌였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는 100여 명의 인파가 도심에 모여들었고, 지지자 여러 명이 억류됐다.

 

성내 시 페테르부르크 부시장예고르 바토즈호크 씨(34)는 "실제로 그를 보호하는(safeguard)것은 당국의 이익에 부합했다"고 말했다. 페테르부르크는 AP통신에 말했다. "하지만 웬일인지 당국에 비판적인 많은 사람들이 독살당하지." 메르켈 독일 총리는 마크롱과 공동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municipal[mjuːˈnɪsɪpl]

ADJ.

1.지방 자치제의, 시의

municipal elections/councils

지방 자치제[시 의회 의원] 선거/지방 의회

 

 

'푸틴 정적' 야권운동가 나발니, 독극물 중독 증세로 중태

연합뉴스

 

 

'푸틴 정적' 야권운동가 나발니, 독극물 중독 증세로 중태 | 연합뉴스

'푸틴 정적' 야권운동가 나발니, 독극물 중독 증세로 중태, 강주은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08-21 07:30)

www.yna.co.kr

 

러시아 정부 고위 인사들의 비리와 부패를 끈질기게 파헤치는 활동으로, 크렘린궁엔 '눈엣가시' 같은 존재인 야권 운동가 알렉세이 나발니.

 

시베리아 도시들을 방문했다가 비행기를 타고 모스크바로 돌아오던 그가 기내에서 갑자기 건강 이상을 호소하다 의식을 잃고 쓰러졌습니다.

 

<키라 야르미슈 / 나발니 대변인> "그는 (출발 전) 공항 카페에서 홍차만 마셨습니다. 우리는 누군가 차를 이용해서 그를 중독시켰다고 생각합니다."

 

 

변호사 출신의 반부패 운동가에서 야권 정치지도자로 변신한 그는 자신이 설립한 반부패재단을 통해 고위인사들의 부정축재와 비리 등을 폭로해 왔습니다.

 

야권이 극도로 취약한 러시아에서 그나마 푸틴 대통령의 '대항마'로 꼽혀온 그는 불법 시위 등의 혐의로 수십차례 투옥된 바 있습니다.


Navali, an opposition activist with "antagonist (적수) of Putin," is in critical condition due to poisoning.

 

Alexei Navali, an opposition activist who is an "eye thorn" in the Kremlin, is an activity that persistently(끈질기게) digs into corruption and corruption among high-level Russian government officials.

 

While returning to Moscow by plane from a visit to Siberian cities, he suddenly fell unconscious(의식을 잃은) while complaining of health problems on the plane.

 

 

The plane made an emergency landing in the Siberian city of Omsk, and Nabalney was immediately taken to an ambulance and taken to a local hospital.

 

 

Kira Yarmisch, a spokesperson for Nabalney, said, "He only drank tea at the airport cafe. We think someone used a tea to poison him."

 

His spokesman says Navali is still in a coma and is being assisted by a ventilator(인공호흡기).

 

Nabalini reportedly visited Siberian cities ahead of the local elections on the 13th of next month to collect data on corruption among ruling party lawmakers.

 

 

Dmitri Peskov, a spokesman for the Kremlin, said, "It should be confirmed through laboratory analysis whether this was an addiction. You must wait for the analysis results."

 

In July last year, Nabalney was hospitalized for an allergic attack while in custody for leading a demonstration calling for fair elections.

 

At the time, his doctor said he was "addicted to unknown chemicals."

 

 

A lawyer-turned-anti-corruption activist to opposition political leader, he has exposed corruption and corruption among high-level officials through an anti-corruption foundation he founded.

 

In Russia, where the opposition camp is extremely vulnerable, At least he's been considered President Putin's "counter-horse." he has been imprisoned dozens of times on charges of illegal protests and other charges.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