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책읽기 나는 책 읽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아닌 것 같다. 초등학생 때부터 고등학생 때까지 다독상을 받으면서 커왔지만 사실 나는 책 보다는 책을 읽는 나의 행위에 더 만족감을 느꼈다. 책을 읽음으로써 깨닫게 되는 혹은 배우게 되는 것들도 물론 중요한 이유지만 그보다 책을 읽는다는 자체에서 오는 내 스스로에 대한 대견함이 있었다. 어찌됐든 책읽기는 나의 습관이라기 보다는 평생의 노력에 가깝다. 대학생 때는 오히려 책을 너무 안읽었는데, 그래서 스스로 하루에 30분 책읽기라는 과제를 부여한 후에야 책을 다시 읽게 되었다.
사람들마다 독서 스타일이 다양하겠지만, 나 같은 경우는 집에서 읽기 보다는 이동하는 시간에 책에 더 집중이 잘된다 (남들의 시선을 신경쓰는 타입 ㅎㅎㅎ 공부도 그래서 집에서 못함) 하지만 책을 들고 다니는 것 자체가 부담스럽고 몇장 읽지도 못하는데 무거운 한권을 들고 다니는게 부담스러웠다. 그러다 #아이패드 를 구매하고 #교보문고전자도서관 어플을 통해 #전자책 #ebook 을 읽게 되었다.
도서어플을 통해서 전자책을 구매해서 읽을 수도 있는데, 나는 도서관에서 책을 읽는 습관 때문인지 정말 평생을 볼 책이 아니면 일단 빌려서 읽어보는 타입이라서 이 어플을 정말 추천한다. 물론 신간도서나 종이로 출판되는 모든 책을 구할 수는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오히려 나처럼 결정장애가 있는 사람에게는 선택권이 방대하지 않아 오히려 더 긍정적인 면이라고 할 수 있겠다.
#교보문고 전자도서관 이라는 어플은 무료어플이고 확실한 것은 모르겠지만, 안드로이드에서도 동일한 어플을 다운 받아서 사용할 수 있는 걸로 알고 있다.
이 어플은 교보문고 자체에서 책을 빌리는 형태가 아니라 각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전자책을 대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래서 본인이 사용하는 도서관에 회원가입이 필수적으로 되어 있어야 하고, 도서관 별로 전자책이 거의 없을 수도 있다. 나 같은 경우에도 대구광역시 내의 공공도서관에 가입하여 전자책을 빌려보려고 했지만 전자책 권수가 현저히 부족했다. #계명대학교전자도서관 같은 경우는 전자책 형태로 출판된 도서가 매우 많았고 신간도 정기적으로 계속 업데이트가 되어서 계명대학교도서관을 적극 이용하고 있다. 대학생이라면 본인 대학교를 우선적으로 확인해보길!
도서관을 이용하려면 로그인은 필수! 사실 난 올해 2월에 학교를 졸업해서 더 이상 전자도서관을 못쓸수도 있다라고 생각했는데 현재까지 매우 잘 사용중 :)
신착자료도 볼 수 있고 베스트 자료도 볼 수 있으며, 분야별로도 나눠서 책을 찾아볼 수 있다.
전자도서관이기 때문에 일반 도서관처럼 대출권수가 제한되어 있는데, 이 경우는 예약을 할 수도 있다. 인기가 많은 책 같은 경우는 위에 경우처럼 20권가까이 될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5권 미만이 대부분이고 일반적으로는 2권이 최대인 경우가 많다.
대출하기를 누르면 전자책 형태로 다운로드가 되기 때문에 인터넷 연결없이도 어디서나 볼 수 있다.
대출기간은 4일 정도인데, 나의 서재 카테고리에 들어가면 반납기간을 연장할 수 있어서 최대 10일정도 가능한 것 같았다. 다만 예약이 잡혀 있는 경우 기간 연장이 불가할 수도 있다. 따로 반납을 신청할 필요없이 기간이 지나면 자동만료되어 나의 서재에서 사라진다.
기능도 생각보다 다양하다. 듣기를 누르면 여성과 남성 혹은 어린아이의 음성으로 책을 읽어준다. 기계적인 느낌이긴 하지만 생각보다 괜찮다. 목차를 확인할 수도 있고 북마크를 해놓은 부분을 다시 찾아볼 수도 있다.
텍스트 크기와 간격 및 여백 등으로 원본 설정된 기본값으로 볼 수도 있지만 본인이 원하는 스타일로 변경도 가능
밝기 조절과 배경색 선택도 가능하다. 기본적으로는 흰 배경인데, 나는 눈이 피로할 것 같아, 검은색으로 설정
무엇보다 아이패드로 책을 읽어서 좋은 점은 메모를 아주 손쉽게 할수 있다는 점이다. 나는 책을 읽으면서 마음에 드는 구절이나 생각거리가 있으면 기록하는 편인데, 이 어플에서는 드래그로 바로 아이패드 메모 어플에 옮겨 담을 수 있다. 내가 일일히 적지 않아도 바로 옮길 수 있다는 것!
#아이패드어플추천 아이패드 사용자라면 듀얼 어플을 활용할 수 있을테니 따로 도움이 필요한 분은 댓글!
이상으로 내가 #책을읽는방법 소개 끝! 아이패드로 넷플릭스나 유튜브도 좋지만 스마트한 얼리어답터 느낌 내며 아이패드로 전자책 한번 읽어보는 것 추천합니다 :)
#노암촘스키 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학자다. 정확하게 그의 어떤 책을 시작으로 그의 글을 반가워했는지는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다. 확실한 것은 고등학생 때 그의 책을 읽으면서 #강대국 의 #패권주의 에 대해 알게되었고, 세계를 좌지우지 하는 권력, 언론에서 포장하는 권력의 실체, 정의에 대한 진실을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줬다는 점이다. 전자도서관에 신작도서를 보면서 그의 이름을 본 순간 난 마치 오래 좋아했던 가수의 컴백소식을 들은 것처럼 바로 책을 대출했다. #불평등의이유 라는 책 제목은 사실 #불평등 과 관련된 수업과 책을 읽어오면서 어느 정도 짐작되는 내용이 있기 했지만, 촘스키가 어떠한 시선으로 불평등에 접근했는지 알고싶었다.
촘스키가 쓴 책을 읽고 내가 블로그에 남겼던 글들을 보니 새삼 나의 취향도 대나무 같다. 20살때 썼던 글들이 26살의 내가 보기에 전혀 어색함이 없다. 그 당시는 #권력 자체에 대해 내가 객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심취해 있었다면 지금은 그 권력의 형성 원인과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서 축적되고 있는 문제들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가에 대해 좀 더 고민하게 됐다는 차이가 있다. 불평등의 이유는 #미국 사회 내의 불평등을 예로 들고 있지만 사실 어느 나라에서나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 이야기다. 아래는 단순히 어느 책에서나 볼 수 있는 목차이지만, 불평등의 원리 10가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핵심 요약본이다.
원리 1 민주주의를 축소하라.20
부유한 소수.20 | 귀족과 민주주의자.23 | 불평등을 축소하라.24 | 미국 사회가 저지른 죄.26 | 상쇄하는 경향들.27
원리 2 이데올로기를 형성하라.38
민주주의의 과잉.39 | 교육과 교의 주입.41 | 비판자들에 대한 비난.43 | 국익.45
원리 3 경제를 개조하라.56
금융기관의 역할.57 | 금융화.58 | 해외 이전.61 | 노동자 불안정성.64 | 대항 세력.66
원리 4 부담을 전가하라.76
금권경제와 프레카리아트.77 | 부자 감세.80 | 다시 새로운 방향으로.84
원리 5 연대를 공격하라.94
공교육에 대한 공격.96 | 민영화.98 | 누구를 위한 정부인가?.101 | 다시 연대를 향하여.104
원리 6 규제자를 관리하라.110
글래스-스티걸 법.111 | 회전문.112 | 로비.113 | 탈규제와 금융 붕괴.114 | 너무 덩치가 커서 감옥에 넣지 못한다.115 |보모국가.116 | 외부 효과와 시스템 리스크.118 | 시장이 지배하게 하라.120
원리 7 선거를 주물러라.132
법인 기업의 인격.133 | 기업이 후원하는 선거.134 | 투표함을 넘어서.136
원리 8 하층민을 통제하라.144
뉴딜 정책.146 | 기업계의 공세.148 | 새로운 시대정신.151 | 계급의식.154
원리 9 동의를 조작하라.164
홍보 산업의 부상.165 | 소비자를 조작하라.166 | 비합리적 선택.168 | 선거의 기반을 무너뜨려라.170 | 후보자를 선전하라.171
원리 10 국민을 주변화하라.182
초점이 맞지 않는 분노.184 | 인류의 생존.187 | 권위 구조는 자기정당화를 하지 않는다.191 | 변화.193
기득권은 #선전 #프로파간다 #이데올로기 과거에 머물러 있는 것 같은 이런 용어들이 사실은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만연해 있고 그것에 아주 자연스럽게 녹아들어가고 있는 우리 사회를 이 책에서 볼 수 있었다. #정치외교학 #사회학 을 복수전공했던 나에게 촘스키는 그야말로 내가 매달리고 싶은 지도교수이지 않을까 싶다. 그만큼 그의 글은 나의 시선에 큰 영향을 끼쳤다. 불평등에 관련돈 책들을 여러번 읽어봤지만 이 책은 불평등은 우리 사회에서 어떤 식으로 누구에 의해 형성되고 이용되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꼭 읽어봤으면 좋겠다.
광고
▶다수의 자유로운 빈민이 최고 권력을 잡을 때는 민주정이고, 소수의 부유한 귀족의 수중에 최고 권력이 있을 때는 과두정이다.
▶단기 수익을 버는 방향으로 사업 행태를 설계하고, 그렇게 해서 엄청난 돈을 벌 수 있다면 사업이야 망하든 말든 손 털고 떠나면 된다.
▶한편 많은 보수를 받는 전문직은 보호를 받는다. 그들은 세계의 나머지 지역과 경쟁하지 않는다. 경쟁과는 거리가 멀다. 물론 자본은 자유롭게 이동한다. 반면 노동자들은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한다. 한마디로, 노동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지만 자본은 가능하다
▶1980년대 중반에 로널드 레이건Ronald Reagan과 영국의 마거릿 대처Margaret Thatcher가 부유층에 부를 몰아주고 나머지 사람들에게 고통을 전가한 정책을 추진한 이래로 금권경제가 자리를 잡았다.
▶최고 부유층이 내는 세금이 줄어들고, 그에 따라 나머지 국민들의 세금 부담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조세 체계가 재설계되었다. 이제 임금과 (모든 사람이 해야 하는) 소비에만 세금을 그대로 유지하고, 이를테면 부자들에게만 해당되는 배당금에는 세금을 매기지 않는 쪽으로 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정말 투자를 늘리고 싶다면, 가난한 이들과 일하는 사람들에게 돈을 주면 된다. 그들은 값비싼 요트나 카리브 해의 휴양지가 아니라 물건을 사는 데 소득을 지출한다. 생활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지출이 생산을 자극하고, 투자를 자극하며, 고용 성장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상위 부유층에게는 사회보장이 전혀 필요 없기 때문에 그것을 파괴하려는 시도가 일사불란하게 벌어진다. 한 가지 방법은 사회보장 예산을 삭감하는 것이다. 어떤 제도를 없애기를 바라는가? 그렇다면 우선 예산을 삭감하라. 그러면 그 제도가 작동하지 않을 테니. 사람들이 화를 낼 테고, 뭔가 다른 것을 원할 것이다. 바로 이것이 어떤 제도를 민영화하기 위해 흔히 쓰이는 기법이다.
▶미국은 선진국 가운데 유일하게 사실상 규제받지 않는 민간 의료보험에 압도적으로 의존하는 의료보험 체계를 갖고 있는데, 이 체계는 대단히 비효율적이고 비용이 많이 든다.
▶기업이 더 많은 권력을 갖고 정부가 더 적은 권력을 가질수록, 부자와 권력자의 관점에서는 더 좋은 일이다.
▶사회의 다수를 이루는 사람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끓어오른 공포와 분노를 악용하고, 불안감을 조성하는 실제 행위자들이 아니라 취약한 공격 대상으로 공포와 분노의 화살을 돌릴 수 있는 인물에 대해 경고한 것이다.
▶ 그의 사회참여적 저술 활동은 그동안 주로 미국의 제국주의적 대외 정책과 신자유주의 세계 질서가 낳은 폐해에 초점이 맞춰졌다. 그런 점에서 이번 책은 다소 새로운 주제를 다루고 있다. 미국의 부와 권력의 불평등 확대가 낳은 아메리칸 드림의 몰락을 정면으로 겨냥하기 때문이다.
지난 수요일 #제21대국회의원선거 #2020총선 이 있었다. 선거결과를 지켜보는 내내 어떤 영화보다 더 짜릿하고 재밌었다. 어떤 결과라서 좋았다 싫었다를 떠나 개표방송 만큼 재밌는 방송이 있었는지 생각하게 될 정도였다 (우리나라 방송국들의 개표 진행은 해외에서도 화자될 정도라고 한다) 각 정당과 정당의 후보들의 정책에 대해서 내가 모두 알고 있는 것도 아니고 내가 살고 있는 지역구를 대표할만한 인물을 뽑는다는 점에서 불평등의 문제를 언급하는 것이 조금은 어색할 수도 있지만, 단순히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 어떠한 정책을 실시하겠다는 것 외에도 어떠한 관점에서 어떤 의제를 중심으로 국회에서 논의하고자하는 내용이 없었다는 점에서 매우 아쉽다.
비례정당 투표도 그랬다, 선거 공보물을 보면서 난 솔직히 말해 각 정당이 어떤 식으로 대한민국이라는 사회를 변화시킬건지 어떤 문제를 해결할 것인지 어떤 시선으로 접근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밝힌 정당이 있다면 주저말고 그 정당을 뽑았을 것이다. #불평등 은 우리나라에서 사실 뜬구름 같은 이야기로 들린다. 재밌는 점은 많은 사람들이 본인 불평등한 위치에 있으면서도 불평등을 통해 이익을 얻는 자들의 입장을 대변한다는 점이다. 기득권층들이 불평등을 통해 이익을 얻어서 그러한 정당과 후보를 지지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들은 그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이익을 극대화해주는 정치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계급사회에서 벗어나 민주사회라고 말하는 현재는 사실 어떤 시대보다도 더 세밀하게 계급화되고 계층화되어가고 있다. 단일한 입장과 위치도 아니고 불평등과 사회문제에 저항하기 위한 연대는 쉽게 와해되고 이간질된다. 아마 갈수록 불평등의 문제는 더욱 심화될 것이다. 이것은 세계화의 수준이 아니라 모든 사회적 공동체 수준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누구의 생각이 옳고 그른지는 중요하지 않다. 누군가는 계속해서 불평등을 조장할 것이고 누군가는 피해를 입으면서도 나도 언제가는 기득권층의 권력에 가까워져 그 이익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에 부풀에 그들에게 힘을 실어줄 것이고, 누군가는 이래도 저래도 세상은 바뀌지 않는다며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도 누군가는 또 다른 누군가와 연대하여 목소리를 높이고 변화를 주장할 것이다.
[WB세계은행] #2 코로나19 속 세계경제 The Economy in the Time of Covid-19 (요약문 번역)
An estimation of the impact of general and targeted measures on the number of Covid-19 cases was conducted for this report, building on daily data from 25 countries. The results show that general containment measures always result in fewer Covid-19 cases over time than targeted measures. But both are considerably more effective if they are implemented shortly after the first case is registered. For example, targeted containment measures adopted 15 days after the outbreak of the epidemic do more to slow down its progress than general measures adopted after 30 days.
이 보고서는 25개 국가의 일일 데이터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사례의 수에 대한 일반 및 대상 조치의 영향을 추정했다. 결과에 따르면 일반 격리 조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표 조치보다 코로나19 사례가 적다. 그러나 첫 번째 사례가 등록 된 직후에 구현되는 경우 둘 다 훨씬 더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전염병 발생 후 15일 후에 채택 된 표적 격리 조치는 30일 후에 채택 된 일반 조치보다 진행 속도를 늦추는 데 더 효과적이다.
Assessing the economic cost of containment measures on economic activity requires high-frequency data on economic activity. Examples include nighttime light data from satellite imageries, electricity consumption, or the number of daily commutes as assessed by shared ridership applications. For this report, the selected high-frequency indicator was the volume ofnitrogen(질소)dioxide(이산화탄소), as measured through satellite imageries. These emissions are highly correlated with activecombustion(연소)by vehicles and other machinery. The results confirm that general measures to contain the Covid-19 epidemic led to dramatic declines in economic activity.
경제 활동에 대한 격리 조치의 경제적 비용을 평가하려면 경제 활동에 대한 고주파 데이터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위성 이미지, 야간 전력 소비량 또는 공유 탑승자 응용 프로그램에서 평가 한 일일 통근 수 등의 야간 조명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 보고서의 경우, 선택한 고주파 표시기는 위성 이미지를 통해 측정 된 이산화질소의 양이다. 이러한 배출물은 차량 및 기타 기계류의 능동 연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결과는적으로 코로나19 전염병을 억제하기위한 일반적인 조치로 인해 경제 활동이 급격히 감소했음을 확인했다.
In responding to the crisis, countries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do not have thefiscal(국고/재정)space enjoyed by advanced countries. Some were facing crises even before the Covid-19 outbreak. Economies in the region are also characterized by higher levels of informality, which makes many of their firms and households much more difficult to reach throughinstruments(수단)such as taxdeferrals(연기)and wagesubsidies(보조금). With limited resources and constrained instruments, a proper design of the policy response becomes crucially important.
위기에 대응하여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국가들은 선진국들이 누리는 재정 공간이 없다. 일부는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에 위기에 직면했다. 이 지역의 경제는 또한 높은 수준의 비공식성을 특징으로하며, 이로 인해 많은 기업과가정이 세금 연기 및 임금 보조금과 같은 수단을 통해 접근하기가 훨씬 어려워진다. 제한된 자원과 제한된 도구로 인해 정책 대응의 적절한 설계가 결정적으로 중요해진다.
Thehardship(고난)from the crisis will be enormous for largesegments(부분들)of the population. Many households live fromhand to mouth(그날그날 살아가는)and they do not have the resources to cope with thelockdowns(감금)andquarantines(격리)needed to contain the spread of the epidemic. Many workers are self-employed,and informality(비공식)is common even among wage earners. Reaching these workers through transfers is more challenging than in formalized economies.
위기의 고난은 인구의 많은 부분에 막대 할 것이다. 많은 가정이 그날 그날 살아가고 전염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필요한 폐쇄와 검역에 대처할 자원이 없다. 많은 노동자들이 자영업자이며 비공식은 임금 소득자 사이에서도 흔하다. 양도를 통해 이러한 노동자들에게 다가가는 것은 공식화 된 경제보다 더 어려운 일이다.
Many households also depend onremittances(송금), which are collapsing as activity shuts down in host countries, with migrant workers among the most affected. The policy response needs tosquarely(정면으로)tackle this socialdimension(양상)of the crisis. The firstline of response(대응책)includes existing social protection and social assistance programs that can rapidly bescaled up(일정비율 증가된)and whosecoverage(범위)can be extended. Such programs might besupplemented(보충되다)though(이긴 하지만)mobile or digital payment channels. Food distribution programs may be considered while strong social distancing measures are in place.
많은 가정이 송금에 의존하고 있는데, 송금은 송달국에 의해 활동이 중단되면서 이주 노동자가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정책 대응은 위기의 사회적 차원을 정면으로 해결해야한다. 첫 번째 대응책에는 기존의 사회적 보호 및 사회적 지원 프로그램이 포함되는데, 이는 빠르게 확장 될 수 있고 적용 범위가 연장 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모바일 또는 디지털 결제 채널을 통해 보완 될 수 있다. 사회 분배 수단을 강구하면서 식량 배급 프로그램을 고려할 수 있다.
The standard advice in the presence of adverse shocks is to protect workers, not jobs. This advice is predicated on the grounds that most shocks affect specific firms, sectors, or locations, and allowing sectoral or spatial restructuring is bound to increase efficiency. However, the standard advice does not hold when an economic shock affects the entire economy. Employer-employee matches that took a long time to build and would remain profitable when the economy goes back to normal may bepermanently(영구적으로)dissolved due to this temporary shock.
불리한 충격이 있을 경우의 일반적인 조언은 일이 아닌 노동자를 보호하는 것이다. 이 충고는 대부분의 충격이 특정 회사, 부문 또는 위치에 영향을 미치며 부문 별 또는 공간적 구조 조정이 효율성을 높이는 데 근거한다는 전제에 근거한다. 그러나 경제 충격이 전체 경제에 영향을 미칠 때 이 조언은 유효하지 않다. 오랜 시간이 걸리고 경제가 정상으로 돌아갈 때 수익성을 유지하는 고용주-직원 경기는 이러한 일시적인 충격으로 인해 영구적으로 해산 될 수 있다.
Job-specific human capital may be lost and ramping up production later may become more difficult. A dual approach to protecting jobs is worth considering. Strategically important firms and sectors may get explicit support, in exchange to a commitment to keeping their workers. Smaller firms can be reached and triaged by banks or other intermediaries. These financial institutions may beincentivized(장려되다)through risk sharing and guarantees, so that they ensure the availability of liquidity(유동성) in a context ofmounting(설치)working capital needs.
직업별 인적 자본이 손실 될 수 있으며 나중에 생산량을 늘리는 것이 더 어려워 질 수 있다. 직업 보호에 대한 이중 접근법은 고려할 가치가 있다. 전략적으로 중요한 회사 및 부문은 근로자 유지에 대한 약속과는 달리 명시적인 지원을받을 수 있다. 중소 기업은 은행이나 다른 중개인에 의해 접근되고 심사 될 수 있다. 이러한 금융 기관은 리스크 공유 및 보장을 통해 장려되어 인적 자본 요구를 증가시키는 맥락에서 유동성 의 가용성을 보장 할 수 있다.
In past crises, when the financial sector experiencedsolvency(지급능력)problems, job losses were much more important, and the subsequent recovery was severelyhampered(방해받은). Unfortunately, the risk of a financial crisis cannot be ruled out in the current context. The financial sector is generally in a relatively strong position. But themagnitude(크기)of the shocks isextraordinary(대단한). At the international level, the region is seeing larger portfolio outflows than at the time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t the domestic level, many debtors will be unable to service their obligations and call for renegotiations, or simplydefault(불이행).
과거 금융 위기에서 금융 부문이 지급 능력 문제를 겪었을 때 일자리 손실이 훨씬 더 중요해졌으며, 그에 따른 복구는 심각하게 방해 받았다. 불행히도, 현재의 상황에서 금융 위기의 위험을 배제 할 수는 없습니다. 금융 부문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강력한 위치에 있습니다. 그러나 충격의 크기는 매우 크다. 국제적 차원에서 이 지역은 글로벌 금융 위기보다 더 많은 포트폴리오 유출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 수준에서 많은 채무자들은 자신의 의무를 다하고 재협상을 요구하거나 단순히 불이행을 요구할 수 없다.
Protecting payment systems is essential in this context. But even with a well-functioning market infrastructure, governments have an important role to play as coordinators. Upfront blanket guarantees for bank deposits may help maintain theconfidence(신뢰)of the public. Out-of-court debt restructuring may need to be simplified, guidance on regulatory relief measures be provided, and bank resolution be strengthened. More radical coordination measures, such as moratoria or payment deferral schedules, may be considered as well, depending on theseverity(심각성)of the crisis.
이러한 맥락에서 지불 시스템을 보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제대로 작동하는 시장 인프라가 있더라도 정부는 조정자로 활동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은행 예금에 대한 선행 담요 보장은 대중의 신뢰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법원 외 부채 구조 조정을 간소화하고 규제 완화 조치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은행 결의를 강화해야 할 수 있다. 위기의 심각성에 따라 모라 토리아 또는 지불 지연 일정과 같은, 보다 급진적인 조정 조치도 고려 될 수 있다.
A key question is who in the end should bear the losses.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the answer is simple: the losses should be centralized with the government to the extent possible. Confronted with anuninsurable(보험없는)shock like the Covid-19 epidemic, only governments can serve as aninsurer(보증인)of lastresort(수단). But given the resource constraint, it is important to clearly communicate how the losses will be managed. A statement of this sort would coordinate expectations and help economic agents adjust to the new environment, serving as a social compact on how to manage the crisis. But the statement should also be realistic on what isfeasible(실행가능한), spelling out clear priorities.
중요한 질문은 결국 누가 손실을 감당해야 하는가이다. 경제적 인 관점에서 대답은 간단하다. 손실은 가능한 한 정부와 중앙 집중화되어야한다. 코로나19 전염병과 같은 보험이 불가능한 충격에 직면 한 정부 만이 최후의 수단의 보험사로 봉사 할 수 있다. 그러나 자원 제약이 주어지면 손실 관리 방법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종류의 진술은 기대를 조정하고 경제 요원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되고 위기 관리 방법에 대한 사회적 콤팩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진술은 실현 가능한 것 에 대해 현실적이어야하며 명확한 우선 순위를 제시해야 한다.
To support jobs and firms, governments may need to take ownership stakes in strategically important firms. Toavert(위험을 피하다)a financial crisis, they may need to recapitalize banks andabsorb(흡수하다)non-performing assets. If not adequately managed, these moves could open the door to rent seeking and politicalpatronage(보호). The process of acquiring and managing assets needs to be perceived as transparent and professional to maintain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This may also allow decision makers to take urgently needed measures without fearingprosecution(실행)in the future.
일자리와 회사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회사의 지분을 소유해야 한다. 금융 위기를 피하기 위해서는 은행을 다시 자본화하고 부실 자산을 흡수해야 할 수도 있다. 적절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이러한 움직임은 추구와 정치적 후원을 빌릴 수있는 문을 열 수 있다. 정부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자산을 획득하고 관리하는 과정은 투명하고 전문적인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의사 결정자는 미래에 기소를 두려워하지 않고 긴급히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Strong arrangements need to be put in place to ensure that the acquisition and management of assets is conducted at arms’ length from politicians, building on the best examples of sovereign wealth funds and asset management companies in countries at similar development levels. A forward-looking response to the crisis should ideally go beyond addressing immediate needs and draw out the path towards avigorous(활발한)and sustainable recovery. Well-designed emergency measures are a step in that direction.
유사한 개발 수준을 가진 국가의 주권 자산 및 자산 관리 회사의 모범 사례를 바탕으로 자산 수집 및 관리가 정치인으로부터 긴 거리에 걸쳐 이루어 지도록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위기에 대한 미래 지향적 대응은 이상적으로 즉각적인 요구를 해결하는 것 이상으로 활발하고 지속 가능한 회복을 향한 길을 이끌어 내야 한다. 잘 설계된 비상 조치는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간다.
Protecting strategic sources of employment, avoiding a financial crisis and managing assets professionally will help kickstart the economy. However, despite the urgent challenges, a long-term vision is needed. Countries should seek to reclaim their long-term development agenda, with jobs and economic transformation at the center of it.
전략적 고용원을 보호하고, 금융 위기를 피하고 자산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면 경제를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긴급한 과제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비전이 필요하다. 국가들은 일자리와 경제 변화를 중심으로 장기적인 개발 의제를 되찾아야 한다.
After a period of rapid economic growth associated with high commodity prices, the region had entered a phase of lackluster performance. Recent developments, including a new oil price shock, and the outbreak of the Covid-19 epidemic will push the region into recession. Many countries are struggling to contain the spread of the Covid-19 epidemic while avoiding a dramatic decline in economic activity. The report analyzes how to think about this tradeoff. It estimates the potential health costs, assesses the effectiveness of diverse containment strategies, and discusses how large the economic cost could be. The current crisis is unprecedented because it combines a fall in global demand, tighter financial conditions and a major supply shock. The response needs to consider how to socialize the losses, how to prevent a collapse of the financial sector, how to protect jobs and livelihoods, and how to manage and divest the assets that will inevitably end up in the hands of the state.
높은 원자재 가격과 관련하여 빠른 경제 성장 기간이 지난 후 세계는 부진한 성과의 단계에 들어 섰다. 새로운 유가 충격과 Covid-19 전염병의 발발을 포함한 최근의 발전은 세계불황으로 이끌 것이다. 많은 국가들이 경제 활동의 급격한 감소를 겪으면서 Covid-19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트레이드 오프(트레이드오프(trade off)[명사][경제 ] 어느 것을 얻으려면 반드시 다른 것을 희생하여야 하는 경제 관계. 완전 고용과 물가 안정은 서로 모순된 관계에 있는데, 실업을 줄이면 물가가 올라가고 물가를 안정시키면 실업률이 높아지는 것 따위이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하는지 분석한다. 잠재적인 건강 비용을 추정하고 다양한 격리 전략의 효과를 평가하며 경제적 비용이 얼마나 큰지 논의하였다. 현재의 위기는 전 세계적인 수요 감소,보다 엄격한 재무 상태 및 주요 공급 충격으로 인해 전례가 없는 상태다. 이에 대한 대응에는 손실을 사회화하는 방법, 금융 부문 붕괴 방지 방법, 직업 및 생계 보호 방법, 불가피하게 국가의 손에 들어갈 자산을 관리하고 투자하는 방법을 고려해야한다.
Excutive Summary
For the last five years the economic performance of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has been disappointing, with growth rates being barely positive on average. Supporting the trends in social spending made possible by unusually high commodity prices wa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whichconfronted(직면하다)many countries with painful adjustments.
지난 5년간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 해의 경제 성과는 실망스러웠으며 성장률은 평균적으로 거의 긍정적이지 않았다. 상품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높아 사회적 지출 추세를 지원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면서 많은 국가들이 고통스러운 조정에 직면하게 되었다.
Over 2019, socialunrest(불안)erupted across the region, reflecting a widening gap between popular expectations and economic and social realities. And then, in early 2020, international oil prices collapsed.
2019년에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불안이 발생하여 대중의 기대와 경제 및 사회적 현실 사이의 격차가 커졌다. 그리고 2020 년 초 국제 유가가 무너졌습니다.
This is also when the Covid-19 outbreak unfolded. Countries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have a rich history of severe adverse shocks, includingprecipitous(가파른)falls in commodity prices, dramatic tightening of financial conditions, and major natural disasters. The current external environment of the region bears similarities with this history, which implies that previous experience will be very valuable. But the Covid-19epidemic(유행/전연병)brings in a newdimension(양상/차원), as the measures needed to contain the outbreak of the epidemic also result in a major supply shock.
Covid-19가 발생했을 때도 마찬가지다.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의 국가들은 상품 가격의 급격한 하락, 재정 상황의 급격한 쇄신, 주요 자연 재해 등 심각한 악영향의 역사가 가득하다. 현재 외부 환경은 이 역사와 유사하므로 이전 경험이 매우 중요다. 그러나 Covid-19 전염병은 전염병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들도 큰 공급 충격을 초래하기 때문에 새로운 차원을 가져온다.
The channels through which theadverse(부정적인)external shocks will affect domestic economies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Demand from China and G7 countries will fall dramatically, but potentially to different extents, with diverse implications for commodity exporters in South America and for exporters of manufactured goods and services in Central America and the Caribbean. The decline of oil prices will have deleterious consequences for countries whose exports earnings and budget resources critically depend on oil, but it will bring relief to net oil importers.
국내외 경제에 부정적인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통로는 국가마다 다르다. 중국과 G7 국가의 수요는 남미의 상품 수출국과 중미와 카리브해의 제조 상품 및 서비스 수출국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면서 급격히 떨어질 수 있지만 잠재적으로 다른 범위로 떨어질 것이다. 유가 하락은 수출 수입과 예산 자원이 석유에 크게 의존하는 국가들에게는 해로운 결과를 가져올 것이지만, 순 석유 수입국에게는 구호를 가져올 것이다.
Air traffic has fallen to a trickle as flights have been massively cancelled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virus. The resulting collapse in tourism will severely impact countries in the Caribbean basin, but others less so. As for the supply shock,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is only in the initial stages of epidemic. While all the G7 economies saw their first cases by the end of January 2020, the first deaths in the region happened almost two months later, in mid-March.
항공업계 추락은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비행이 대량으로 취소되면서 부터다. 그 결과 관광이 붕괴되면서 카리브해 유역의 국가들에 심각한 영향을 줄 것이나 다른 국가들에게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공급 충격에 관해서는,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 해는 전염병의 초기 단계에 있다. 모든 G7 경제가 2020 년 월 말까지 첫 번째 사사례를 보았지만, 이 지역에서 첫 사망은 거의 2 개월 후인 3 월 중순에 일어났다.
The onset of a pandemic is characterized by deep uncertainty, especially as the virus is new and itscontagiousness(감염성)andlethality(치명성)are not well known. Because of this uncertainty, most governments havesensibly(현명하게)chosen toerr(오류)in the direction of saving lives, “at any cost” if needed. But several months after the outbreak of the epidemic, the growing availability of epidemiological and economic data allows assessing the impact of the measures adopted. For latecomers to the epidemic, this timelag(지연)provides an opportunity to adjust the policy response.
전염병의 발병은 특히 바이러스가 새롭고, 전염성과 치명성이 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심각한 불확실성이 특징이다. 이러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대부분의 정부는 생명을 구하는 방향으로, 필요한 경우 “어떤 비용으로” 오류를 일으키는 것을 현명하게 선택했다. 그러나 전염병 발병 후 몇 개월이 지나면 역학 및 경제 데이터의 이용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채택 된 조치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 후발 후유증 환자에게 이 시차 는 정책 대응을 조정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Countries across the region have been trying to manage the tradeoff between health costs and economic costs. Getting that balance “right” requiresassessing(평가하는)both the health impact and the economic impact of the measures that may be adopted tocontain(억제하다)the spread of the epidemic. These measures range from national-levelquarantines(검역소)and population lockdowns to social distancing initiatives targeted at vulnerable population groups, such as the elderly, or to specific locations.
이 지역의 국가들은 건강 비용과 경제 비용 간의 균형을 관리하려고 노력해 왔다. 균형을“올바르게”하려면 전염병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채택 될 수있는 조치의 건강 영향과 경제적 영향을 모두 평가해야한다. 이러한 조치는 국가 차원의 검역소 및 인구 고정에서부터 노인과 같은 취약한 인구 집단 또는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거리 이니셔티브에 이르기까지 다양다.
[주택청약종합저축] 내 집 마련 준비를 위한 시작! / 청년우대형 주택청약 알보기 / 청약신청법 #주택도시기금
#주택청약 과 관련된 모든 정보들은 위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내 집을 가지고 싶다는 생각
내 인생에서 자취를 해봤다고 할만한 기간은 터키 이스탄불에서 교환학생을 했을 당시 기간이었을 것이다. 독립적인 공간이라기 보다는 집을 다른 외국인 친구와 빌려 방만 각각 나눠쓰는 쉐어하우스 개념이었다. 대학교를 졸업하고 일을 하면서 #자취 에 대한 로망과 #내집마련 이라는 꿈을 가지게 됐다.
나만을 위한 나만의 공간을 가지고 싶다는 것이 어릴 적에는 매우 쉬워보였는데, 어떤 곳에서 어떤 형태의 어떤 수준으로 살고싶은지에 따라 현실에서 요구하는 금액은 매우 천차만별이다. 새삼 우리 부모님이 대단해보인다. 일반적으로 사회초년생은 #전세자금 도 없기 때문에 #월세 로 시작을 하고 돈을 모아 대출을 받아 #전세 로 넘어가는게 일반적이다.
월세는 보증금을 내고 매달 돈을 지불하는 것이고 전세는 일정기간 (일반적으로 2~3년) 동안 집을 임대에서 사용하는 것인데, 전세는 계약기간 이후 전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지만 월세는 보증금을 제외하고 매달내는 돈은 돌려받지 못한다. 결론적으로 전세로 사는게 제일 이득이지만 전세자금은 기본 억단위이니 쉽지 않다.
광고
주택청약종합저축 만들기
#주택청약종합저축 에 대해서는 옛날부터 들어봤었는데, 20살때 어머니가 대구은행에서 주택청약예금을 만드셨고 아 나는 주택청약이 있구나 하고 신경을 안쓰고 살았다. 최근에서야 주택예금은 민영주택만 된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주택예금과 부금이 저축이 함께 묶인 새로운 상품이 나왔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두 군데를 모두 하려면 주택청약종합저축 을 새로 만들어야 했다.
주택청약은 사진과 같이 위에 해당되는 은행에서 만들 수 있으며, 사실 나같은 경우는 국민은행 어플로 바로 계좌를 개설했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위 은행 중 하나에서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은행을 할 것인지 고려해봐야 한다. 나는 대구은행을 하려다 내가 다른 지역으로 갈수도 있을 것을 고려하여 지점이 전국에 있는 국민은행으로 선택하여 주택청약 상품에 가입했다. 신분증만 들고가서 위 은행에 방문하면 바로 만들 수 있다.
주택청약상품은 일반 은행 예금적금과 달리 5천만원 한도의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국가에서 직접 관리하고 있으므로 파산으로 인한 상실의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청약가능한 최소한의 예치금액은 지역별 평수별 달라진다. 민영주택과 국민주택과 자격발생이 달라지는데 민영주택은 가입기간 1년 이상 (수도권 외 지역 6개월) 지역별 예치금 이상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국민주택 경우는 1년이상 매월 정해진 날짜에 12회 이상 납입해야 한다. 주택청약 모두 최소 2만원에서 최대10만원까지 매달 넣을 수 있는데, 그 이상을 넣어도 상관없지만 10만원 이상을 넣는다고 2회차로 인정해주지는 않는다.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을 함께 청약하고자 하는 경우는 매월 일정금액을 분할 납부하는 것이 유리하며
민영주택만 청약하고자 하는경우는 일시에 목돈을 납부하는 것이 유리합니다.(국민주택 청약시 납입회차가 중요하나, 민영주택 청약시 납입회차 상관없이 지역별 예치금액 납부여부가 중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에서 가져온 위 내용을 살펴보면 매월 일정급액을 분할 납부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한다. 하지만 민영주택만 원하는 경우는 위의 기준에 부합하는 예치금액을 한번에 50만원씩 넣어도 상관이 없다.
청년우대형주택청약종합저축
#청년우대형주택청약종합저축 은 무엇이 다를까? 사실 기능과 혜택을 모두 동일하지만 이율이 조금 더 높고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가입조건은 만 34세 이하면 가능하고 직전년도 신고소득이 있는 자로 연소득 3천만원 이하여야 한다. 가장 신경쓰이는 부분은 주택여부인데 아주 쉽게 설명하자면
1번은 본인이 독립을 해서 자취를 하지만 살고 있는 집이 본인명의가 아닌 경우를 의미한다.
2번은 본인 명의의 집이 없으면서 3년 내에 독립을 할 예정인자로, 내가 청년우대를 신청하는 기준으로 3년 이내 독립을 할 경우를 의미한다 (월세.전세로 살게 될 경우 가능)
3번은 무주택세대의 세대원, 내가 지금 부모님과 살고 있는데 그 집이 부모님 명의의 소유가 아닌 경우를 의미한다. 만약 부모님이 집을 소유(명의)하고 있다면 3번은 해당하지 않는다.
나같은 경우는 부모님 명의 집에서 세대원으로 살고 있으므로 청년우대형은 안되지만, 2번의 경우 내가 앞으로 3년 내에서 독립을 해서 무주택 세대주가 될 것임을 증빙한다면 청년우대형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중요한 점!!!가입기간이 2021년 12월 31일까지라는 것! 이후부터는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이 되어 있어도 청년우대형으로 전환을 할 수 없다.
필요한 서류를 살펴보면, 나 같은 경우 2번에 해당하는 경우
1. 직전년도 소득확인증명서
- 국제청에서 청년우대형주택청약 가입 및 과세 특례 신청용이라고 되어 있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
(혹시 소득확인증명서 발금이 불가한 경우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도 가능하다고 한다)
2.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최근3개월 이내)
나는 아직 독립을 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지금 빨리 하면 3년 이내에 독립을 해야하는 기간이 더 길어지므로 2021년 12월 전에만 신청을 하면 독립을 해야 하는 기간이 더 길어져서 아직 전환신청을 하지는 않았다. 어차피 주택청약우대형으로 전환을 해도 이율과 비과세 혜택은 무주택 세대주가 되었다는 증빙 이후에 적용이 된다.
청약 신청은 어디서 할까?
#청약홈 이라는 아래 사이트에서 신청이 가능한데, 메인 홈페이지 맨 아래에 보면 청약가상체험을 할 수 있다고 해서 해보려고 하니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고 한다 ㅠㅠㅠ 이제 대략적으로 어떻게 주택청약에 접근해야하는지 알게 된 것 같다! (솔직히 나를 위한 포스팅 ㅎㅎㅎㅎ)
청약홈
불러오는 중입니다...
나의 청약당첨확률은?
위 사이트로 들어가면 청약가점 계산이 가능한데 84점 만점으로 나오고 무주택 세대주 (혹은 무주택 세대주의 세대원)으로 살았는 기간이 길수록 유리하고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점수가 높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1년이상 12회 이상 꾸준히 납부를 하고 전용면적 가능 금액에 도달 할 수 있도록 하는것만이 방법이다, 나의 계획을 월 10만원씩 300만원이 될때까지 꾸준히 넣는 것! 30개월만 (?) 넣으면 되겠네....ㅎ 2년 6개월 빠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