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제는 하늘로? 에어택시

이제는 하늘로? 에어택시, 정혜영 기자, 에어택시

magazine.hankyung.com

많은 기업이 UAM 시장에 뛰어들면서 가장 큰 이유로 꼽는 것은 도시화다. 인구의 도시 집중에 따라 지역적·사회적 변화 양상을 일컫는 도시화는 인구 규모의 증가를 의미하기도 한다.

UN에 따르면 100년 전의 세계 도시화율은 불과 15%에 머물렀다. 이후 가파르게 진행돼 1950년에는 30%에 달했고 현재는 54%가량이다.

이 말은 지구상의 모든 인구 가운데 절반 이상이 도시에 살고 있다는 뜻이다. 2050년까지 세계 인구가 90억 명으로 늘어난다고 할 때 예측되는 도시화율은 75% 정도인데 앞으로 30년 동안 3개월 만에 1,500만 명이 사는 뉴욕 같은 대도시가 하나씩 늘어난다는 얘기다.

이미 미국을 비롯한 프랑스, 일본, 호주, 노르웨이 등 대부분의 선진국은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가 전체 인구의 80%를 넘는다. 한국 또한 도시화율이 90%를 넘어섰는데, OECD 평균을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급격한 도시화는 도시를 복잡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한정된 공간 내에서 인구 증가는 동일한 구간을 이동하려는 수요를 늘려 도로 자체가 복잡성을 감당하기 힘든 수준에 도달하는 탓이다. 이 경우 교통 정체로 길에서 낭비되는 시간이 2010년 1인당 연간 58.4시간에서 2050년에는 106.3시간으로 늘어나는데, 1년 동안 길에 버리는 시간이 2주 휴가와 맞먹는 수준이다. 게다가 도시화는 교통 문제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한정된 도시 공간 내에서 도로 증설, 주차장 확충 등의 대응이 쉽지 않은 탓이다.

이에 따라 2000년대 들어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은 자동차 중심의 육상 수송에 한계가 올 것으로 보고 새로운 이동 수단을 활용한 교통 체계 구축에 착수했고 그 대안으로 떠오른 게 바로 UAM이다.

물론 UAM이 우리 생활에 새로운 이동 수단으로 자리를 잡으려면 풀어야 할 난제가 많다. 제품 측면에선 안전성이 확보돼야 하고 손쉽게 이착륙이 가능한 헬리포트 등도 확충해야 한다. 하지만 가장 어려운 숙제는 제도적 난관이다. 그간 이동 체계는 공간을 육해공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서 이동 수단은 물론 관련 제도가 구축됐다. 그러나 제품의 상용화 시기가 다가오면서 각국 정부도 새로운 제도 마련에 분주하다. 한국만 해도 ‘한국형 도심 항공 교통(K-UAM) 기술 로드맵’을 설정했다.

오는 2025년 시범 운행을 시작으로 2030년은 성장기, 그리고 2035년을 성숙기로 나누고 한 시간에 최장 300km까지 이동하도록 기술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자율 비행, 야간 운항, 이착륙장 증설에 따른 노선 증가와 기체 양산 체계 구축에 따른 규모의 경제효과가 요금 현실화로 이어져 교통수단으로서 대중화를 이끌겠다고 선언했다.

저소음 및 저탄소 등 수용성 높은 교통수단이 될 수 있도록 친환경 연료를 통한 대기오염 감소, 저소음 추진 장치 개발에 매진하고, 정시성·안전성 제고를 위한 스케줄링 및 도심 장애물, 기상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보 수집 및 분석 기술을 마련하기로 했다.

 

 

 

우주 경제 시대가 다가온다

 

jmagazine.joins.com

달 기지가 심우주 탐사에 중요한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비용이다. 지구에서는 대형 우주선을 자주 발사하는 데 한계가 있다. 중력이 강하기 때문에 연료가 많이 들어가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대단히 심각하다. 만약 중력이 약한 지구 밖의 장소, 즉 달에서 우주선을 발사할 수 있다면 소요되는 비용과 에너지를 대폭 절약할 수 있다. 지구의 탈출 속도(중력에서 벗어나기 위해 필요한 속도)는 7.9㎞/s인 데 비해 달의 탈출 속도는 불과 2.38㎞/s다.

달 기지의 또 한 가지 중요한 역할은 자원 탐사 및 채취다. 세계 각국이 달에 다시금 주목하게 된 것은 달 남극에서 대량의 얼음이 확인됐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얼음을 채취하면 달에서 식수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물을 분해하여 산소와 수소를 생산할 수도 있다. 산소는 인간의 생존에 필요하고 수소는 로켓 등에 연료로 활용된다. 달이 심우주로 나아가는 데 필수적인 거점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그래서 일부 과학자들은 “월인(Lunatic)이 되지 않고서는 화성인(Martian)이 될 수 없다”고 말한다.

과거의 우주 경쟁은 미국과 소련 간 체제 경쟁이었지만, 이제는 사업 기회를 거머쥐기 위한 민간기업 간 경쟁이 됐다. 민간기업들이 서로 치열하게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우주 관련 기술의 성능은 개선되고 가격은 낮아진다. NASA는 중요하고 규모가 큰 사업이 있을 때마다 다른 정부 기관이 하듯이 사업체를 공모하고 경쟁을 유도하여 가장 우수한 기술을 선정한다. 정부 기관이 모든 비용을 감당해야 했던 과거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NASA의 상업용 달 화물 서비스(CLPS) 이니셔티브가 대표적이다. NASA는 올해부터 발사될 달 착륙선을 개발할 사업자를 2018년부터 공모하며 매년 사업자를 선정하여 계약을 체결해왔다. 이 공모에 지금까지 총 세 차례 선정된 미국 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즈의 CEO 스티브 앨티머스는 한 인터뷰에서 “NASA가 아주 일을 잘하고 있다”며 “CLPS는 혁신과 경쟁에 아주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달 기지와 자원 개발이 우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한 가지 더 있다. 우주 경제의 근간을 ‘우주에서 지구로(space-for-earch)’ 산업에서 ‘우주에서 우주로(spacefor-space)’ 산업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우주개발이 시작된 이래 지금까지 우주에서 이뤄진 경제적 활동은 거의 대부분 지구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지구에서 만든 것을 우주로 보내고 그 부산물을 다시 지구로 가져와야만 가치가 발생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우주의 자원을 우주에서 가공하여 우주에서 활용하고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 점차 생겨나리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한 걸음 앞으로 다가온 우주 경제 시대, ‘메이드 인 스페이스’ 나온다

한 걸음 앞으로 다가온 우주 경제 시대, 메이드 인 스페이스 나온다 이코노미조선 뉴 스페이스 블루오션 만드는 기업들

biz.chosun.com

우주 산업 영역은 발사체, 위성 개발에서부터 지구 관측, 우주 인터넷, 우주여행 및 호텔, 우주 광물 탐사, 우주정거장 등으로 거대한 블루오션이다. 참여 기업도 스페이스X, 블루오리진, 버진갤럭틱 같은 우주 기업은 물론이고 구글, 제너럴모터스(GM) 등 비(非)우주 기업으로 확장하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글로벌 우주 산업 규모가 2018년 3500억달러(약 434조원)에서 2040년 1조1000억달러(약 1365조원)로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담 조나스 모건 스탠리 애널리스트는 “효율과 혁신을 꾀하는 기업들이 앞다퉈 우주 시장 진출에 나선 점을 높게 평가했다”고 했다.

우주에서 자원을 채굴하는 것은 물론, 3D프린터, 로봇 등이 상품을 만들어 생산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이른바 ‘메이드 인 스페이스’가 나오는 미래 우주 경제 시대도 더 이상은 꿈이 아니다. 국내에서도 최대 방산업체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미래 성장동력으로 우주 사업을 확대하고 있고, 한화그룹은 우주 사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스페이스 허브’를 출범시킨 지 3월 7일로 1년을 맞았다. ‘이코노미조선’은 ‘우주로 가는 기업들’을 기획, 뉴 스페이스 블루오션 선점에 나선 국내외 기업들을 조명하고 전문가 의견을 구했다.

뉴 스페이스 시대의 중심에는 기업이 있다. 대표 주자는 스페이스X다. 2002년 설립된 스페이스X는 2010년대 중후반 재사용 발사체 개발 및 발사에 성공하며, 우주 산업의 패러다임을 정부 주도에서 민간 중심으로 바꿔놨다. 스페이스X의 도전은 발사 비용을 절반 이상 떨어뜨려 우주 비즈니스 기회를 호시탐탐 노리던 여러 기업들의 참여를 이끌었다. 현재 스페이스X는 ‘우주 인터넷 서비스’에 주력하고 있다. 스페이스X의 라이벌 블루오리진도 우주 인터넷 사업에 뛰어들었다.

 

 

기술 혁신의 유형 - 점진적, 급진적 혁신, 공정 혁신 그리고 제품 혁신

기술 혁신의 유형 기술 혁신의 유형에는 점진적(incremental) 혁신과 급진적(Radical) 혁신이 있음. 급진적 혁신은 보다 근본적인 혁신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전기엔진의 발명으로 가솔린 엔진을 대체

officestudent.tistory.com

기술 혁신의 유형에는 점진적(incremental) 혁신과 급진적(Radical) 혁신이 있음. 급진적 혁신은 보다 근본적인 혁신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전기엔진의 발명으로 가솔린 엔진을 대체한다거나, 유선통신에서 무선통신으로 발전하는 과정들은 모두 급진적 혁신이다.

이런 급진적 혁신의 특징은 기술주도에 의하여 혁신되는 것으로 과학자나 기술자들의 연구개발에 의해 추진된다. 급진적 혁신은 기술에 의해 일어난다는 주장을 뒷받침 하는 것은 Mowery, Rosenberg, Dosi 등의 기술주도 가설(technology-push hypothesis)이다. 이들은 기초 과학의 발달 정도가 기술혁신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과학기술의 육성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점진적 혁신은 근본적인 변화는 아닌 기존기술의 개선, 급진적 혁신의 보완적인 혁신 등 작은 기술변화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Schmookler, Vernon 등은 시장의 수요에 의해 니즈가 발생한 후 기술이 이에 맞게 발전한다고 주장(demand-pull hypothesis) 하여 기술주도 가설에 대한 반론을 기초하였다.

 

 

 

과학기술정책지원서비스(K2Base)

K2Base와 함께하는 과학기술정책정보의 조회와 분석

www.k2base.re.kr

급진적(radical) 혁신은 기존의 기술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으로 전환되는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작동원리가 전혀 다른 기술시스템을 채용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급진적 혁신의 특징은 기술이 과학적 지식에 바탕을 두면서 주로 기술주도에 의하여 혁신이 이루어지며, 불확실성이 높고 불연속적으로 일어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혁신은 기초과학이 발달한 경우에 가능성이 높으며 조직적 연구개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혁신과 성장의 묘약 `맥킨지 3 허라이즌`…그땐 맞고 지금은 아니다

[비즈니스 인사이트-228] 남녀가 진정한 사랑을 얻기 위해 '사랑의 묘약'을 찾는다면, 기업들은 오랫동안 영속하기 위해 '성장의 묘약'을 찾는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의 머다드 바가이, 스

www.mk.co.kr

블랭크 부교수는 기존 기업은 파괴적 혁신에서 생존하기 위한 4가지 방법을 참고하라고 말한다.

첫째는 외부 자원을 인센티브화해 목표나 미션에 집중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NASA(미 항공우주국)와 민간재보급 서비스인 스페이스X와 오비탈ATK 같은 기업들이나 애플과 앱스토어, DARPA Prize 챌린지 같은 이벤트다. 대기업은 스타트업에 필요한 수주 계약, 유통 플랫폼, 상금 등을 통해 빠르게 자사 제품을 개발하고 출시하기 위해 스타트업을 활용할 수 있다. 단일 스타트업과 계약이거나 보다 여러 스타트업을 인센티브화한 방대한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둘째는 혁신 기업의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외부 기업을 인수해 회사 비즈니스 모델에 존재하는 기존 강점을 결합하는 방안이다. 마치 구글이 안드로이드를 인수했던 것처럼 말이다. 이때 발생 가능한 리스크는 기업문화, 프로세스, 인센티브상 미스매치가 새로 인수한 조직의 혁신 문화를 질식시킬 수도 있다는 점이다.

셋째는 새롭고 파괴적인 혁신 기업을 빠르게 모방해 기존 비즈니스 모델로 시장을 지배하는 것이다. 과거 마이크로소프트(MS)는 넷스케이프의 웹 브라우저를 모방한 뒤 MS 도스(Dos) 운영체제(OS) 유통상 지배권을 활용해 웹 브라우저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한편 구글은 오버추어(Overture)의 클릭당 지불 모델을 활용해 기존 검색엔진상에서 광고 판매에 이용하기도 했다. 여기서 리스크는 고객의 문제를 이해하지 않은 채 혁신 결과만 베끼면 그 솔루션이 실제 타깃 고객을 놓칠 수 있다는 점이다.

넷째는 파괴적 혁신기업(디스럽터·disrupter) 보다 더 잘 혁신하는 길이다. 그러나 이는 기술적인 문제라기보다는 문화와 프로세스 문제에 가깝기 때문에 대기업이나 정부 기관에는 극히 어려운 일이다. 스타트업은 모든 것을 걸었기에 탄생한다. 대기업은 기존 시스템을 실행하고 보호한다. 그러나 애플과 아이폰, 아마존과 AWS, 미군과 무장 드론 같은 성공 사례도 있다.

 

 

사업 모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사업 모형(事業模型) 또는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은 기업 업무, 제품 및 서비스의 전달 방법, 이윤을 창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형이다. 기업이 지속적으로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고, 관리하며, 판매하는 방법을 표현한다. 또, 사업 모형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어떻게 제공하고 마케팅하며, 돈을 벌 것인지 계획하거나 사업 아이디어를 말한다

기업모델이란 '기업의 행동을 기술(記述)하고 예측하기 위한 모델'이라는 의미이다. 기업모델은 크게 2가지 주류가 있다.

첫째는 경제학의 미시적 이론에 있어서 전개되어 온 '기업이론(theories the firm)'에 입각한 모델로서 전통적인 기업모델이라고도 한다.

둘째의 흐름은 행동과학의 성과를 받아들인 행동과학적 기업모델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이것은 전자계산기(computer)를 이용한 대형모델인 경우가 많다.

새로운 행동과학적인 기업모델은 이론적 전통적 기업모델을 현실에 적용하기 위하여 계량경제학(計量經濟學)의 방법을 도입한 통계적 모델이기도 하다. 그리고 전통적 이론모델과 새로운 행동과학적 모델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지며, 동시적으로 존재한다.

 

 

[박정호의 창업실전강의]<178>고객은 '소비자'가 아니라 '사용자'라는 점을 기억하자

코로나19 이후 가장 급변한 경영 환경을 하나만 꼽으라면, 산업 전방위적으로 전개되는 온라인화를 꼽을 수 있다. 과거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전개됐던 많은 영역이 급속도로 온라인으로 전환되

www.etnews.com

소비자로 지칭되는 고객들은 특정 회사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구매를 해야 한다. 따라서 기업들 역시 자사 제품과 서비스가 얼마나 판매될지 예측하기가 쉽고 이러한 예측이 선행돼야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고객이 사용자로 지칭되는 지금은 상황이 크게 달라졌다. 사용자 기반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자사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할 사용자를 명확히 측정하기 힘들다.

과거 고객이 소비자였을 시절에는 이들을 설득하기가 오히려 용이했다. 과거에는 소비자들을 설득하기 위해 마케터들이 다양한 슬로건과 홍보 문구를 고민해 왔다. 그리고 상당수 소비자들이 이러한 홍보문구와 함께 제품과 서비스를 기억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고객이 사용자인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사용자들은 특정 홍보문구 등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기억하지 않는다. 그들은 다른 사용자와 정보를 공유하고, 그들이 전달하는 메시지를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이해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소비자보다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가 월등히 높은 경우가 많다.

소비자는 통제가 용이하다. 소비자들은 자신들 제품과 서비스를 분절적이고 개별적으로 소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용자는 다르다. 사용자는 특정 제품과 서비스를 혼자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과 함께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과정에서 해당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 평가에 의거해 크게 좌우되기 쉽다.

즉, 특정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심어주기 위해서는 해당 사용자만이 아니라 시장 전체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쳐야 한다.

소비자들은 제품과 서비스를 수동적으로 이용해 왔다. 초기에 회사에서 설정한 방식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사용자들은 다르다. 사용자들은 당초 회사에서 의도한 내용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유튜브 서비스는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시청하는 용도로만 기획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많은 기업가들이 유튜브를 활용해 제품 판매, 홍보, 언론 보도 등 다양한 비즈니스를 시도하고 있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1. 프레임워크 소개 스위스 로잔대학교 교수인 예스 피그누어(Yves Pigneur)와 그의 제자 알렉산더 오스터왈더(Alexander Osterwalder)가 창안한 비즈니스 모델 프레임워크로 한 장의 캔버스

acquiredentrepreneur.tistory.com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창시한 알렉산더 오스터왈더와 예스 피그누어는 그들의 첫 공동저서인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Business Model Generation)'에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정의를 아래와 같이 내렸다.

"비즈니스 모델이란, 하나의 조직이 어떻게 가치를 창조하고 전파하며 포착해내는지를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묘사해낸 것이다"

기업이 어떻게 고객가치를 창출하고, 전파하는지, 그리고 이로 인해 어떻게 수익을 창출하는지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려면 9가지 빌딩 블록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 9가지 빌딩 블록이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구성하는 9가지 요소이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9가지 요소는 고객, 가치제안, 채널, 고객관계, 수익원, 핵심자원, 핵심 활동, 핵심 파트너, 비용 등으로 이는 비즈니스의 4대 핵심 영역인 고객, 주문, 인프라, 사업타당성 분석 등을 포괄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한 장의 캔버스 안에 있는 9가지 빈 칸을 채움으로써 단순한 아이디어로만 머물러 있는 사업 아이템을 비즈니스 모델로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 등으로 교육/워크샵 등지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에 영감을 받아 복잡한 사업모델/개념 등을 한 장의 캔버스로 정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템플릿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시장세분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시장세분화(market segmentation)는 소비자수요를 종합적인 것으로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은 상호 유사한 몇 개의 세분(細分:segment)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하여 각각의 세분시장에 가장 적합한 제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전술한 제품차별화는 시장수요를 적합하게 하려는 경향을 갖는 데 반하여 시장세분화는 시장세분의 필요와 욕구에 제품을 적합시키려는 것으로서 제품차별화는 전적으로 고압적이라고 하는 것은 적당치 않겠으나 한층 유화적 소비자 지향적인 정책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시장세분화를 추진해 가면 대개 규모의 경제성도 얻으려 하게 되므로 이 정책은 필연적으로 제품다양화와 결부된다.

 

 

 

"벤치마킹 시대는 지났다…'가치혁신'으로 경쟁을 불식시켜야"

"벤치마킹 시대는 지났다…'가치혁신'으로 경쟁을 불식시켜야", CEO를 위한 경영학 <46> 블루오션 전략 경쟁없는 시장을 찾아서 (1) 융·복합으로 신시장 창출…호텔과 민박 장점 결합한 에어비앤

www.hankyung.com

블루오션 전략의 핵심적인 개념은 바로 ‘가치혁신’이다. 한마디로 말하면 블루오션 전략은 고객의 관점에서 치르는 가격을 뚜렷이 넘어서는 가치를 기업이 창출하는 방법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뛰어난 가치를 창출하는 방법이 반드시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다는 점 역시 블루오션 전략의 주안점이다.

요컨대 ‘저원가 고가치’를 추구하는 것이다. 블루오션 전략의 또 다른 강점은 현장에 접목돼 있다는 것이다. 가치혁신의 방법론을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많은 실제 사례들을 적용하면서 구체성을 높인 점이 돋보인다. 아래와 같이 세 가지 핵심 포인트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 기존의 경계를 넘어서 융복합을 추구함으로써 새로운 시장 기회를 발굴해 가치를 창출한다. 전통적인 제품, 서비스 제공의 시각에서 관념적으로 생각해오던 산업 내지 시장의 경계를 고객의 관점에서 재정의하는 것이다.

에어비앤비가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 있다. 전통적인 숙박업과 민박을 두 개의 분리된 시장으로 보지 않고 각각의 장점을 결합해 융합적인 사고를 함으로써 시작돼 블루오션을 개척한 사례다. 나아가 고객의 입장에서 왜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해 사용하는가를 구매 이전과 이후까지 포괄해 총체적인 사용자 경험의 측면에서 보면서 통념적으로 달리 보아온 제품과 서비스들을 융복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두 번째, 전략의 핵심적인 내용은 단순한 목표치 설정이 아니라 가치창출의 본질적인 속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돼야 한다. 리처드 루멜트 미국 UCLA 교수가 일갈했듯이, 경영자들은 목표설정을 전략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구체적인 숫자를 제시하고 이 숫자에 기반해 계획을 세우면 마치 회사가 전략적으로 잘돼 간다는 오해를 하기 십상이다.

블루오션 전략에서 소개하는 ‘전략 캔버스’는 도대체 우리 회사는 어떤 내용의 가치창출 요소를 가지고 있는가를 뜯어보는 일종의 전략 해부도다. 이제는 유명해진 태양의 서커스단이 캐나다의 작은 회사에서 글로벌 회사가 된 것도 서커스가 제공하는 전통적인 가치 요소를 완전히 달리 생각해 동물들이 등장하는 전통적인 서커스의 속성 등을 과감히 없애고 드라마에서나 보던 흥미로운 이야기 흐름을 서커스에 도입, 새로운 서커스 쇼를 탄생시켰기 때문이다.

끝으로 블루오션 전략은 고객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데, 바로 ‘비고객’의 개념이다. 자사 고객에게 어떻게 하면 더 많이 팔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것을 넘어서 이제까지 우리 것을 구매하지 않은 사람들은 누구이며 왜 그럴까에 대한 전략적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비고객은 세 개 층으로 세분되는데, 첫 번째가 약간의 노력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비고객이다. 현재 제공되는 가치 속성을 그들의 취향에 맞춰 일부 바꿔주면 곧바로 고객으로 편입될 수 있는 그룹이다.

두 번째 비고객층은 현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알고는 있지만 구매하지 않거나 구매 여력이 없는 사람들이다. 주어진 가치를 혁신적인 방법으로 가격을 낮춰 제공하는 방법을 통해 고객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대상이다.

세 번째 비고객층은 아예 이전에는 고객으로 생각조차 하지 않았던 그룹이다. 이 그룹은 완전히 새로운 조합의 가치 속성들을 제시함으로써만이 고객층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렇게 비고객층을 적극적으로 고객으로 전환해 시장 크기를 획기적으로 키워나가는 것이 블루오션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다.

 

 

 

Amazon Business Model | How does Amazon make money

Learn how biggest ecommerce retail giant Amazon makes money, their products and services, and their business model or revenue model.

bstrategyhub.com

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C%9D%B5_%EB%AA%A8%EB%8D%B8\

 

수익 모델(revenue model)은 비즈니스, 일반적으로는 온라인 비즈니스가 서비스를 화폐화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또, 수익 모델은 기업이 어떻게 수익을 내고 이익을 발생시키고 투자에 대한 최고의 수익률을 내는지 설명한 것이다.

구독형 수익모델(subscription revenue model)은 신문이나 고객의 리뷰, 논평, 리포트 등을 판매해 수익을 내는 모델이다. 구독형 수익 모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공 자료가 다른 자료와 구분되고 복제가 어려우며 어디서든 쉽게 구할 수 없는 높은 부가가치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거래 수수료형 수익모델(transaction fee revenue model)은 거래를 할 때마다 수수료를 받아 수익을 얻는 수익모델이다.

판매형 수익 모델(sales revenue model)은 고객에게 서비스, 상품, 정보를 팔아서 수익을 내는 모델이다.

제휴형 수익모델(affiliate revenue model)은 제휴 웹 사이트가 방문자를 다른 웹사이트로 보내주거나, 잠재고객들에게 필요한 웹사이트를 소개해주고 소개료 또는 손님이 구입한 금액의 일부를 받는 수익모델이다.

Mypoints - 기업과 잠재고객을 연결시켜줌으로써 수익을 얻음

Epinions, Yelp –잠재고객을 웹사이트로 이끌면서 수익을 얻음

Amazon - 블로그에서 아마존 로고를 놓고 아마존으로 오게 이끔

개인 블로거들 - 몇몇 블로거들은 판매 채널로 링크시키거나, 제품에 대해 높이 평가하는 글을 올려 제조자로부터 돈을 바로 받거나, 무료로 제품을 제공 받는다

광고형 수익 모델(advertising revenue model)은 전자 상거래의 가장 큰 수익 모델이다. 상품과 유통비용 방문자에게 광고를 노출하기 위해 드는 상품, 유통 비용은 광고주가 지불하기 때문에 고객에게 무료로 제공된다. 웹사이트의 메시지(배너), 검색명단, 비디오, 위젯, 게임, (인스턴트 메시지) 다른 온라인미디어로 제공된다. 이를테면 야후는 배너광고를, 구글은 검색어에 맞는 광고를 제공하여 수익을 얻는다.

 

 

 

플랫폼 수익 모델

플랫폼은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장이므로 그에 걸맞은 가치와 대가가 교환된다. 기본적으로는 수익 모델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워낙 플랫폼의 유형과 적용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자체적

terms.naver.com

플랫폼 수익 모델의 유형

플랫폼 자체의 수익 모델

많은 플랫폼 운영업체들은 플랫폼 자체를 수익 모델화한다. 그렇다고 전면적인 유료화를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서비스를 유료로 전환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부분 유료화는 플랫폼의 존재 가치와 역할, 중립성을 크게 해치지 않으면서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해 볼 가치가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드셰어(www.slideshare.net)는 슬라이드 문서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하면서 공유하는 플랫폼이다. 기본적으로는 무료이지만 유료 회원이 되면 개인 프로필 페이지 구성, 상세 통계 정보 제공, 원하는 사람에게만 슬라이드 공유, 용량 제한 해제, 광고 삭제 등 다양한 혜택을 받게 된다(윤상진, 2012). 슬라이드셰어는 2006년 설립된 이래 꾸준한 성장을 보여 2012년 3월 기준으로 2900만 명이 찾았으며, 프레젠테이션(PPT) 파일이 900만 개 이상 공유되는 플랫폼이 되었다.

광고료 수익 모델

광고료는 구글이나 페이스북의 가장 확실한 수익 모델이 될 만큼 가장 기본적인 플랫폼 수익 모델이다. 플랫폼 참여자가 많아지면 광고주가 알아서 광고 의뢰를 해오기 때문에 그만큼 수익이 발생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인기 있는 드라마 프로그램의 시작 전과 후의 광고료는 다른 프로그램의 광고료보다 높은데도 많은 광고주들이 그 시간대에 광고하기를 원하는 이치와 같다.

즉, 다수의 플랫폼 참여자가 모이는 플랫폼 내에는 광고가 몰리고 그만큼 수익이 창출되는 것이다. 이는 무료 앱(App)과 같이 무료로 운영되는 플랫폼에서 일반적으로 창출되는 수익 모델이다.

수수료(중개료) 수익 모델

수수료(중개료) 모델은 상품이나 서비스 등을 공급해 주는 사업자와 소비자가 만나 자유롭게 거래를 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 거래가 성사되면 일정 금액의 수수료를 챙기는 방식이다.

즉, 이 수익은 협력하는 생산자와 이를 원하는 소비자를 중개하는 역할을 하고, 이에 따른 수수료를 받는 형식의 협력 플랫폼에서 발생한다. 앱스토어와 이베이가 플랫폼에서 일어나는 거래에 대한 수수료 모델로 수익을 얻는 대표적인 플랫폼 비즈니스를 구사하고 있다.

연구개발 전문 중개회사인 이노센티브(Innocentive)의 예를 들어 보자. 이노센티브는 175개국에 9만여 명의 과학자 집단과 보잉, 다우, 뒤퐁, P&G 등과 같은 전 세계 주요 기업을 연결해 두 가지 유형으로 기술 정보를 중개하고 있다(Davila, Esptein, & Shelton, 2006).

먼저, 외부 자원 도입형은 외부의 각종 기술 자원에 대해 기술 구매, 공동 및 위탁 연구, 합작 벤처, 기업 인수, 집단 지성 등 다양한 유형으로 수요자와 공급자의 협력 비즈니스를 전개하고 있다. 반면, 내부 자원 공개형은 기업 내부의 핵심 기술을 불특정 다수의 기업과 개인에게 공개해 새로운 시장의 형성, 기술 판매(licensing out)와 벤처기업 설립 등을 통한 분사화(Spin-off) 등을 도모하는 형태다(권성욱, 2013).

이와 같이 이노센티브는 플랫폼을 통해 수요자들과 공급자들에 대해 어느 한쪽도 적극적으로 통제하지 않고 그들의 기술적 문제와 협업 과제를 자유롭게 해결하도록 유도하는 대신 수수료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라이선스 모델

라이선스 모델(license model)은 전통적으로 플랫폼에서 가장 많이 채택하고 있는 수익 모델이다(윤상진, 2012). 소프트웨어는 물론 저작권, 상표권, 특허권, 음반저작권, 영화필름 등 무형 자산을 이용하게 한 대가로 발생한 수익을 말한다. 이러한 라이선스 수익은 자산을 타인에게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창출된 수익이므로 플랫폼 자산을 사용하도록 해 얻는 수익도 로열티 수익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플랫폼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한 라이선스 수익이다. 주요 선진 기업들이 플랫폼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에 뛰어들어 라이선스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최근 테크놀로지비즈니스리서치(TBR)가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12년 동안 클라우드 서비스로 가장 많은 수익을 벌어들인 곳은 바로 세일즈포스닷컴이다.

세일즈포스닷컴은 2012년 클라우드 서비스로 29억 달러(한화로 약 3조 1450억 원)를 벌어들였다. 그다음은 아마존의 웹서비스(AWS)인데, 매년 2배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AWS는 2012년 17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했다(심재석, 2013).

 

 

아이템 판매 모델

이 수익 모델은 플랫폼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판매해 수익을 얻는 모델이다. 이는 온라인 게임이나 소셜 게임 등 게임 플랫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모델이다. 아이템 판매 플랫폼 외에 아이템 거래를 중개하는 아이템베이도 있다(윤상진, 2012).

비수익 모델

플랫폼을 통해 직접적인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모델로는 순수 협력 플랫폼과 가치 활동 플랫폼을 들 수 있다.

순수 협력 플랫폼은 협력의 극대화를 위해 어떤 상업적 이용의 기회도 배제한 채 비영리적으로 운영되는 협력 플랫폼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WWO(World Without Oil)이며, 리눅스, 아파치, 위키피디아 같은 모델도 있다. WWO에서 운영하고 있는 대체 현실 게임(Alternate Reality Game)은 가상의 사건을 네티즌들이 해결하는 게임이다.

이 게임은 비즈니스 현실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CEO들은 이를 신상품의 개발이나 시장 조사 등 주요 의사결정에 시뮬레이션을 하는 형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위키피디아). 비영리 모델은 그 자체로는 수익을 창출하지 않지만 쉽게 협력을 이끌어내 수많은 사회적 이익을 창출한다(머쉬룸 블로그).

이에 비해 가치 활동 플랫폼은 자체적인 연구, 제품 개발, 지식 관리, 혁신, 생산이나 제조와 공급망 관리 등 내부 비즈니스 수행과 협업 활동에 플랫폼을 적용하는 것으로 그 자체로는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플랫폼의 경우 플랫폼 활용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제품 혹은 서비스를 만들어 내거나 그에 필요한 부품이나 기술을 제공해 궁극적으로는 수익을 창출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플랫폼 수익 모델 (플랫폼이란무엇인가, 2014. 4. 15., 노규성)

반응형
반응형

 

 

조사망률

사망은 출생과 더불어 인구성장의 본질적인 요인 중의 하나다. 출생이 인구 증가를 가져오게 하는 요인이라면 사망은 인구감소를 가져오게 하는 요인이다.또한 출생은 특정연령층의 인구증가

terms.naver.com

사망은 출생과 더불어 인구성장의 본질적인 요인 중의 하나다. 출생이 인구 증가를 가져오게 하는 요인이라면 사망은 인구감소를 가져오게 하는 요인이다. 또한 출생은 특정연령층의 인구증가를 가져오는 반면 사망은 모든 연령층을 그 대상으로 함으로써 인구구조의 전체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 나라의 사망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중 가장 단순한 것이 조사망률이다. 조사망률은 1년간 발생한 총사망자수를 해당 연도의 주민등록 연앙인구(7월 1일 기준)로 나눈 수치를 1,000 분비로 표시한 것으로 인구 천명당 사망자수를 의미하며 이는 한 인구집단의 사망수준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사망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6년 나라별 세계 사망률 사망률(死亡率, 영어: mortality rate, death rate)은 사망수준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로, 연간 총사망자 수를 해당 연도의 연앙인구로 나눈 수치를 1,000분비로 나타낸

ko.wikipedia.org

#조사망률 은 다른 지표들보다 계산에 필요한 자료를 쉽게 구할 수 있고, 가장 최근의 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조사망률은 자연증가율(조출생률-조사망률)을 계산하는 데 필요하다. 조사망률은 인구의 연령구조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특히, 사망가능성이 평균보다 높은 노년 인구구성비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국가나 지역 간의 전체 사망수준을 비교할 때 조사망률을 직접 이용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스웨덴의 2011년 조사망률은 인구 천 명 당 10이며 방글라데시는 인구 천 명 당 6으로 스웨덴보다 훨씬 낮다. 하지만 평균수명은 스웨덴이 2011년에 81세로 69세인 방글라데시보다 훨씬 길다. 이것은 스웨덴은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총인구의 18.5%인 반면에 방글라데시는 4.8%에 불과하기 때문이다.[2]

 

KOSIS 국가통계포털

국가통계포털 홈페이지 이용에 관한 질문과 답변을 게시하는 공간입니다. 문의하시기 전에 FAQ(자주묻는질문)를 먼저 참고하여 주십시오. 작성하신 글에 개인 정보, 광고성 정보, 타인의 명예를

kosis.kr

1.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인구구조가 다른 집단 간의 사망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연령구조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한 사망률을 의미합니다.연령표준화 사망률 = ∑(연령별 사망률x표준인구의 연령별 인구) / 표준인구수식은 위와 같으며, 표준인구는 2005년 전국인구(주민등록 연앙인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Rectangularization of the survival curve in The Netherlands, 1950-1992 - PubMed

In this article we determine whether rectangularization of the survival curve occurred in the Netherlands in the period 1950-1992. Rectangularization is defined as a trend toward a more rectangular shape of the survival curve due to increased survival and

pubmed.ncbi.nlm.nih.gov

Rectangularization is defined as a trend toward a more rectangular shape of the survival curve due to increased survival and concentration of deaths around the mean age at death.

http://contents.kocw.or.kr/document/Epi%20Transition.pdf

• 역학적 변천설 (Theory of Epidemiology Transition, Omran)

– 역질과 기근시대 (the Age of Pestilence and Famine)

• 다산 다사, 높은 영아 사망률 (평균수명 20), 높은 젊은 여성 사망률

• PMI < 50% • 피라미드 인구형태

– 범유행 감축시대 (the Age of Reducing Pandemics)

• 평균수명 30-40, PMI 50%

• 폭발적 인구증가 : 출산율 유지, 사망률 감소

– 퇴행성 인조질환시대 (the Age of Degenerative and Man-made Diseases)

• 평균수명 70 이상, PMI 70% 이상

• 항아리형, 소산소사, 대도시와 빈민가

• 만성질환 시대

https://www.data.go.kr/cmm/cmm/fileDownload.do?atchFileId=FILE_000000001274979&fileDetailSn=1&insertDataPrcus=N

 

 

시장경제 길라잡이 흑사병으로 유럽 인구 3분의 1이 사망한 이후 인구감소로 임금올라 결국 중세

<13> 노동력 부족의 시대 질병은 인류 역사에 깊은 상처를 남기고, 때로는 역사 자체를 바꾸기도 한다. 1910년대 유행한 스페인 독감은 사망자 숫자만 무려 수천만 명에 달했다. 어찌나 피해가 심

www.wowtv.co.kr

#흑사병 의 피해가 이렇게 전 지구적이었는데도 유독 유럽의 흑사병만 화제가 된 까닭이 있다. 바로 흑사병 이후에 유럽의 역사가 완전히 바뀌었기 때문이다. 흑사병 때문에 너무 많은 사람이 사망하자 병의 유행이 잦아든 뒤 유럽에는 여러 친척들로부터 유산을 다중 상속받아 벼락부자가 된 사람들이 생겨났다. 또한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노동력이 부족해지자 봉건 영주들은 농민층의 처우를 개선하기 시작했다. 살아남은 농민들의 임금은 계속 올라갔고 사회적 지위도 향상됐다.

영국에서는 농민들의 임금 인상 요구가 거세지자 이를 막기 위해 왕이 임금 인상을 제한하는 법까지 만들었다. 에드워드 3세는 이 법으로 노동자의 임금을 동결하면서 60세 이하 성인의 구걸 행위를 금지하고 노동을 의무화했다. 다른 농장에서 더 나은 조건으로 농민을 스카우트하는 것도 금지했다. 노동자들의 최대 임금을 흑사병 발생 이전, 정확히는 1346년 수준으로 동결하려는 게 법의 목적이었다. 하지만 그의 시도는 전혀 효과를 보지 못했다. 노동력 부족에 따른 임금 상승 현상은 이후 100년간 더 지속됐다. 토지에 대한 인구 비율이 흑사병 발생 이전 수준을 회복한 뒤에야 임금 상승도 진정됐다.

상당 기간 노동자와 농민이 누리는 삶의 질은 극적으로 향상됐다. 흑사병은 인류의 목숨을 엄청나게 앗아간 공포의 대상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역사의 수레바퀴를 힘차게 앞으로 돌린 원동력이기도 했다.

 

 

 

콜럼버스 교환

인간의 교류로 인해 발생하는 생태학적 변화. | 외국어 표기 | Columbus exchange(영어) | 1492년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이후 옥수수나 감자, 고추 등의 농작물이 유라시아에 전파되고 천

terms.naver.com

1492년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이후 옥수수나 감자, 고추 등의 농작물이 유라시아에 전파되고 천연두나 홍역이 아메리카에 전파되는 등 인간의 교류로 인해 발생하는 생태학적 변화를 일컫는다. 즉, 1492년 콜럼버스가 지금의 바하마제도의 한 섬에 도착한 이후 대륙 간 교류로 일어난 변화를 일컫는데, 여기에는 곡식 같은 재화뿐 아니라 유럽에서 옮겨와 원주민 인구를 격감시킨 질병들도 포함돼 있다. 이 말은 신대륙 발견으로 유라시아와 아메리카 사이에 교류가 이뤄지면서 동물과 식물, 다양한 미생물들이 교환되는 등 서로 다른 장소 간의 사회와 문화가 상호 변화과정을 거친다는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다. #콜럼버스교환

 

 

아일랜드 대기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일랜드 대기근(영어: Great Famine, 아일랜드어: An Gorta Mór, An Drochshaol)은 1845년에서 1852년까지 아일랜드섬에서 일어난 집단기근, 역병과 집단 해외이주의 시기를 일컫는다. 아일랜드 외부에서 이

ko.wikipedia.org

아일랜드 대기근 동안 대략 백만 명이 죽고, 백만 명이 해외로 이주하였다.[2] 이로 말미암아 아일랜드 인구는 20%~25% 감소했다. 대략적인 기근의 원인은 감자의 역병이었다.[3] 1840년대 감자 역병이 유럽 전체를 휩쓸며 감자 농사를 황폐하게 했지만, 유럽에서 대기근이 발생하지 않았다.

당시 아일랜드는 인구의 3분의 1이 감자에 의존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당시 정치적, 인종적, 종교적, 사회와 경제적 요소들이 아일랜드인들을 감자에 의존하게 만든 계기는 여전히 오늘날 역사적 논쟁의 주제가 된다.[4][5]

이러한 아일랜드 기근의 여파로 아일랜드의 인구는 크게 감소하였고, 대기근 이후에도 아일랜드인의 해외 이주는 계속 증가하였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1900년대 중반까지 아일랜드 인구는 계속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800만명에서 절반으로 줄게된다.

 

 

 

콜레라

콜레라에 감염되면 2~5일 동안 상당히 심한 구토나 설사를 일으킨다. 치료를 하지 않으면 설사가 점점 더 심해지다가 결국 '쌀뜨물' 같은 변을 보게 되며 이때 잿빛 점액 같은 게 둥둥 떠 있는 것

terms.naver.com

 

콜레라는 유럽에 새롭게 등장한, '근대적인' 질병이었다. 페스트는 이미 고대, 특히 중세 유럽에서 수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이끌었지만 콜레라는 인구이동이 잦아진 19세기 전반쯤에야 발병되었다.

콜레라가 유럽에 퍼진 데는 두 가지 요인이 있다. 첫째, 영국 선박들이 인구밀도가 높고 풍토병이 자주 돌았던 벵골 지역을 수시로 찾았고, 둘째 러시아가 이슬람 지역을 여러 차례 침략한 것이 그 원인이었다. 즉 러시아는 18세기 말엽에는 크림 반도를, 19세기 초에는 카프카스 지방을 점령했다. 그곳 주민은 대부분 이슬람교도로 해마다 순례여행에 참가했다. 그리고 순례 여행에 참가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접촉하면서 다양한 전염병을 옮겨왔다.

무역이 발달하고 교통망이 확대되면서 콜레라도 빠른 속도로 퍼졌다. 1865년에 전 세계적으로 유행한 콜레라가 이 사실을 증명해준다. 그해 봄, 수많은 성지 순례자들이 증기선을 타고 봄베이에서 예멘을 거쳐 메카로 이동했다. 그때 갑자기 콜레라가 발생했고 순례자들은 급히 피난행렬에 올랐다. 그러나 결국 콜레라는 같은 해 5월 지하드에서 수에즈로 번졌고, 몇 주일 지나지 않아 기선을 타고 지중해 연안과 흑해 항구를 통해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터키, 러시아 그리고 심지어 루마니아까지 퍼져나갔다. 1866년에 이르러 콜레라는 오스트리아와 독일까지 퍼졌다.

산업혁명의 과정에서, 인구이동이 잦아지면서 지역 색이 강한 질병이던 콜레라는 그 어디에서든 단기간에 확산되는 유행성 질병이 되어버렸다.

19세기 유럽에는 모두 다섯 차례에 걸쳐 전염병이 돌았다. 1817~24년, 1826~37년, 1841~62년, 1864~75년, 그리고 마지막으로 1882~96년까지 총 다섯 차례에 걸쳐 콜레라가 유행했다. 런던의 경우 콜레라 덕분에 사람들의 위생 개념이 크게 향상되기도 했다. 그러나 전염병을 근절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그러한 사실은 함부르크의 예를 보면 알 수 있다. 북쪽의 베니스라고 불린 함부르크는 물의 도시로, 중앙집중적이고 근대적인 상하수도 설치가 수십 년 동안 지연되고 있었다. 대신 '운하'와 연결된 하수도망이 인구밀도가 높은 이 도시의 가정집과 상점 등을 중심으로 설치되었다. 때문에 강 근처 집들의 화장실에서 나온 배설물은 바로 운하로 흘러내려갔다. 비가 많이 올 때면 하수가 역류하여 배설물이 도로 위로 떠다니기도 했다. 강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집들은 배설물을 제거하기 위해 쿰머바겐(Kummerwagen)이라는 분뇨수레를 불렀지만 제때 오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항상 배설물이 넘쳐났던 쿰버바겐은 도로 여기저기에 분뇨를 흘리고 다녔다. 하지만 당시 함부르크에는 상수도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주민들이 강물, 즉 알스터 강이나 엘베 강에서 직접 퍼온 물을 마실 수밖에 없었다. 한 의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대변-구강 경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변-구강 경로(大便口腔經路, 영어: fecal-oral route)는 사람의 대변에 있는 병원체가 다른 사람의 입으로 들어가 병을 옮기는 감염 경로이다. 대변-구강 경로를 통해 병이 퍼지는 주된 이유는 불충

ko.wikipedia.org

대변-구강 경로(大便口腔經路, 영어: fecal-oral route)는 사람의 대변에 있는 병원체가 다른 사람의 으로 들어가 병을 옮기는 감염 경로이다. 대변-구강 경로를 통해 병이 퍼지는 주된 이유는 불충분한 위생 시설로 인한 야외 배변과 개인 위생 소홀 따위가 있다. 흙이나 물이 대변에 오염되면 수인성 질병이나 토양 매개 질병이 옮을 수 있다. 또 음식물이 대변에 오염되는 것도 대변-구강 경로 감염의 사례이다. 엉덩이를 닦거나 아기 기저귀를 갈고 나서 손 씻기를 제대로 하면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대변-구강 경로의 주 요인은 ‘F’로 시작하는 다섯 단어인 손가락(finger), 파리(flies), 논밭(field), 액체(fluid), 음식(food)으로 요약할 수 있다. 대변-구강 경로로 전염되는 질병으로는 설사, 장티푸스, 콜레라, 소아마비, 간염 등등이 있다.

 

 

 

Child mortality: Top causes, best solutions | World Vision

While the number of preventable child deaths has dropped dramatically, child mortality is still a problem. A few simple solutions can save even more lives.

www.worldvision.org

예방 가능한 아동 살인자 5세 미만 어린이의 가장 예방 가능한 6가지 사망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조산(사망자의 18%) 폐렴(사망자의 16%) 선천적 기형(사망자의 13%) 신생아 감염, 말라리아, 패혈증, 홍역(사망자의 13%) 출생 합병증(사망자의 11%) 설사(사망자의 9%) WHO에 따르면 아동기 영양실조는 5세 미만 아동 사망의 45%를 차지하는 근본적인 원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영양 섭취는 많은 사망을 예방하는 데 기본이 됩니다. 생명을 구하고 아동 사망률을 줄이는 솔루션 세계 보건 기구에 따르면 5세 미만 사망의 가장 예방 가능한 원인에 대한 6가지 해결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즉각적이고 독점적인 모유 수유 산전, 출산 및 산후 관리를 위한 숙련된 도우미 영양 및 미량 영양소에 대한 접근 어린이 건강의 위험 징후에 대한 가족 지식 물, 위생 및 위생에 대한 접근성 향상 예방접종

 

 

Top 10 Causes of Death in Developing Countries - The Borgen Project

All of the top 10 causes of death in developing countries are preventable or treatable.The U.S. spends $8,362 per person per year on health, while Eritrea spends $12 per person per year on health. Improving healthcare services in developing nations will su

borgenproject.org

개발 도상국의 상위 10가지 사망 원인 관상 동맥 심장 질환 개발 도상국의 모든 사망 원인 중 가장 흔한 것은 관상 동맥 심장 질환(CHD)입니다. 2015년에 CHD로 인해 약 740만 명이 사망했습니다. 이 사망자의 약 4분의 3이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 발생했습니다. CHD는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 질환으로, 미국 국립심장폐혈액연구소(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에 따르면 잘못된 식습관, 신체 활동 부족, 과도한 음주 또는 흡연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하부 호흡기 감염 폐렴 및 세기관지염과 같은 하기도 감염은 연간 150만 명 이상의 사망을 초래하며 이 중 42%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합니다. 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에서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이러한 감염은 5세 미만 어린이의 주요 사망 원인이며 열악한 생활 환경에서 발생합니다. HIV/AIDS 2016년에 HIV/AIDS로 인해 백만 명이 사망했습니다. 처럼 Business Insider 기사에 따르면 수년 동안 HIV/AIDS는 아프리카의 주요 사망 원인이었습니다. 그러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교육이 증가함에 따라 더 이상 그렇지 않습니다.

 

주산기 상태 매년 태어나는 1억 3,300만 명의 아기 중 280만 명이 생후 첫 주 이내에 사망합니다. 이것을 주산기 사망률이라고 합니다. 그것은 출생 중 및 출생 후 시간에 어머니 또는 자녀의 사망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사망은 특히 출산 중 임산부에 대한 의료의 질을 개선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습니다.

뇌졸중 및 기타 뇌혈관 질환 매년 5백만 명이 뇌졸중으로 사망합니다. NCBI에서 발표한 논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예방 전략에는 금연, 식이 습관 개선 및 신체 활동 부족 증가가 포함됩니다.

설사병 WHO에 따르면 매년 약 525,000명의 5세 미만 어린이가 설사병으로 사망합니다. 이러한 질병은 깨끗한 물을 마시고 선행을 실천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습니다.

위생 습관. 말라리아 매년 백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말라리아로 사망합니다. CDC에 따르면 말라리아는 질병을 옮기는 모기인 Anopheles gambiae complex로 인해 아프리카에서 가장 널리 퍼집니다. 아프리카에서 어린아이와 임산부는 면역이 발달되지 않았거나 감소하여 가장 큰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결핵 2016년에 결핵으로 사망한 사람은 170만 명입니다. 세계 은행의 보건 부문 우선 순위 검토(Health Sector Priorities Review)에 따르면 결핵은 치료할 수 있지만 화학 요법 없이는 사망률이 50%입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WHO는 2015년에 317만 명이 COPD로 사망했으며 그 중 90%가 저소득 또는 중간 소득 국가에서 발생했다고 추정합니다. NCBI 논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발도상국에서 흡연이 증가하여 COPD와 같은 흡연 관련 질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교통 사고 매년 125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도로 교통 사고로 사망하며, 그 중 90%는 저지대 또는 저지대에서 발생합니다. 중간 소득 국가. WHO에 따르면 도로 교통 사고의 원인에는 안전하지 않은 차량, 부적절한 법 집행, 영향을받는 운전자 및 과속이 포함됩니다.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2030 의제는 2020년까지 충돌로 인한 사망 및 부상 수를 절반으로 줄이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가능한 예방 방법에는 더 나은 교육, 더 안전한 도로 및 차량이 포함됩니다.

 

 

건강지표: DALY, QALY

GBD 2010과 DISMOD-MR의 자세한 내용은 이 슬라이드를 참고하길 바란다. 서론 미국 메이저리그에서는 세이버메트릭스(Sabermetrics)라는 분야가 대두되고 선수의 능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발히 활용

jinseob2kim.github.io

DALY는 한글로 표현하면 장애보정손실연수라 할 수 있는데, 질병으로 인한 사망 또는 건강문제로 인한 손실연수를 말하는 것이다. 헷갈리면 안되는 것이, DALY는 손실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평균기대수명으로부터 얼마나 더 손해보냐!!!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단어만 보고 잘못 추측하여 이것저것 보정하였을 때 개인 수명이 얼마나 되냐?? 를 말해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유념하자.

흔히 DALY == YLL + YLD 로 표현하며

YLL는 years of life lost로 사망으로 인한 손실을 의미한다. 성별, 질병, 나이를 고정하였을 때 YLL은

YLL=N×LYLL=N×L

(N: number of death, L: standard life expectancy at age of death in years) 로 표현되다.

YLD는 years lost due to disability로 장해로 인한 손실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YLD=I×DW×LYLD=I×DW×L

(I: incidence, DW: disability weight, L: average duration of the case until remission or death(years))

반응형
반응형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 무어의 법칙 > 용어의 정의

나노 관련 용어를 해설서 형식으로 풀어 설명해줍니다. 나노전자 무어의 법칙 페이지 정보 용어 무어의 법칙 요약 반도체칩 기술의 발전속도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칩에 집적할 수 있는 트랜지

www.nnpc.re.kr

무어의 법칙(Moore’s Law)은 반도체칩 기술의 발전속도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칩에 집적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의 숫자가 적어도 매 18개월마다 두 배씩 증가한다는 법칙이다.

인텔의 창업자 고든 무어(Gordon Moore) 박사는 반도체칩이 상용화된 지 4년 후인 1965년에, 반도체칩의 용량이 매년 두 배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고했다.

그러나, 변화의 속도는 지난 수년간 다소 느려져서, 매 18개월마다 두 배가 되는 것을 반영하기 위해 고든 무어의 승인 하에 이 법칙의 정의를 수정하였다.

1997년 9월에, 인텔이 발표한 2비트 플래시메모리와, 기존의 알루미늄을 구리로 대체한 새로운 회로칩에 관한 IBM의 발표 등은 무어의 법칙이 원래 의미로 회귀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S-곡선 이론

- 특정한 기술 출현하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혁신되고 채택되고 도태되는 과정을 패턴으로 그린 기술 혁신 수명주기가 전형적인 S곡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이론

• 기술의 발전과정이 S-곡선을 따름

 신기술 초기에는 기술발전속도가 더딤

 투자기/시험기가 끝나면 기술발전이 기하급수적 상승곡선을 타게 됨.(R&D 투자 효과적)

 성숙기에는 성과곡선은 완만해지고 혁신투자를 계속해도 기술의 한계에 도달하여 기존 기술보다 효율적인 대체기술 개발 필요

 후속대체기술은 완만하게 성장하지만 점점 가속도가 붙어서 특정 시점(T2)에 이르면 신기술이 기 존 기술의 성능과 원가를 따라잡음

 기존 기술과 달리 신기술은 계속해서 개선할 기회가 많이 남 아 있음

 결국 신기술은 시장에서 기존 기술을 밀어내고 주역을 차지함

(출처 :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gacheon/ahnyeonsik/5.pdf)

 

 

 

비용우위 전략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사업부 수준의 경영전략의 일종이다.

비용우위의 원천은 규모의 경제 (예: 자동차), 경험효과, 투입요소비용 (대형마트), 인터넷을 활용한 비용 절감 (컴퓨터, 아마존닷컴), 생산시설의 활용도 등을 들 수 있다.

생산시설의 활용도: 제철, 조선업, 반도체, 화학산업은 고정비용이 높다. 불황기에도 지속적으로 시설 유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경험효과 (학습효과): 누적 생산량이 증가하면 규칙적으로 제품 단위당 평균 생산 비용이 하락한다. 생산 공정에 종사하는 작업자들이 반복적으로 생산을 하다 보면 작업 효율성이 높아지고 낭비와 비효율이 제거되면서 발생한다. 생산 공정이 복잡하고 부품 수가 많은 항공기 제작, 반도체 산업에서 크게 나타난다.

IBM 호환 컴퓨터가 1990년대 초반 애플에 승리한 것은 비용우위로 볼 수 있다. 당시 애플은 프린터, 키보드, 마우스 할 것 없이 독자적으로 개발했지만 IBM 호환기종은 오픈 시스템을 형성하여 전문업체가 전문 제품에 집중함으로써 비용을 확 낮출 수 있었다.

또 애플 운영체제에 대비해 마이크로소프트가 Windows 3.0을 개발하면서 운영체제상의 차별화 우위도 잠식하였다. 그 결과 애플은 심한 몰락을 겪게 된다.

가치사슬을 통해 비용우위를 분석할 수 있다. 기업활동을 가치사슬에 따라 세분화한 후 세부활동이 총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파악하고 각 활동별 비용 결정 요인을 분석한 후 각 단계별 비용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면 구체적인 비용절감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비용우위 전략은 단순히 출혈을 감수하면서 가격을 낮추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가치사슬 상에서 생산비용을 각각의 기능에서 줄이는 노력을 일관되게 해야 비용우위 전략이 가능한 것이다.

 

 

 

bteam04 / 경험곡선

View To edit this page, request access to the workspace. Already have an account? Log in!   경험곡선 Page history last edited by PBworks 15 years ago 경험곡선 (1)경험곡선 정의 및 발생원인 기업의 코스트변화를 나타내는 곡선

bteam04.pbworks.com

기업의 코스트변화를 나타내는 곡선. 제품의 단위당 실질 코스트는 누 적경험량(누적 생산량 또는 판매량)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 비율로 저하 되어 나간다. 그 저하율은 누적생산량 또는 판매량이 2배가 되면 코스트 는 20% 정도 떨어진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누적생산량이 큰 기업은 코스 트도 낮고 수익성도 높다. 이 곡선은 기업의 경영전략을 구상하는 데 기초가 된다

경험곡선이 발생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이다. 가장 중요한 원인은 ‘학습’이다. 일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면서 노동자들이 일에 익숙해지고 이로 인해 생산량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원인으로는 ‘전문화’가 있다. 생산을 위한 다양한 업무가 표준화되고 프로세스와 워크플로우가 체계적으로 구조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생산 단계와 업무가 효율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점차 생산량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주요한 원인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이유들로 인해 경험곡선이 발생하게 된다.

 

 낮은 자본비용: 대량생산과 대량판매가 가능할 경우 좋은 조건에 자금조달이 가능

 낮은 원자재 비용: 대량 구매에 따른 낮은 구매비용 달성

 규모의 경제: 생산량이 증가하고, 고정비용이 많은 제품에 나뉘어 배분됨으로써 단위당 생산비용이 감소

 제품 및 생산 프로세스 개선: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술개선, 공장배치 효율화, 생산공정 등의 개선이 발생

 

 

대체육, 곧 기존 육류와 가격 비슷해진다...폭발적 성장 전망 - 데일리원헬스

[램인터내셔널=김도연 기자] 대체육 가격이 1% 하락하면 시장점유율은 3% 증가할 거라는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컨설팅그룹 \'커니(Kearney)\'는 최근 발표한 대체 단백질 보고서를 통해 대체육 제품

www.dailyonehealth.com

지난해 보스턴컨설팅그룹은 대체육 가격이 내년, 기존 육류 제품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이 경우 오는 2035년 전체 단백질 시장의 11%를 대체 단배질 제품이 차지한다. 기존 육류 제품은 환경과 건강에 대한 우려 증가와 정부의 규제로 오는 2025년부터 미국과 유럽에서 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가격 하락이 대체육 성장과 직결될 거란 전망은 소비자 반응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실제 커니의 조사에서 소비자 75%가 '내년 식물성 단백질 제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라고 답했다. 응답자 40%는 '구매 의향이 매우 높다'라고 답했다.

'대체 단백질 제품을 구매할 생각이 없다'라고 답한 비율은 25%였다. 구매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맛이 기존 육류 제품에 비해 떨어지고 가격이 비싸다'라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다. 이중 53%는 대체육을 구매하지 않는 이유로 '가격'을 꼽았다

 

 

 

창조적 파괴의 왜곡이 남긴 것

이코노미 인사이트 _ Economy insight 팬데믹의 또 다른 풍경

www.hani.co.kr

경쟁은 다른 형태로도 사라진다. 비자연적 조처로 가속화하는 소기업의 대량 사멸은 창조적 파괴의 왜곡이다. 경쟁을 지우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역시 건강한 경제를 방해한다. 큰 조직에서 빠른 혁신이 일어나기는 힘들다. 예외는 있지만, 거대함은 리스크를 받아들이는 것을 반기지 않는다. 규모가 클수록 주의성과 경계심이 늘어난다. 이는 혁신의 방해물이다.

리스크를 감수해야 혁신이 생긴다. 그것이 없다면 경제는 경화되고 성장은 느려진다. 지난 10년 동안 경험한 일이다. 소기업은 기업가정신의 양성소다. 이들은 기꺼이 위험을 감수한다. 설령 실패해도 그들은 다른 방식으로 사회에 공헌한다. 우리는 더 많은 소기업을 필요로 한다. 팬데믹으로 인한 사망은 비극이다. 그들의 부재는 경제와 우리 삶에 구멍을 남길 것이다. 국가는 팬데믹에서 가장 취약한 곳을 보호해야 한다. 그래야 공정하다. 하지만 슬프게도 반대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창조적 파괴

낡은 것은 계속 파괴하고 새로운 것은 계속 창조하면서 끊임없이 경제구조를 혁신해 가는 산업개편 과정을 뜻하는 경제학 개념이다. ‘슘페터의 돌풍(Schumpeter’s gale)’이라고도 한다. [창조적

terms.naver.com

창조적 파괴라는 용어는 오스트리아 태생의 경제학자인 조지프 슘페터(Joseph Schumpeter)가 마르크스(Karl Marx) 이론을 참고하여 1942년 《자본주의, 사회주의와 민주주의(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라는 저서를 통해 전파하기 시작했다. 즉, 슘페터는 창조적 파괴라는 용어의 보편적 전파자이다.

당초 마르크스는 창조적 파괴를 자본주의 체제에서 부의 축적과 소멸이 반복되는 과정이라고 규정했으나, 슘페터는 이를 경제혁신(economic innovation) 및 경기변동주기(business cycle)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 사용했다.

좀바르트는 1913년 저서인 《전쟁과 자본주의》에서 자본주의가 새로운 부를 창조하기 위해서는 그에 걸맞은 생태계 조성 차원에서 경제 질서를 반복적으로 파괴 · 재편해야 하며, 전쟁, 파업, 경제위기 등을 통해 끊임없이 기존의 부를 평가절하해야 한다는 의미로 창조적 파괴라는 용어를 만들어 냈다.

반면, 슘페터의 주된 관심사는 자본주의의 근본 원리이기보다 경기변동의 원인을 찾는 데 있었다. 슘페터는 경기변동의 가장 대표적 원인을 기술혁신(technological innovation)이라고 믿었다.

즉, 슘페터는 기술혁신에 의해 기존의 기술, 제품, 시장관행 등 낡은 것이 파괴되고 새로운 것이 탄생함으로써 끊임없이 시장질서가 변화하는 과정을 경기변동이라고 보았다.

 

 

 

Innovation Landscape Map - Routine, Radical, Disruptive and Architectural Innovation | InnovatingSociety

Find out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Innovation Landscape Map and its types of innovation - Routine, Radical, Disruptive, and Architectural.

innovatingsociety.com

Innovation Landscape Map은 혁신에 필요한 비즈니스 모델과 기술이라는 두 가지 요소의 관점에서 혁신 가능성을 시각화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여기에는 일상적, 급진적, 파괴적 및 아키텍처 혁신의 네 가지 유형의 혁신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유형의 혁신은 시장을 철저히 분석한 후에 접근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 분석에 따라 기업은 고려해야 할 가장 적절한 단계를 인정해야 합니다. 이 줄기에서 네 가지 유형의 혁신이 있습니다.

• 일상적인 혁신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나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지 않음

• 급진적 혁신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지 않지만 새로운 기술이 필요합니다.

• 파괴적 혁신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지만 새로운 기술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 아키텍처 혁신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새로운 기술이라는 두 가지 범주가 모두 필요합니다.

• Routine Innovation – requires neither a new business model nor new technologies

• Radical Innovation – does not require a new business model but does require new technologies.

• Disruptive Innovation – requires a new business model but does not require new technologies.

• Architectural Innovation – requires both categories: a new business model and new technologies.

비즈니스 모델 – 간단히 말해서 비즈니스 모델은 비즈니스가 가치를 생산, 제공 및 포착하는 방법을 설정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가치는 최종 제품에서 이익에 도달할 때까지 일부 심리적 요구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기타 요구를 해결하는 것까지 모든 것을 나타냅니다.

기술 – 이것은 회사(혁신하는)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 및 기술 자원입니다.

 

 

<시사금융용어> 혁신가의 딜레마 - 연합인포맥스

◆ 혁신가의 딜레마(Innovator's Dilemma)는 시장을 선도하는 기술을 가진 거대 기업이 어느 시점에서 더 이상 혁신을 이뤄내지 못하고 후발 기업의 기술에 시장 지배력을 잠식당하는 현상을 뜻한다.

news.einfomax.co.kr

 혁신가의 딜레마(Innovator's Dilemma)는 시장을 선도하는 기술을 가진 거대 기업이 어느 시점에서 더 이상 혁신을 이뤄내지 못하고 후발 기업의 기술에 시장 지배력을 잠식당하는 현상을 뜻한다.

클레이턴 크리스텐슨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가 1997년 출간한 저서 '혁신가의 딜레마'에서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거대 우량기업들은 기술 개발을 위해 공격적으로 투자하지만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주요 고객들이 기대하는 수준에 맞춰 기존 제품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에 집착한다. 반면, 새롭고 급진적인 기술 개발에는 인색한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선도 기업들은 새로운 시장의 판도를 열 만한 기반을 갖고 있지만 이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한 결과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는 게 이 용어의 핵심 메시지다.

최근에는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맞수인 삼성전자와 애플을 비판할 때 이 용어가 자주 언급된다.

시장조사업체 크리에이티브 스트래티지스의 산업 애널리스트 벤 바자린은 지난해 11월 "삼성은 5년 내에 스마트폰 사업에서 떠날 것"이라며 "삼성이 혁신가의 딜레마를 해결하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가격 경쟁력을 삼성전자가 감당해내기 어렵다는 점을 주장의 근거로 내세웠다.

특히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경우 삼성 외에도 선택지가 다양하기 때문에 혁신가의 딜레마에 빠지기 더 쉽다고 지적했다.

 

 

 

[HBR]파괴적 혁신이란 무엇인가

1995년에 본 지면에 소개됐던 ‘파괴적 혁신 이론’은 혁신주도 성장을 연구하는 강력한 방법론임이 입증됐다. 소규모 벤처기업의 리더들 다수가 이 이론을 자신들의 길잡이 별로 찬양하고 있다

www.hbrkorea.com

‘파괴’는 자원을 적게 가진 소기업이 기존의 안정된 비즈니스에 성공적으로 도전하는 과정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해보자.

기존 기업들은 가장 까다로운 고객층(또한 통상적으로 수익성이 가장 높은 고객층)을 위해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하는 데 집중한다. 이 과정에서 일부 고객층이 요구하는 품질 수준은 초과해버리고, 또 다른 고객들의 요구는 무시하게 된다.

한편 파괴적임이 입증되는 신규 진입기업(entrant)은 그 동안 기존 기업들이 간과해왔던 고객층을 겨냥해 적절한 기능을 낮은 가격에 제공함으로써 발판을 확보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기존 기업들은 요구 수준이 높은 고객층에서 나오는 고수익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여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신규 진입기업은 최초 성공의 동력이 됐던 장점을 유지한 채로 기존 기업들의 주류고객이 요구하는 성능까지 제공함으로써 시장의 상층부로 올라간다. 이렇게 주류 소비자들이 신규 진입기업의 제품을 대량으로 구입하기 시작할 때, '파괴'가 일어나게 된다.

 

 

01 - 파괴적 혁신기업과의 상생 전략 - 기술과혁신 웹진

파괴적 혁신기업과의 상생 전략 최근 한국 경제는 좀처럼 침체의 늪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침체의 늪을 벗어나 새로운 도약으로 이어질 수 있으려면 획기적 전환점이 필요하다. 이를 ...

webzine.koita.or.kr

기업 경영의 핵심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거나 도입하여 기존의 업무를 다시 계획, 조직, 지휘, 통제하는 것이다.

즉, 제품이나 서비스, 생산공정기술, 구조나 관리시스템, 종업원을 변화시키기 위해 새로운 혁신 방법이나 프로그램을 전략적으로 실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핵심적 본질을 변화시킴으로써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기존 경영혁신 방법은 대부분 존속적 혁신(Sustaining Innovation)에 바탕을 두고 있었지만 Clayton Christensen의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 모델이 등장하면서 기업경영혁신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고 있다.

존속적 혁신이 현재의 시스템 개선을 통해 기존 비즈니스를 고도화하고 그 성과를 가치 있는 방향으로 전파시킬 수 있는 혁신모델로 이해될 수 있다면, 파괴적 혁신은 현재의 시스템에 완전히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고 기존 비즈니스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켜 그 성과를 가치 있는 방향으로 전파시킬 수 있는 혁신모델로 이해할 수 있다.

 

 

[Industry Review] `성장의 함정` 피하려면…K배터리 성공 전략 3가지

허대식의 비즈니스 이노베이션 ① 해외공장 품질 안정화 자동화·현지인력 숙련도 향상 ② 핵심 소재 공급망 강화 광산 지분 인수·장기 공급계약 ③ 배터리 셀·양극재 다양화 고객이 고를 수

www.mk.co.kr

2021년 기준 글로벌 배터리 시장은 한·중·일의 상위 6개 회사가 약 84%를 점유하고 있으며, 중국 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은 93%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CATL이 점유율 32.6%로 세계 1위의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2위는 LG에너지솔루션(20.3%), 3위는 파나소닉(12.2%), 그리고 BYD(8.8%), SK온(5.6%), 삼성SDI(4.5%) 순이다.

특히 중국 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이 36.5%로 1위를 차지하고 있고 SK온과 삼성SDI의 시장 점유율을 합하면 한국 배터리 3사의 시장 점유율은 56.5%다.

한국의 배터리 3사는 급성장하는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 최근 공격적인 설비 증설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2025년까지 LG에너지솔루션은 400GWh, SK온은 220GWh, 삼성SDI는 121GWh 규모로 확장할 계획으로 신규 공장은 모두 중국, 유럽연합(EU), 미국 등 해외 시장에 집중됐다. 현재 생산 규모의 5배가 넘는 대규모 설비를 증설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동시에 주요 완성차 업체와의 파트너십 관계를 선점하겠다는 포석이다.

과연 이렇게 비약적인 한국 배터리 기업의 스케일업(scale-up) 전략이 성공할 수 있을까. 계획대로만 이루어진다면 1000만대 이상의 전기차에 K배터리가 장착되고, 글로벌 시장 점유율도 50% 이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기대를 현실화시키기 위해서는 생산 네트워크의 안정된 품질과 원재료 및 소재 공급사와의 강한 파트너십, 그리고 다원화된 제품 포트폴리오가 성장의 초석이 되어야 한다.

 

 

 

수소경제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부 정책뉴스포털.

www.korea.kr

탄소위주의 경제시대에는 원유와 천연가스를 전량 수입했기 때문에 국제가격 변동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현재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95%를 수입하고 있다.

이와 달리 수소는 어디에서나 구할 수 있는 마르지 않는 자원이다. 수소경제를 통해 에너지를 일정 부분 자급하게 되면, 안정적인 경제성장과 함께 에너지 안보도 확보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수소를 기존 화석연료에서 추출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지만 앞으로는 태양, 풍력, 바이오 등 재생에너지를 사용해 친환경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탄소와 달리 수소는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고 부산물이 물뿐인 깨끗한 에너지다. 특히 수소차는 주행하면서 대기중의 미세먼지를 정화하는 효과까지 발휘한다.

우리나라는 수소 활용 분야에서 이미 세계적인 기술을 확보하고 있고 이를 전통 주력 산업인 자동차·조선·석유화학과 연계하면 세계적으로 각국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수소경제를 선도할 가능성이 있다.

- 수소경제의 효과는 누적 1조원 수준으로, 2022년 16조원, 2030년 25조원으로 규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 고용유발 효과는 1만 명 수준에서 2022년 10만 명, 2030년 2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완성차 업체는 물론 연관 기업, 연구개발 인재 확대 등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300여 개의 국내 부품업체가 개발과 생산에 참여하고 있다. 수소 생산과 저장·운송 분야에도 다수의 중소·중견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1) 수소차

세계 최초로 수소차 양산에 성공했고, 핵심부품 99%의 국산화를 이루고 있다. 국내 수소차는 한번 충전으로 600㎞까지 달려, 현재 세계에서 가장 먼 거리를 달린다.

2) 연료전지

수소경제의 또 다른 축인 연료전지도 울산을 비롯한 대규모 석유화학 단지에서 수소차 확산에 필요한 부생수소를 충분히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3) 천연가스 배관

전국적인 천연가스 공급망도 우리나라 수소경제의 강점이다. 총연장 5천여㎞의 천연가스 배급망을 활용하면 천연가스에서 경제적으로 수소를 추출해 각지에 공급할 수도 있다.

 

 

 

INTRO - 수소의 실체와 함께 살펴보는 수소경제의 미래 - 기술과혁신 웹진

INTRO - 수소의 실체와 함께 살펴보는 수소경제의 미래 글. 유석현 고문 두산중공업(주) 산업혁명 이래 발전해온 화석연료 기반의 거대한 사회-기술체제를 닫고 수소연료 기반의 수...

webzine.koita.or.kr

 

수소전기차와 전기차의 경쟁: 상호보완 효과로 극복한다

수소전기차(FCEV)와 배터리전기차(BEV)는 종종 경쟁 기술로 설명된다.

그러나 수소전기차와 배터리 전기차는 상호 보완적인 강점을 가지며, 최근 미래자동차의 중심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배터리전기차의 성공은 수소전기차의 활용을 촉진할 수 있다.

두 기술 모두 전기를 이용한 구동기술이며, 따라서 산업 규모가 커짐에 전기구동계 및 기타 소재부품의 비용이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수소전기차와 배터리전기차는 미래 자동차 시장에서 현재 내연기관의 가솔린-디젤 기술과 유사하게 공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배터리전기차는 단거리 운행과 승용차에 유리하며, 수소전기차는 장거리 운행과 상용차에 유리하다.

수소전기차 기술과 배터리전기차 기술은 서로 단점 보완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기술이 다른 기술을 배척한다는 접근법은 타당하지 않다는 견해가 많다.

국제에너지기구, 맥킨지, 블룸버그 등의 유명 전망기관들도 2030년 이후에도 수소전기차와 배터리전기차는 공존하는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궁금증의 배경

인터넷 게시글로 종종 올라오는 소재 중 하나인

집 실내에서 신발 신고 생활하기

혹은 침대에 신발신고 올라가는 장면을

볼 때 마다 불편함(?)을 드러내는 사람들의

댓글이 고정적으로 달리는 것을 보고,

왜 이런 차이가 생겨났을까 궁금해서

검색하게 된 궁금증 ㅎㅎㅎㅎ 생각보다

논문이나 기사 같은 실증적인 자료들이

많이 검새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나름대로의

그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개인적으로는 해외에서 거주할 때 맨발로는

절대 생활하지 않고 최소한 실내용 슬리퍼는

무조건 신었는데, 아무리 바닥을 닦아도

층의 구분 없이 신발을 한 곳에 모아두다보니

뭔가 여전히 찝찝했기 때문이었다.

신발을 벗는다는 의미가

다른 문화권에서는 좀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또 무조건 서양이라고 실내에서 무조건 신발을

신거나 동양이라고 신발을 벗는건 또 아니라는 사실

 

 

한국인과 서양인, 누가 더 깔끔한가

내가 서양문화권(독일, 영국, 브라질, 미국 등 거주)에 살면서 크게 놀란 점은, 서양인들의 위생 관념이 너무 형편없다는 것이다. 우선 그들이 신발을 벗지 않고 집안에 들어가는 것이 가장 큰 놀

www.hankookilbo.com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더럽고 깨끗한 영역의 구분이 명확한 반면, 서양인들에게는 그 구분이 불분명해 보인다.

이 영역의 구분은 수평적, 수직적으로 모두 적용된다. 수평적으로 우리는 외부와 내부, 그리고 내부에서도 현관, 거실, 베란다, 화장실 등의 영역을 엄격히 구분하여, 신발을 벗든지 또는 그 영역의 용도에 맞게 다른 신으로 갈아 신는다.

반면 서양인들의 집에는 ‘현관’(신발을 벗는 영역으로 바닥의 높낮이로 실내 주거공간과 구분됨)이 없어서 실내 아무데나 신발을 벗어 놓든지, 혹은 신발을 신은 상태로 소파에 앉거나 심지어 침대 속으로도 들어간다.

우리의 영역 구분은 수직적으로도 작용하여, 대체로 위는 깨끗하고 아래는 더럽다고 인식하는 반면, 서양인들에게는 이런 구분조차 명확하지 않다. 우리는 그릇에서 음식이 바닥으로 떨어지면 절대로 주워 먹지 않고, 그곳이 집이 아닌 다른 곳이면 식탁에 떨어져도 대체로 주워 먹지 않는다.

우리가 공간을 나눠가며 깨끗함을 추구하는 태도는 전통적으로 방바닥에서 잠도 자고, 밥도 먹는 좌식생활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온돌이라는 방바닥 난방 시스템으로 따끈한 아랫목에서 밥공기까지 덥히던 우리들에게 바깥에서 신던 신발을 신고 실내로 들어오는 것은 위생 제1 원칙의 위배인 것이다. 반면, 의자나 침대 등을 사용하는 입식 생활을 해오고, 난방으로 벽난로를 떼는 서양인들에게 방바닥은 그다지 ‘신성’한 것이 아닐 것이다.

한국과 서양의 차이는 더 나아가서 농경민과 유목민의 차이로까지 확대해 볼 수 있겠다. 일찍부터 농경생활을 해오던 우리는 오랜 정착생활로 집 안팎과 위아래의 영역 구분을 까다롭게 하며 위생에 신경을 쓴 반면, 유목민 생활을 하던 서양인들은 이동 중 임시 거처에서 영역 구분이나 위생에 그다지 신경을 쓸 겨를이 없었을 것이다.

오히려 서양인들은 청소용 화학약품들에 의존하고, 그 종류도 엄청 세분화되어 있는데, 대체로 물청소와 물걸레질로 만족하는 우리의 위생관념을 못 미더워한다. 과연 방바닥을 물걸레로 깨끗이 닦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더러움을 차단하는 것이 더 위생적인 것인지, 아니면 집 안팎이나 위아래 영역 구분은 덜 신경 쓰고 약품으로 세균들과 싸우는 것이 더 위생적인 것인지 점점 모호해진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서양 사람들은 왜 신발을 신고 집에 들어가나요?

 

h21.hani.co.kr

온돌은 침구류를 구할 수 없는 서민이 겨울을 날 수 있는 중요한 시설이었습니다. 신체를 따뜻한 바닥에 밀착해 열을 전달받았던 것이지요. 고구려 벽화에 집 밖에 신발을 벗어놓은 모습이 그려진 것으로 보아 당시 이미 맨발로 실내에서 생활하는 문화가 자리잡은 것으로 보입니다.

박 교수는 유럽 고대의 주거문화에서 침실(안방)과 거실(마루)이 구분되지 않았다는 점도 신발을 신는 문화와 관련이 있다고 말합니다. 애초에 침실이 없으니 신발을 신고 돌아다니다가 구석 침대에서 잤던 거지요.

외국이라고 다 신발을 신고 생활하는 건 아닙니다. 온돌은 없어도 동아시아, 동부 유럽, 중동과 아프리카 일부 지역, 북유럽과 캐나다에서는 신발을 벗는 문화가 존재한다고 위키피디아에 나와 있습니다.

 

 

미국인이 신발 신고 침대에 올라가는 이유.

한국은 물리적인, 미국은 화학적인 위생에 중점 | 미국 살이하며 느낀 문화 차이 - 위생개념 미국에 처음 왔을 때 정말 놀란 것이 있는데, 우리나라와 위생관념이 판이하게 다르다는 점이다. 한

brunch.co.kr

위생관념에 따른 차이가 만들어낸 실내 신발문화 차이 (한국은 물리적/ 미국은 화학적) 라고 설명하는 아주 흥미로운 이야기! 혹시 나와 같은 궁금증을 가졌던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기를 ㅎㅎㅎㅎ

반응형
반응형

A 사람 le encanta

= 사람이 ~을 사랑한다

A 사람 le gusta

= 사람이 ~을 좋아한다

문장 앞에 A(아)가 꼭 있어야 함!

Deporte = sport

Jugar = to play

(스포츠 등의 게임에서 play)

Tocar = to play

(악기 연주에서의 play)

Simpática = nice

También = also

스페인어에서는 동사 앞에

Caminar = to walk

제3자 단수가 le gusta / le encanta 할

경우는 무조건 명사 앞에 A

 

Nos encanta = we love

Nos gusta = we like

Escuchar = listen to

Tocar = to play (악기)

Menor = younger

복수명사 hermanas

꾸며주어 Menores

Mayor = older

 

나 Escucho = listen to

너 Escuchas

그/그녀 Escucha

우리 Escuchamos

그들 Escuchan

Menor

Marido = husband

Esposo = husband

Esposa = wife

스페인어에서는 관사를 꼭 붙여주기

El baloncesto = (the) basketball

 

 

What is your name

= como te llamas

What is his/her name

= como se llama

Actividad = activity

Cual es = what(which) is

“A” Jorge le gusta jugar “al” baloncesto

 

 

우리 할아버지들

Nuestros abuelos

우리 할아버지

Nuestro abuelo

너의 친구들

Tus amigos

너의 친구

Tu amigo

A 사람 le encanta

A 사람 le gusta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