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100은 재생에너지 전기(Renewable Electricity) 100% 의 약자로 기업 활동에 필요한 전력의 100%를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생산된 전기로 사용하겠다는 자발적인 글로벌 캠페인입니다. RE100은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Carbon Disclosure Project)와 파트너쉽을 맺은 다국적 비영리기구인 ‘더 클라이밋 그룹(The Climate Group)’ 주도로 2014년에 시작되었습니다.
많은 양의 온실가스 배출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분야가 바로 발전 부문입니다. 화석연료 발전을 대체하면서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태양광과 풍력을 비롯한 재생에너지 발전이 이미 대안으로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재생에너지 기술은 이미 검증을 완료 했고, 효율이 향상되었으며, 경제성 역시 대규모 확산에 충분할 정도로 개선되었습니다.지난 해 새롭게 설치된 전력생산 설비의 80% 이상이 재생에너지 설비였습니다. 2019년 미국에서는 130년 만에처음으로 연간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석탄발전량을 추월하기도 했습니다. 2021년 상반기 선진국 모임인 OECD 국가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평균 33% 였습니다.덴마크는 77%, 캐나다는 71%, 독일은 43%, 프랑스 25%, 일본 22%를 기록했습니다.
2020년 말 6개의 SK 계열사인 SKC, SK실트론, SK머티리얼즈, ㈜SK, SK텔레콤, SK하이닉스가 국내 기업 최초로 RE100에 가입한 후에 지금까지 8개의 회사 - 아모레퍼시픽, LG에너지솔루션, 한국수자원공사, KB금융그룹, 고려아연, 미래에셋증권, SK아이이테크놀로지, 롯데칠성음료-가 가입하면서한국 RE100 회원사는 14개로 늘었습니다.
RE100에 가입하는 글로벌 기업의 수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우리나라 기업도 가입하기 시작한 것은 시급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주목적이지만 그만큼 중요한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글로벌 기후위기 시대에 기업이 온실가스를 줄이지 않으면, 글로벌 수출 경쟁에서 살아남기 힘들어지기 때문입니다.
세계적으로 더 많은 소비자들이 온실가스를 대량으로 배출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묻기 시작했습니다.글로벌 투자기관도 재생가능에너지 사용 확대를 비롯한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 성적을 투자에 중요한 요소로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RE100 회원사 중 일부는 자신의 공급망에 포함되어 있는 협력업체에게도 재생에너지 전기를 사용하여 생산된 부품을 납품하도록 요구하기 시작했습니다.
핀란드의 시트라(SITRA)는 독특한 싱크탱크다. 중앙은행이 출연해 연구소를 만들었고, 현재는 핀란드 의회의 감독을 받는다.
시트라는 1967년 핀란드 독립 50주년을 기념하여 창립됐다.처음에는 핀란드 중앙은행에서 재원을 조달했고 1991년에 정부의 재정지원 및 감독을 받지 않는 의회 직속기관으로 바뀌었다. 법적 지위는 ‘시트라법: 국가혁신기금법’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핀란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미래 전략을 수립하고 다양한 연구와 교육 사업이 주요 역할이다.
중앙은행이 출연하여 연구소 기금을 만든 이유는 정부 교체나 정권의 성격과 관계없이 장기적이고 일관성 있는 미래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4년마다 교체되고 유권자의 즉각적인 관심과 요구에 영향을 받기에 장기적 국가전략을 수립하기 어렵다. 1990년대 시트라는 핀란드 의회의 감독을 받는 기관으로 변화했지만, 연구소의 자율성이 보장되었기에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창립 당시 중앙은행이 주도하여 거액의 기금을 조성했고 운영비는 기금 운영에서 나온 수익금으로만 충당했다.현재 시트라가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가치는 약 8억 유로(약 1조 840억원)다. 이러한 운영 방식 때문에 정부의 지원을 받지 않고도 지속가능했으며, 시트라의 독립성, 자율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시트라에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167여명의 직원이 있다.사회복지와 보건 서비스 개혁, 환경 친화적 산업의 활성화, 지속가능한 경제 등 3대 비전을 실행할 연구와 미래예측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중이다. 정부 부처 공무원을 교육하는 프로그램, 민간 기관 컨설팅, 세계 각국 연구소와 공동 프로젝트 등도 주요한 활동들이다.한편 시트라는 환경 영향 지표를 고려하여 30여 개의 기업에 직접 투자하고 있다. 주로 에너지, 보건, 생명공학, 환경기술 등 분야의 기업들이다.
감독위원회의 역할은 시트라 소장 임명, 기금 운영 감독 등이다. 감독위원회에 여야 의원이 참여하기 때문에 초당적 운영이 필요하다. 핀란드는 합의를 중시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고 시트라를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6명의 이사회다.
스마트도시에 대한 정의는 국가별 여건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공통적으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기술을 활용하여,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며, 새로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플랫폼입니다.
스마트도시의 발전
국내 스마트도시는 U-CITY(유비쿼터스 도시)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습니다.U-CITY 사업은 2000년대 초반 화성 동탄, 파주 운정, 대전 도안, 인천 송도 등 신도시를 중심으로 공공 주도로 시작되었고, 유비쿼터스 도시를 효율적으로 건설하고 관리하기 위해 2008년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스마트도시의 개념은 더 이상 공공주도 신도시개발 사업이 아닙니다.신도시뿐만 아니라 기존 도시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한 핵심 수단이자 모든 도시가 지향하는 공통 목표가 되었습니다.그리고 공공은 민간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새로운 기술들이 안착하여 도시가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스마트도시 정보시스템
스마트도시 정보시스템은 스마트도시 정책 추진과정에서 생산된 다양한 정보를 한곳에 모아 서비스하는 온라인 플랫폼입니다. 스마트도시 관련 계획에서부터 스마트도시 사업, R&D, 거버넌스 등 공공에서 추진하는 다양한 정책을 공유하고 지식을 교환하는 소통창구입니다.
우리는 스마트도시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 모두에게 스마트도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국가 정책에 대한 공공과 민간, 일반 대중 간 깊은 신뢰관계를 구축할 것입니다.
또한단순한 정책정보 서비스를 넘어 과거에서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의 정책을 아카이빙 한다는 목표가 있습니다.스마트도시가 모든 도시의 공통된 목표가 된 지금 공공분야에서 방대한 정보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의 기록은 국내 스마트도시 정책의 발자취가 될 것이며,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에 지침이 되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유럽에서 2020년부터 시작된 가이아엑스 프로젝트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그 실체를 정확히 이해하기 쉽지 않다.오죽하면 가이아엑스 공식 홈페이지에는 ‘무엇이 가이아엑스이고, 무엇이 아닌가'라는 판별법이 제공되고 있다
그 본질은‘플랫폼들의 플랫폼'(platform of platforms)을 만드는 것이다.여러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이 인터넷이라면,가이아엑스는 네트워크 대신 여러 플랫폼들을 연결하는 일종의 ‘플랫폼넷’이라고 볼 수 있다.
플랫폼은 서로 다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함께 쓸 수 있게 한다. 문제는플랫폼 내에서는 상호운영성이 확보되지만 플랫폼들 사이는 여전히 단절되어 있다는 점이다.
미국과 중국의 글로벌 플랫폼들도 이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한다. 가이아엑스는 유럽이 이 문제를 해결해서 데이터시대의 주도권을 가지겠다는 의도를 깔고 있다.
플랫폼 간 연계를 추진할 때, 흔하게 혼동하는 개념이 ‘데이터 댐’이다. 데이터 댐, 혹은 더 일반적으로 ‘데이터 레이크’(data lake)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거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일이다. 이런 데이터 댐으로는 데이터의 자유로운 흐름을 지원하지 못한다.
가이아엑스 프로젝트도 이 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자신들의 목적이 데이터를 한 곳에 모으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들이 원래 있던 곳에 있으면서 필요할 때마다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런 공간을 ‘데이터 스페이스’라고 명명했다.
가이아엑스를 통해 유럽이 원하는 것은 디지털 주권을 지키는 것이다. 여기서 디지털 주권은 미국과 중국이 주도하는 데이터 자본주의, 특히 그중에서도 소위 ‘데이터 채굴주의'(data extractivism)를 벗어나는데서 출발한다.
글로벌 기업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유럽의 데이터를 마음대로 가져다 쓰는 현상황을 타개하고 유럽의 데이터는 유럽의 시민을 위해 활용되도록 보장하는 것이 데이터 주권이다.데이터는 비록 글로벌 기업의 클라우드에 담겨 있더라도 여기서 데이터를 꺼내 활용하는 방식을 스스로 정하자는 것이 가이아엑스의 기본사상이다.
하지만 유럽의 가이아엑스 전략은 많은 난관에 봉착해 있다.미국과 중국의 플랫폼으로부터 자율성을 확보하려고 시작했지만 정작 미국과 중국 기업이 대거 참여하게 되어 오히려 이들의 영향이 강해지는 역효과가 나고 있다.호랑이를 잡으러 호랑이 굴에 들어갔다가 오히려 호랑이에게 쫓길 신세가 된 셈이다. 정부는 지원만 하고 민간중심으로 추진한다는 접근법도 의도는 좋지만 이 사업의 추진력과 공정성을 약화시키는 장애요인이 되기도 한다.
로봇세(Robot Tax)란 근로자의 일자리를 뺏는 로봇에게 매겨지는 세금으로서 자동화 설비를 이용해 근로자들의 일자리를 뺏는 회사들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17년 MS 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미국의 IT 전문지 쿼츠와의 인터뷰에서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하는 로봇에게도 세금이 매겨져야 한다고 주장하며 주목을 받았으나지능형 로봇 확산에 따른 과세문제는 법적 지위, 일자리 문제, 프라이버시 등 고려할 문제들이 다수 존재한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당시 로봇세를 찬성하던 빌 게이츠는 로봇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일자리 감소, 세수 부족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할 필요가 있고, 로봇 보유 기업에 세금을 부과해 로봇의 한계수익을 낮춰 로봇 도입을 지연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늘어난 세수를 통해 일자리를 잃은 근로자와 고령자 지원이 가능하고 취약계층에 대한 사업시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로봇에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로봇세 도입을 반대하던 보스턴 대학과 MIT 대학의 학자들은과세대상인 로봇의 정의가 어렵고 로봇산업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으며, 로봇의 도입으로 생산성을 증대시킨 기업은 이미 법인세로 세금을 부담하고 있어 이중과세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스마트시티의 건설은 보다 더 살기 좋은 도시 혁신을 위해 필요 하나, 숨겨진 비용(hidden cost)를 수반하기 마련임.
ㅇ 이러한 스마트시티의 건설을 필요로 하는 강점(Strengths), 기회 (opportunities) , 뿐만 아니라 스마트 시티 건설에 수반되는 약점 (weaknesses)과 위협요인(threats)도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스마트 시티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가 가능
ㅇ 이러한 배경하에서 동 보고서에서는 스마트시티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요인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여 제공하고 있음.
SWOT 분석 결과, 스마트시티 건설로 디지털화를 통한 교통· 에너지 등 서비스 확산으로 도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점(Strengths)과 기회(Opportunities)로 작용하는 반면 - 도시간 디지털화·정보 활용능력 격차에 따른 양극화 우려, 예산상 제약, 규제 정비 미비 등은 약점(Weaknesses) 및 위협(Threats) 요인
7. 스마트시티 측정 지표 검토
□ (개요) 스마트시티는 현재 통일된 정의 및 측정방법이 없는 상황으로,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측정 지표의 개발이 매우 중요
인구변천(Demographic transition)은 전통적인 인구안정에서 근대적인 안정으로의 인구 상태의 전환과정을 말한다. 인구의 성장이나 감소는 두 개의 시점 사이의 인구수의 차이로 파악한다.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사망수준이 계속 떨어지기는 하지만(평균 수명이 계속 높아지지만) 출생수준이 더 빨리 떨어져 인구증가의 속도가 지속적으로 저하되게 된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전반에 이르자 유럽 및 북미의 산업 국가들에서 출생과 사망은 낮은 수준에서 균형을 이루었으며, 그 결과 인구는 다시 안정 상태에 도달하게 되었다.
개발도상국의 인구변천은 산업화의 과정에서 일어난 것이 아니었다. 한편,갑작스러운 사망력 저하로 인해 개발도상국의 인구증가의 속도가 무섭게 빨라지자, 선진국에서는 세계 인구위기론이 대두하였고, 이들 국가들의 지원과 유엔의 주도로, 개발도상국에 초점을 맞춘 출산억제 정책, 또는 가족계획사업이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었다. 그러면서 이들 나라들도 인구변천의 과정에 들어가게 된다.
Notestein과 Thompson의 학설
인구의 변천은 경제 성장과 병행하여 다음과 같이 3단계의 시기를 거친다.
제1단계:수만년간 세계인구가 겪어 온다산다사형으로 고 잠재적 성장단계
제2단계:고출생 저사망형으로서 높은 자연증가률을 보이는 과도기적 성장단계
제3단계:소산소사형으로서 인구감소의 시기이며 점차 인구가 현상 유지 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단계
Carlos Blacker의 학설
국가별로 인구성장률에 많은 차이가 있어 인구 변천을 3단계로 구분하는데는 한계가 있어Blacker는 5단계로 구분
제1단계:고위정지기로 출생률과 사망률이 모두 높아 인구는 정지 상태에 있거나 서서히 증가하는 시기(중부 아프리카 국가들).
제2단계:초기확장기로 경제발전의 시작 시기.환경위생 개선에 주력, 의식주 생활수준 증가, 평균수명과 수태율이 증가되어 출생률이 증가하는 시기(한국,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들, 북부아프리카국가들).
제4단계:저위정지기로사망률과 출생률이 최저선에서 유지되어 인구증가가 정지된다(이탈리아, 소련, 중동아시아, 온대 남아메리카, 일본 등).
제5단계:감퇴기로출생률이 사망률보다 낮아져 인구가 감소되는 시기(스웨덴을 비롯한 북유럽국가들,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인구변천 4단계
1단계(다산다사, 초기안정기) : 산업화 초기 다산다사
2단계(다산감사, 초기팽창기) : 사망률 감소에 따른 인구 증가기
3단계(감산소사, 후기팽창기) : 출생률 감소되면서 인구는 안정기에 들어섬
4단계(소산소사, 후기안정기) : 소산소사. 총인구는 증가한 상태로 안정적
제1차 인구변천
인구문제에 관한 초창기 논의는토마스 맬서스의인구론으로 대표된다. 인구론은 전근대사회에서 인구증가가 사회경제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맬서스는 인구성장이 억제되지 않았을 경우에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지만 생산성(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유발한다고 주장한다
인구 억제를 통해 경제균형이 회복된다는 초창기의 인구론은 인구증가가 사회경제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야기시킨다는 관점이다.인구론에서 인구구조의 변화는 궁극적으로 사회경제적 조건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여기에서 발전한 것이 고전적인 인구변천이론인 제1차 인구변천에 관한 논의라고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세계의 인구는 ①높은 출산율과 높은 사망률이 결합된 체계(1단계)에서, ②높은 출산율과 낮은 사망률이 결합된 체계(2단계)와, ③ 점차 낮아지는 출산율과 낮은 사망률이 결합된 체계(3단계)를 거쳐, 낮은 출산율과 낮은 사망률이 결합된 체계(4단계)로 이행해 왔다
두 번째 단계에서 세계의 인구는 유례없는 증가를 겪었고, 과잉인구·인구폭발 등 과 같이 맬서스의 인구론에서 제기한 우려가 이 시기에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경제발전의 초기단계에는 많은 국가들에서 높은 출산율이 유지되면서 먼저 유소년인구 비율이 증가하고, 다음 단계에서는 생산가능인구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이후 출산율이 낮아지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유소년 또는 생산가능인구에 비해서 고령인구의 비율이 증가하게 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다수의 국가들은 이와 같은 인구변천을 겪어 왔다
제2차 인구변천
제2차 인구변천은 고전적 인구변천 이론이 예측하지 못했던 대략 1960년대 중반부터 서구에서 본격화된 새로운 인구변동을 설명하는 대안적 개념이다.
제1차 인구변천에 이어 최근의 인구구조 변화를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설명하는 제2차 인구변천(SDT: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제2차 인구변천은 주로 혼인 및 출산에 대한 가치관 변화를 강조하면서, 저출산·고령화로 대표되는 최근의 인구현상에 대한 설명을 시도한다
제2차 인구변천에서는 인구학적 영역에서 변화가 계속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변화의 가장 중요한 내용은가족생활과 자녀에 전통적인 가치가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과 출산율이 대체수준 이하로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포함한다.
제2차 인구변천의 개념은 이후 지속적으로 다듬어졌다[10]. 사망력과 인구이동의 개념이 포함되었으며, 다양한 측면에서의 구조적 변화 (근대화, 서비스 경제와 복지국가의 성장, 고등교육의 확산), 문화적 변화 (세속화, 개인주의 가치관의 확산, 자기표현과 자아만족의 중요성 등) 그리고 기술적 변화 (피임 채택, 새로운 정보 기술의 확산) 등에 주목하였다.Van de Kaa에 따르면 제2차 인구변천은 자아만족, 선택의 자유, 자아발전과 라이프스타일 등 개인윁인 가치관의 변화와 함께 출산억제와 부모가 되려는 동기 등 가족형성과 관련된 태도의 변화 등을 포함한다.
최근 유엔인구기금(UNFPA)이 내놓은 ‘2014 세계인구현황보고서’에 따르면 오늘날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청년층이 살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전 세계 73억 인구 중 청년층이 약 18억 명에 이르고 있다. 전 세계 인구의 약 1/4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흥미로운 점은 전 세계 청년 인구의 89%가 아프리카나 아시아, 카리브해 등지와 같은 저개발국가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들 국가의 낮은 의료 수준으로 인해 평균수명이 짧고, 이들 국가에서 여전히 유행하는 ‘조혼제도’로 매일 약 39,000명, 10년 간 1억 4천여 명의 18세 이하의 소녀들이 어린 신부가 되어 이른 나이부터 출산을 시작해 출산율이 높아진 탓이다. 출산율과 평균수명은 평균연령과 젊은 세대의 비율을 결정한다.
이들 저개발국가의 열악한 경제·사회구조, 낮은 의료 및 교육수준의 견지에서 이들 젊은 인구를 바라보면 한없는 부담으로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아직 개발되지 않은 가능성의 개체로 본다면 이들 젊은 인구를 저개발국가의 발전 엔진으로 볼 수 있다.이들이 바로 가까운 미래에 국가 경제 활동의 선봉에 나설 ‘생산가능인구(15~64세)’로 성장할 주체들이기 때문이다. 만약 국가 전체적으로 생산가능인구가 부양해야 하는 사람들이 줄어든다면 더 많은 자원을 국가 경제 발전에 투입해 경제성장 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경제학에서는 이를 ‘인구배당효과’라고 한다.
인구배당효과를 가능하게 하는 출산율 감소가 저개발 상태에서는 부양비를 감소시켜 경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해 주지만, 인구 성장을 억제하여 장기적으로는 경제 발전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지속적인 출산율 감소는 생산가능인구를 포함한 전체 인구의 증가속도를 둔화시키기 때문이다. 1962년부터 산아제한정책을 통해 인구배당효과를 누리던 우리나라가 합계출산율 1.19명으로 OECD 최저수준으로 하락한 지금 다양한 수단을 통해 출산율을 높이려고 시도하는 이유도 저출산 현상이 경제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구배당효과를 더 이상 누리지 못한다는 사실이 고령화의 무기력함에 빠져 있어야만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인구배당효과의 선순환은 효과적인 사회 경제정책으로 인한 출산율 저하부터 시작되고, 이 과정에서 저개발국들은 선진국들의 경험과 조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저개발국들은 선진국들의 도움으로 인구배당효과를 극대화하고, 선진국들은 저개발국들의 지원 과정에서 성장 정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인구 문제는 미래가 현재의 우리에게 준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들이 존재하겠지만, 단일 국가가 아닌 인류의 과제라는 생각으로 접근할 때 세계가 상생할 수 있는 인구 문제의 해결책이 제시되리라 생각한다
여성이 결혼을 선택하지 않는 중요한 이유인 성불평등 환경은 갈 길이 너무 멀다. 현실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국제적 지표 몇 가지를 살펴보자.첫째, 영국의 경제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매년 발표하는 유리천장지수가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대상의 10번의 결과 발표에서 한국은 부동의 꼴찌다. 하지만 그래봐야 29개국 중 꼴찌이니 그렇게 충격적이지 않을 수 있다.
둘째, 유엔개발계획(UNDP)의 성 불평등 지수가 있다. 162개국에 대한 작년 발표에서 한국은 11위를 차지했다. 순위만 놓고 보면 양호하지만, 지수를 뜯어보면 실망스럽다. 5개 항목이 지수를 구성하는데, 그중 청소년 출산율이 매우 낮은 것이 순위를 끌어올렸기 때문이다.청소년 출산율은 15~19세 여자 청소년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나타낸 것으로, 한국은 이 수치가 1.4명에 불과해 압도적 1위다.
결과적으로 우리가 주목할 만한 지표는 세계경제포럼(WEF)의 성(性) 격차 지수다.성 격차 지수는 2021년 156개국에 대해 발표됐고, 한국은 102위였다. 이 지수는 경제, 교육, 건강, 정치 분야에서 남성 대비 여성의 달성도를 백분율로 나타내고 그 평균을 구하는데, 교육과 건강 분야의 성 격차는 나라마다 큰 차이가 나지 않아 경제와 정치 분야의 순위 결정력이 크다. 한국은 경제 분야 123위, 정치 분야 68위였다.
지수가 처음 발표된 2006년과 비교하면, 성 격차 자체는 축소됐지만 상대 평가에서 밀렸다. 그나마 정치 분야 지표에 ‘지난 50년간 여성 행정부 수반의 재임 기간’이 최고의 가중치로 포함돼 있어 정치 분야 순위가 2006년 84위에서 2021년 68위로 오르지 않았다면 결과는 더 안 좋았을 것이다.
문제는 경제다.경제 분야를 구성하는 지표 중 비슷한 업무에 대한 임금 격차, 근로 소득의 전반적 성 격차가 모두 100위 밖이지만, 특히 입법공무원, 고위 임직원 및 관리자 비율은 모든 지표 중 가장 낮은 등수인 134위다.한국보다 종합 등수가 좋은 나라에 소득 수준이 낮지만 남녀 격차는 작은 나라가 많이 포함돼 있기 때문에 소득 수준이 어느 정도 이상인 나라만 추려서 비교해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소득 수준이 높은 나라들이 성 격차도 작은 경향이 있어, 1인당 국내총생산(GDP) 2만달러나 3만달러를 기준으로 모아보면 한국의 상대적 위치는 전체에서보다 더 밀려난다.
어떤 시점의 연령별 출산율이 장기간 일정하게 지속될 경우 한 여성이 가임기간(15-49세)에 출산하는 평균 자녀수를 기간 합계출산율이라 하고,15세 여성이 단산할 때까지 실제 출산한 평균 자녀수를 코호트 합계출산율이라고 한다.일반적으로 합계출산율이라고 할 때에는 기간 합계출산율을 말한다.
프랑스 출산율 변화의 특징은합계출산율 (Total fertility rate), 연령별 출산율(Age-specific fertility rate), 완결 출산율(Completed cohort fertility rate)의 개념을 통해서 이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 국가의 출산 수준은 합계출산율 로서 측정된다.
특정한 연도의 합계 출산율은 15~49세 여성이 그 해까지 몇 명의 아이를 낳 았는지 각 연령대별로 여성 1000명당 낳은 자 녀 수의 평균(연령별 출산율)을 구한 후, 이러한 35개 코호트의 연령별출산율을 모두 합하여 구한다. 따라서합계 출산율이라고 하는 것은 전체 가임 여성이 합계 출산율 측정 연도 시점까지 낳은 평균 자녀 수를 의미한다. 합계 출산율 이 가임 여성이 당해 연도까지 낳은 자녀 수를 고려하여 계산되기 때문에 가임 기간이 최종 연 령인49세에다다른여성을제외하고여성의전 체 가임 기간 동안 낳는 자녀수를 고려하지 못 한다는문제가있다.
여성이 전체 가임 기간 동안 낳은 자녀수를 반영하여 구하는 출산율은 완결 출산율 (Completed cohort fertility rate)이다. 완결 출산 율은49세까지생존한여성이전체가임기간에 낳은 평균 자녀 수이다. 따라서 완결 출산율은 당해 연도에 50세 혹은 그 이상의 연령에 도달 한 여성에 대해서만 구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010년의 경우 2010년에 50세 혹은 그 이상 연 령에 도달한 1961년 이전에 태어난 여성에 한 해서만 구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1980년 에 태어나서 2010년에 30세에 도달한 여성의 경우 아직도 아이를 낳을 가능성이 많이 남아 있기 때문에 2010년도 시점에서 이들의 완결 출산율을 알기어렵다.
145개국이 가입한 '난민 지위에 관한 유엔 협약'은 1951년 채택됐다. 협약 가입국들은, 국제법상 난민을 생명이나 자유가 위협받을 수 있는 곳으로 되돌려 보내서는 안된다.
거기서의 '난민'이란 "인종·종교·국적·특정사회집단에의 소속 또는 정치적 견해를 이유로 박해를 받게 될 것이라는 충분한 이유 있는 공포 때문에 자국국적 밖에 있는 자 및 자국의 보호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그러한 공포 때문에 자국의 보호를 받기를 원하지 않는 자"다. 즉 돌아가면 부당한 이유로 핍박받을 수 있는 자들이 난민으로 인정되고, 유엔 협약 가입국들은 그들을 받아들여 보호할 의무를 지닌다.
그런데21세기 들어, 이같은 20세기형 '정치사회적' 난민의 정의에 포함될 수 없는, 새로운 유형의 난민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고향에서는 도저히 삶을 지탱할 수 없어 고향을 버려야 하는 생계형 난민들, 이른바 '경제 이주자(economic migrant)'다. 내전 등 만성적 폭력, 식량의 절대 부족, 지구온난화에 따른 자연재해 등 생계를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불가피한 이유들로 인한 이주자들이 급증하게 된 것이다.
특히 최근 교통과 통신수단의 획기적 발달로, 지구상의 다른 곳에 가면 살 길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생사의 기로에 놓인 난민들이 무작정 고향을 등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인권은 최소한의 존중도 받지 못한 채 오히려 이주 도중 또는 이주 이후에 더 큰 생명의 위협에 처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한국의 경우 '박해'의 위험을 대단히 엄격하게 해석한다. OECD 국가 가운데 최저 수준의 난민 인정률을 기록하는 이유다. 한국은 정부의 1차 심사에서 '난민' 자격을 거의 주지 않아, 한국에서 난민으로 인정받은 사람들 대부분이 몇 년에 걸치는 법원 소송을 거쳐야 했다. 한국은 또, 박해의 범위를 넓게 인정하는 북미나 유럽 국가들과 달리, 가정 폭력, 성소수자, 소수 종교 등 정치적 망명 이외의 박해는 거의 인정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그 엄격한 의미의 '난민' 이외의 난민은 어떤가, 그들도 역시 인권 보호의 대상이 되어야 할까?
사막화로 더이상 농업을 할 수 없는 아프리카의 고향을 버리고 떠도는 이들은 어떠한가? 종교적 박해를 피해 방글라데시로 도피한 100만명의 로힝야족은? 한국에 3년 또는 5년 계약으로 들어와 3D 업종을 전전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은 어떤가? 한국에 시집온 우즈베키스탄의 여성은? 싱가폴에 가정부로 취업한 필리핀 여성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는 이란인은 어떤가?
그렇다면 한국에 일자리가 없어 일본에 취업한 한국의 젊은이는 어떠한가? 한국의 미세먼지를 피해 청정한 뉴질랜드로 일시적 이주를 한 한국의 부모는 어떠한가? 이들의 기본 인권은 보호되어야 하는가? 이들의 안전한 이주와 정착은 보장되어야 하는가? 이들이 착취와 차별을 당하지 않게 막아야 하는가?
위에서 언급한 모두가, 국제 이주자(international migrant)다.우리가 그토록 막연히 외쳐온 세계화로 전세계가 연결되는 현재의 지구촌에서는 누구도 잠재적 국제이주자의 가능성에서 예외가 될 수 없는 것이다.
..........
예멘 난민을 무조건 배척하고 외국인 노동자의 인권은 외면하고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을 차별하고 필요한 전문직에 대한 문호는 닫아두면서, 외국에 사는 한국인에 대한 차별, 미국의 한국인 전문직 비자 쿼터 축소, 글로벌 대학이나 기업의 아시아인에 대한 차별에만 분노할 명분이 있는 것인지, 그게 모두 별개의 문제인지 아니면 연결된 문제인지, 혈통민족주의적 관점을 벗어난 보다 냉정한 접근이 필요한 때다.
"체약국은 난민을 어떠한 방법으로도 인종, 종교, 국적, 특정사회집단의 구성원 신분 또는 정치적 의견을 이유로 그 생명 또는 자유가 위협받을 우려가 있는 영역의 국경으로 추방하거나 송환하여서는 아니 된다. (No Contracting State shall expel or return ("refouler") a refugee in any manner whatsoever to the frontiers of territories where his life or freedom would be threatened on account of his race, religion, nationality, membership of a particular social group or political opinion)." - 난민협약 제33조
또한 강제송환금지의 원칙은 난민협약 뿐만 아니라 ‘고문 및 기타 잔인하고 비인간적이거나 모욕적인 처우나 형벌 방지에 관한 협약(이하 고문방지협약)’을 통해서도 보장되고 있는 매우 중요한 국제적 인권보호 원칙 가운데 하나입니다.(이러한 두 협약의 적용을 통해 강제송환금지의 원칙은 국제관습법적으로 반드시 준수해야만 하는 강행규범jus cogens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2. 가족결합의 원칙
가족결합의 원칙(principle of the unity of the family)이란 가족 구성원 중 일부가 난민으로 인정되었거나 또는 가족 구성원이 각기 다른 국가에서 난민으로 인정되었을 경우, 그 가족 구성원의 재결합을 위한 수단과 편의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가족결합의 원칙은 난민협약에 직접 언급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1951년에 난민협약을 채택한 전권회의의 최종문서는 난민의 가족을 위하여 가장이 입국에 필요한 조건을 충족시킨 경우 난민의 가족에게도 동일한 지위를 부여할 것 등을 언급하여 가족결합의 원칙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인권선언 16조 3항에 의하면 “가정은 사회의 자연적이며 기초적인 구성단위이며, 사회와 국가의 보호를 받을 권리를 가진다.”라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런 조항에 따라서 난민에게는 가족결합의 원칙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난민지위를 인정받은 사람의 배우자 또는 미성년 자녀에 대해서는 동일한 난민의 지위를 자동적으로 부여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3. 난민 협약 상의 난민의 권리
법적지위
▸ 제12조 개인적 지위 : 개인의 법적 권리 보장
▸ 제13조 동산 및 부동산 : 가능한 유리한 대우, 최소한 일반적인 외국인보다 불리하지 않은 대우
▸ 제14조 저작권 및 산업재산권 : 체약국 국민과 동일한 보호
▸ 제15조 결사의 권리 : 비정치적․비영리적 단체와 노조에 관해 외국인 가운데 가장 유리한 대우
▸ 제16조 재판받을 권리 : 체약국 국민과 동등한 권리
유급직업
▸ 제17조 임금이 지급되는 직업 : 노동과 관련해서 외국인 가운데 가장 유리한 대우
(체약국 국민과 동일하게 대우할 것을 호의적으로 고려)
▸ 제18조 자영업 : 가능한 유리한 대우
▸ 제19조 자유업 : 가능한 유리한 대우
복지
▸ 제20조 배급 : 체약국 국민과 동등한 대우
▸ 제21조 주거 : 가능한 유리한 대우
▸ 제22조 공공교육 : 초등교육에 관해 자국민과 동등한 대우/ 그 이외의 교육(중고등 교육, 학위의 인정, 장학금 등)에 대해서도 가능한 유리한 대우
▸ 제23조 공적구호 : 체약국 국민과 동등한 대우(의료보험 등)
▸ 제24조 노동법과 사회보장 : 체약국 국민과 동등한 대우
행정적 조치
▸ 제25조 행정적 원조 : 행정적으로 발급받는 문서, 증명서 등을 체약국의 정부가 제공
▸ 제26조 이동의 자유 : 거주지 선택 및 이동의 자유 보장/ 일반적인 외국인에게 적용되는 규제의 범위
▸ 제27조 신분증명서 : 여행증명서가 없는 경우 신분증명서의 발급
▸ 제28조 여행증명서 : 난민은 여행증명서를 발급 받아 자신의 국적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를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음
▸ 제29조 재정 공과금 : 세금, 공과금 등에 있어 체약국 국민과 동일
▸ 제31조 피난국에 불법으로 체제하고 있는 난민 : 난민신청자에게 불법적으로 자국 영역 내에 입국하고 체류하고 있다는 이유로 형벌을 가할 수 없음
▸ 제33조 추방 및 송환의 금지
▸ 제34조 귀화 : 자국에의 동화 및 귀화를 가능한 한 장려
여기서 잠시 다양한 난민의 분류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 인도적 지위(humanitarian status)
난민으로서의 요건을 충족시키지는 않지만 전쟁 등의 이유로 인도적 차원에서 보호가 필요한 경우 ‘인도적 지위’를 부여하게 됩니다. 난민의 사유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본국에서의 정치적 급변이나 전쟁, 사회적 혼란, 재난 등으로 인해 귀국할 수 없게 된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출국을 유예해주는 제도입니다. 이러한 형태는 '보충적 보호(complementary protection)'의 한 수단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국내실향민(IDPs)
난민과 유사한 상황에 처해 있으면서 외국으로 탈출하지 못한 채 여전히 자신의 국적국에 남아있는 사람을 ‘국내실향민(Internally Displaced Persons, 이하 IDPs)’으로 구분합니다. IDPs들은 난민과 동일한 박해의 피해자이지만 아직 외국으로 탈출하지 못했다는 차이만 있을 뿐이기 때문에 매우 취약한 집단이며 최근에는 이들 역시 국제사회의 보호(concern)의 대상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3. 협약난민과 위임난민 (convention refugee and mandate refugee)
난민협약의 요건을 충족시킴으로서 난민협약 체약국 정부로부터 난민으로 인정을 받은 경우를 '협약난민'이라고 합니다. 한편 난민협약의 체약국이 아닌 곳이나 난민을 보호할 능력이 없는 국가에서 국제사회로부터 난민보호의 임무를 위임받은 UNHCR로부터 난민의 지위를 인정받은 경우를 '위임난민'이라고 합니다.
협약난민의 경우 난민협약의 체약국 정부로부터 인정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보호의 책임 또한 체약국 정부에게 있습니다. 따라서 체약국 정부는 이들에게 난민협약에 보장된 보호와 지원을 제공하게 됩니다.
그러나 어떤 국가에 머물러 있더라도 위임난민이라면 보호와 지원의 책임이 UNHCR에게 있는 것이고, 그 나라의 정부가 이들을 난민으로 인정하거나 또는 각종 지원을 제공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협약난민에 비해 취약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말레이시아에 거주하는 버마 출신의 난민이 UNHCR로부터 난민의 지위를 인정받았더라도 말레이시아는 난민협약에 가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 난민을 보호해야 할 아무런 의무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UNHCR이 제공한 난민인정서를 가지고 있을 경우 체류를 인정하지만 그 외의 어떠한 법률적 보호나 사회보장제도의 지원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는 것입니다.
4. 현지체제 중 난민(refugeesur place)
현지체제 중 난민이란, 국적국을 떠날 당시에는 난민이 아니었지만 외국에 체류하는 중에 난민의 요건이 충족되어 난민으로 인정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난민이 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국적국 밖에 있어야 한다는 요건이 반드시 그가 국적국을 불법적으로 떠났거나 박해에 대한 공포 때문에 떠났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본국을 떠날 때는 합법적인 공무원(외교관 등)이었으나 본국에서의 갑작스런 군사반란 등으로 인해 이전 정권과 연관되었다는 이유로 돌아갈 수 없거나, 외국에서 이주노동자 등으로 체류하다가 개종을 하거나 정치적 의견을 적극적으로 피력하게 된 경우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스마트폰 사용자는 전세계를 통틀어 19억명(2013년 기준)에 이른다. 2019년에는 56억명이 스마트폰을 쓸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선이 흐려졌다. 전화기만 꺼내 들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O2O’(Online to Offline)가 태어났다.
인터넷이 나타난지 20년, 전자상거래가 나온지 10여년지 지났지만 여전히 사람들은 오프라인에서 더 많은 돈을 쓴다. 국내 전자상거래 규모는 44조원 정도인 반면, 오프라인 상거래는 320조원 규모로 7배 이상 크다.
왜 그럴까. 사람이 오프라인 세상에 존재하는 이상 온라인이 대체할 수 없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옷을 입고, 밥을 먹고, 커피를 마시는 일은 모두 오프라인에서 일어난다. 종업원과 만나 인간적으로 교류하는 일 역시 온라인으로는 불가능하다.온라인으로 대신할 수 없는 경험이다.
이런 한계를 뛰어넘어 보자는 발상에서 O2O가 시작됐다.처음에는 온라인으로 고객을 모아 오프라인으로 데려오는 마케팅 방식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그루폰이나 티몬 같은 소셜커머스 회사가 들고나와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O2O_02_Market.png> O2O 국내 잠재 시장 규모 (출처 : KT경제경영연구소 ‘2015년 ICT 10대 주목 이슈’ 보고서 54쪽)
KT경제경영연구소는2015년 10대 주목 이슈 가운데 하나로 O2O를 꼽았다.지금까지 수많은 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며 O2O의 바닥을 다졌다면, 2015년부터는 사물인터넷(IoT)의 구체적인 서비스 형태로 O2O가 부각될 것이라고 성민현 KT경제경영연구소 연구원은 내다봤다.
O2O 시장은 온라인 상거래 시장에만 머물지 않는다.온라인 상거래가 오프라인 시장과 점접을 넓히면서 O2O 시장은 연 300조원 규모인 전체 상거래 시장까지 커질 수 있다. 국내 시장 규모만 쳐서 이 정도다.가트너는 2016년에 모바일 결제 시장 규모가 6천억달러가 넘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매출이 급락하던 버버리가 밀레니엄 세대를 겨냥해 디지털 마케팅을 도입하면서 2016년 버버리의 브랜드 가치는 472억 달러에 이르게 됐다.
버버리를 대표하는 체크무늬와 트렌치코트만 봐도 그들이 얼마나 오랫동안 브랜드 이미지를 고수해왔는지 알 수 있다. 그것이 곧 버버리만의 자부심이었다. 하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그 자부심은 곧 매출 하락으로 이어졌고 1990년대 점차 쇠퇴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올드 한 이미지 때문인지 젊은 층에서는 그다지 선호하는 브랜드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2006년 안젤라 아렌츠 전 최고 경영자가 취임하면서 보수적인 버버리 브랜드에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먼저 버버리의 아이코닉 제품이라고 할 수 있는 트렌치코트에 300여 개의 옵션을 만들면서 획기적인 리뉴얼을 단행하면서 젊음이라는 키워드를 버버리에 불어 넣었다. 이는 버버리 비스포크 서비스로 고객이 원하는 트렌치코트를 제작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서비스였다(현재 서비스 중단).그리고 럭셔리 브랜드 중에서 거의 최초로 디지털 마케팅을 도입하고 앞장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버버리는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해 디지털 마케팅을 창의적으로 그리고 공격적으로 집중하기 시작했다.
버버리에서 혁신적인 디지털 마케팅의 첫 시작점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버버리 키시스’다. 버버리 어플을 사용해 입술 모양을 인식시킨 후 봉투에 봉인해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보냄으로써 상호적인 경험을 할 수 있게끔 했다.
버버리에서 선보이는 패션쇼를 직접 가지 않아도 이제는 온라인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감상할 수 있다. 2009년 9월 상반기 컬렉션을 온라인으로 생중계했고 지금까지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아트 오브 더 트렌치는 버버리를 사랑하는 전 세계의 팬들이 자신의 버버리 트렌치코트를 공유하는 소셜 네트워크 웹사이트다. 버버리의 상징이라고도 할 수 있는 트렌치코트를 입고 찍은 사진을 온라인이나 스마트폰을 통해서 사진을 업로드하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독립적인 사이트인데 2009년 처음 시작한 이후 221개국에서 2천500만 이상의 조회 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밀레니엄 세대의 눈높이에 맞춰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해 디지털 마케팅을 선보이고 있는 버버리에서는 패션 필름도 만들어내고 있다.단순히 카탈로그로 옷의 이미지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짧지만 강렬한 메시지, 브랜드 이미지를 정확하게 담아내고 있는 영상을 통해 밀레니엄 세대의 취향을 정확하게 저격했다.
버버리에서는 패션쇼에서 선보인 신상품을 다음 날 전 세계 매장에서 판매한다. 또한 미처 패션쇼를 보지 못했던 고객을 위해 매장 내 비치된 대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고객이 보고 마음에 드는 제품을 바로 구입할 수 있게끔 직관적인 판매 전략도 갖췄다.
모든 옷에 초소형 전자태그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특수 제작된 거울 앞에 옷을 들고 서면해당 옷과 관련된 정보 및 이미지와 더불어 함께 코디하면 좋은 아이템까지 추천된다.
소비자 태도를 논할 때 가장 많이 인용되는 이론은 인지적 학습이론과 다속성 태도 모델이다.
인지적 학습이론(Cognitive Learning Theory)은 사회과학 연구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이론 중 하나로서 ‘소비자는 제품속성에 대한 신념에 의해 태도를 형성하고, 이러한 태도를 바탕으로 구매여부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소비자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지를 결정하고자 할 때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의 브랜드, 가격, 이미지, 품질 등의 속성들에 대해 평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태도를 형성하고 이 태도에 따라 최종 구매여부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노트북 구매를 예로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겠다. 소비자는 노트북을 구매하기 위해 사전에 주위사람, 인터넷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노트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런 다음 실제 매장을 방문하여 각 노트북 브랜드별 제품사양, 성능, 가격, AS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 노트북 구매여부 및 브랜드를 결정하게 된다.여기서 브랜드, 제품사양, 성능, 가격, AS 등은 모두 노트북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념이라고 할 수 있다.
고객 충성도란 기업과 고객 사이에 유지되는 감정적 관계를 설명하는 말로, 귀사와의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고객의 의지 및 고객이 경쟁사 제품 대비 귀사 제품을 반복적으로 구매하는 비율을 통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충성도는 고객이 기업을 통해 경험한 긍정적 경험 및 고객의 신뢰를 얻기 위한 기업의 노력의 산물입니다.
충성도 높은 고객
반복적인 구매
구매한 제품 사용
다양한 채널을 통한 소통
다른 고객의 유입을 돕고,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최고의 지지자
충성 고객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나요?
충성 고객이 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충성 고객을 아래의 6가지 충성도 범주에 따라 손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행복한 고객
귀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좋아하는 이 고객들은 결코 불평하는 일이 없으며, 귀사의 제품을 자주 구매한 고객들입니다. 하지만 이 고객들은 더 나은 조건, 높은 할인율 또는 새로운 관계 형성 등을 제시하는 경쟁사에 쉽게 마음을 빼앗기기도 합니다.
2
가격에 충성하는 고객
이 고객들이 귀사에서 구매하는 유일한 이유는 낮은 가격 때문입니다. 돈을 절약할 수 있는 다른 옵션이 나타나면 이들은 금세 떠납니다. 그리고 귀사가 다시 최저가를 제공하면 돌아오죠. 이와 같은 종류의 고객들을 유치하는 건 어렵지 않지만 그 비용은 어마어마합니다.
3
충성도 프로그램에 충성하는 고객
이 고객들은 귀사 또는 귀사가 판매하는 제품에 충성하지 않습니다. 이들은 귀사의 충성도 프로그램에 충성할 뿐이며, 대부분이 귀사가 최고의 충성도 보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충성하는 고객들입니다.
4
편의성에 충성하는 고객
이 고객들이 귀사에 충성하는 이유는 귀사의 브랜드가 손쉬운 의사소통, 탐색 및 구매 절차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편의성에 충성하는 고객들은 가격에 흔들리지 않습니다. 이들을 귀사에 충성하게 하는 요소는 바로 편의성입니다.
5
무료 서비스에 충성하는 고객
이 고객들은 귀사가 판매하는 제품이 아니라 귀사가 무료로 제공하는 다른 요소들 때문에 충성합니다. 무료 Wi-Fi, 기저귀 교환 테이블, 무료 점검 서비스 등이 그 예죠. 귀사의 무료 서비스에 충성하는 이 고객들은 귀사의 제품을 우발적으로 구입할 뿐이며, 귀사에 크게 기여하는 수입원은 아닙니다.
6
진정한 충성 고객
이 고객들은 귀사의 옹호자입니다. 반복적으로 귀사의 제품을 구매하고, 귀사로부터 얻은 훌륭한 경험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친구 및 가족들을 귀사의 고객으로 만듭니다.
참여 기반 충성도 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요?
고객 충성도 마케팅은 업무적인, 투자를 통해 고객을 유치하는 프로그램을 넘어서 참여에 중점을 둔 충성도 프로그램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고객들은 단순한 구매 활동 그 이상을 원합니다. 그들은 브랜드와 관계를 형성하고, 자신들의 의견을 표출하고, 경험을 공유하고 싶어 하죠.
브랜드와 감정적인 유대감이 높은 고객의 브랜드 구매 비율은 82%인 반면, 감정적 유대감이 낮은 고객들의 구매 비율은 38%에 그칩니다.
— Capgemini(PDF)
이 고객들에게는 한 번의 구매보다 브랜드와의 상호작용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따라서참여를 기반으로 한 충성도 프로그램은 감정적 유대감을 구축하고 신뢰 관계를 육성하는 데 활용됩니다. 이 충성도 프로그램은 지지자 그룹을 구축하고, 월별 추천 수를 늘리고, 더 많은 고객들이 다양한 디지털 자산(모바일 앱, 소셜 미디어 게시물, 랜딩 페이지 등)을 활용하게 만드는 등 장기적인 목표에 중점을 둡니다.
브랜드 커뮤니티는 전문적(expert) 영향력과 정보적(informative) 영향력을 행사하는 준거집단(reference group)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기업은 이를 잠재고객에게 보여줌으로써 자사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 집단규범에의 순응압력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동질적인 집단 구성원 간의 강한 유대관계로 결속되어 있는 브랜드 커뮤니티에서는 신제품에 대한 의사소통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이들은 잠재고객의 신제품 수용과정에서 훌륭한 의견선도자(opinion leader)의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너무 강력한 브랜드 커뮤니티는 기업의 마케팅 노력이나 제품변화를 거부하고, 이러한 거부를 확산시킴으로서 마케터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
또한,브랜드 커뮤니티는 정보탐색과 정보제공이라는 기회를 크게 확장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소비자들을 거짓정보와 통신사기 등에 쉽게 노출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다. 한번 생산되고 유통되어진 거짓정보, 불량정보 등은 반복적인 확산과 전파를 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해당 브랜드 및 브랜드 커뮤니티는 물론 기업의 이미지와 신뢰성에 지속적인 손상을 입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특히, 기업의 입장에서 안티(anti) 브랜드 커뮤니티 활동은 상당히 부담되는 일이다. 안티화된 유저들은 인터넷을 통해 브랜드가 지닌 약점을 공격하고, 현실 세계에서도 막강한 여론몰이 세력으로 부상하기도 한다.
따라서기업은 브랜드 커뮤니티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문제 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
소비자 행동이란 소비자의 소비습관이라 생각하면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데, 제품선택을 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또한 이러한 제품선택 과정을 구매의사 결정과정이라 하죠.
구매의사 결정과정은 먼저 욕구인식 ->정보탐색 -> 대안평가 -> 구매결정 -> 구매 후 행동 의 순서로 이루어져있고, 개인마다 또는 상품의 특성마다 각 항목에서 차이점을 보이게 됩니다.
1. 욕구 인식
욕구인식은 내부요인 또는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이 시작되는 단계를 의미하며 대표적인 내부요인으로 과거 경험, 생리적 요인이 있으며, 외부요인으로는 기업의 홍보 및 판촉행위, 기술진보 등이 있습니다.
2. 정보탐색
욕구인식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소비자는 정보를 통해 어떤 제품을 소비할 지에 대해 판단하게 되는데 이러한 탐색과정이 정보탐색 단계를 의미합니다. 정보탐색 또한 소비자의 기억 속에서 대안(정보)을 찾는 내부탐색과 광고 등 외부로부터 정보를 얻는 외부탐색이 있으며, 외부탐색에 비해 내부탐색의 비용이 적어 소비자들은 내부탐색을 우선적으로 수행합니다.
3. 대안평가
위의 정보들을 통해 개인마다 제품마다 평가기준과 방식을 적용하여 각 대안들을 평가하는 단계를 대안평가라고 합니다. 평가기준은 최종적으로 소비자가 제품을 통해 얻는 효익에 의해 결정됩니다. 대안평가는 보완적 평가 방식과 비보완적 평가방식으로 구분이 되는데, 여러 요소들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보완성을 갖는 것은 보완적 평가 방식, 각 평가기준이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비보완적 평가방식을 의미합니다.
4. 구매결정
여러 대안들을 평가하고 가장 높은 효익을 주는 제품을 선택하는 단계를 구매 결정이라 합니다. 위 단계들을 통해 평가된 결과 뿐만 아니라, 주변 인물, 준거집단, 사회문화적 영향, 구매시점의 정보변화에 따라 최종결정은 변화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의 마케팅 관리자는 구매시점의 매장관리 및 외부탐색 요인들에 대한 관리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5. 구매 후 행동
흔히 AS(After Service)라고 하는 부분이 포함되는 행동입니다. 구매 후 행동은 크게 소비자가 구매결정 시 생각한 효용에 만족한 상태와 불만족한 상태로 구분이 가능하고 이러한 효용의 정도에 따라 차후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줍니다. 또한 효용에 불만족한 소비자는 이러한 불만족을 해결하기 위해 A/S, 환불처리 등의 노력을 하며 해당 제품의 재구매행동으로 이어지지 못합니다.
앱의 출시 직후 몇 주를 의미하는 ‘론칭 시점’은 마케터에게 언제나매우 중요한 기간입니다. 특히 드라이버와 탑승객이라는 두 시장의 사용자를 동시에 유치해야 하는 승차 공유 플랫폼의 경우 이 기간에 고려해야 할 요인들이 더 많습니다.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얼리어답터 전략을 활용하여 초기 사용자들이 이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이죠. 이 전략의 핵심은 사용자들이 마치 스스로를 플랫폼의 '내부자'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우버는 얼리어답터의 지지를 활용하고 충성 고객에게 보상을 제공하여 이러한 과제를 훌륭하게 해냈습니다.
사용자들의 입소문이 필요했던 우버에게 일반적인 소프트 런칭은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우버는 실리콘 밸리 지역 위주의 고도로 타겟팅되고 현지화된 얼리어답터 전략을 개발했습니다.우버는 자사 서비스를 소개하기 위해 이벤트를 후원 및 주최하고 기술 인플루언서들에게 무료 이용 기회를 제공하며 일명 입소문(Word-of-mouth) 마케팅 기법을 도입했죠.우버가 실리콘밸리 밖으로 서비스 대상 지역을 확대할 준비가 되었을 때에는 이미 이 얼리어답터인 충성 고객들이 우버의 브랜드 마케팅 활동에 힘을 실어주고 있었습니다.
승차 공유 플랫폼은 지역별 전략을 필수적으로 세워야 하지만,동시에 앱 내 모바일 마케팅 및 프로모션을 통해서도 발전할 수 있습니다.다음의 방법을 효과적으로 시행하면 더 큰 규모에서의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최초 이용 시 할인: 우버는 앱 내 가입과 파트너 프로모션 코드를 통해 최초 이용 프로모션 쿠폰을 자주 제공합니다. 서비스 최초로 이용 시 이용료가 무료이거나 대폭 할인되면 신규 고객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고객 호감도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멤버십 보상: 비교적 최근에 제공되기 시작한 서비스이지만 Uber Rewards와 같은 멤버십 프로그램의 개념은 이미 충분히 검증된 바 있습니다. 고객이 우버를 한 번 이용할 때마다 우버 탑승 외에도 Uber Eats와 같은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가 적립되는 것이죠. UberX 또는 Uber Black 서비스를 이용하면 포인트가 두 배 또는 세 배 적립되는 방식으로 장기 고객 및 고액 지출 고객에게 추가 보상을 제공합니다.
추천 프로그램: 우버의 추천 프로그램은 기존에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을 한 명의 마케터가 되도록 유도하여 충성도를 높입니다. 우버 탑승객은 개인 추천 코드를 받아 친구와 가족에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추천받은 사람이 이 코드를 사용할 때마다 추천한 탑승객에게 디지털 화폐가 적립되는 형태이죠. 이렇게 적립된 화폐는 향후우버 탑승 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버의 노력은 바이럴 성격의 흥미로운 이벤트에 그치지 않았습니다.단기 파트너십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였다면 장기 공동 파트너십으로는 각 파트너사의 고객에게 프로모션 혜택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고객 호감도를 강화했습니다.
이러한 장기 파트너십의 가장 좋은 예는우버와 Hilton Worldwide의 제휴로,Hilton 호텔 투숙객이 우버 서비스를 이용하면 호텔 멤버십 포인트가 적립되도록 한 것을 들 수 있습니다.투숙객은 Hilton 로열티 멤버십 앱에서우버 차량을 요청하고 픽업 알림을 설정하고 방문하고자 하는 곳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파트너십을 통해 우버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호텔 체인 중 하나의 입지를 확보했을 뿐만 아니라 또 하나의 수익원을 창출한 셈이죠.
최근 우버는 강력한 마케팅 캠페인을 통해 코로나19에 대한 우버의 대응을 알리고 있습니다.Uber Eats 광고 'Bring it to the UK'는 외식이 위축된 시기에 대응하는 전략으로 우버의 음식 배달 서비스를 홍보했습니다.또 다른 광고 '#GratefulUK'에서는 일선 의료 종사자들에게 무료 탑승권과 식사를 제공하여 감사를 표했습니다.탑승객과 드라이버의 요구를 정확히 인식하고 이를 광고로 표현하는 캠페인은 오늘날 우버가 여전히 성공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우버의 초기 광고는 잘 차려입은 직장인의 출근이나 근사한 저녁 모임을 위해 차량을 호출하는 모습 등을 통해 브랜드의세련된 분위기를 강조했습니다.우버의 이러한 선택은 기존 택시와의 차별화를 가져다주었죠. 하지만 점차 승차 공유 앱이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브랜드의 방향성도 조정될 필요가 있었습니다.
우버의 최근 광고는 학생부터 직장인까지, 모든 집단을 포함하는 밀레니얼과 Z세대를 강조합니다. 우버는 24시간 서비스부터 플랫폼의 사용 용이성까지 그 어느 때보다 사용자의 접근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이처럼 우버의 강력한 브랜드 포지셔닝은 때에 따라 메시지가 조금 상이하더라도, 계속해서 유지될 것입니다.
우버는 사내 마케팅 팀을 운영함으로써 광고 소재에 대한 자체적인 A/B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고의 소재 전략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그뿐만 아니라, 동시에 광고 사기를 방지하는 데 보다 직접적인 접근 방식을 취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모바일 광고 생태계에서광고 대행사와의 파트너십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이 늘어나며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습니다.마케터는 모바일 마케팅의 사내 전환을 통해투명성과 통제력을 제고할 수 있습니다.
사망률과 기대 수명의 성별 차이는 국가마다 다릅니다. 그러나대부분의 국가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수명이 짧습니다(그림 참조).
예를 들어 러시아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기대 수명 차이가 13년(59세 대 72세)입니다. 미국과 같은 다른 국가에서는 남성의 불이익이 더 적습니다. 5년(75 vs. 80). 그리고 아프가니스탄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남성의 불이익이 거의 또는 전혀 없습니다(42 vs. 42).
남성과 여성의 기대수명 격차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사망률의 성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생리 및 행동에 대한 호르몬의 영향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과 건강 행동의 성별 차이에 대한 문화적 영향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있습니다.
남성의 위험한 행동은 또한 개발 도상국에서 사망률이 높은 데 기여하지만 개발 도상국에서 사망률의 성별 격차는 선진국보다 작습니다. 안전하지 않은 물과 부적절한 영양과 같은 환경적 요인은 남녀 모두에게 전염병으로 인한 사망률을 증가시킵니다.
그러나 여성은 출산과 관련된 추가적인 위험에 직면해 있습니다.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는 산모 사망률이 높으며 중국에서는 여성의 자살률이 남성보다 높습니다.
개발 도상국에서 사망률의 성별 격차가 더 작은 또 다른 이유는 이들 국가 중 많은 곳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사회적 지위가 훨씬 낮기 때문입니다. 이들 국가에서여성의 지위가 남성의 지위를 따라잡으면서 개발도상국에서는 성별 격차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그러나 선진국에서는 여성이 남성과 유사한 건강에 좋지 않은 행동, 즉 음주와 흡연을 더 많이 하고 직업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함에 따라 성별 격차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페인독감이 정확히 언제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학자들은 1918년 여름 악성 독감이 동시 다발적으로 유행하고, 첫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기 때문에 독감 이름을 스페인독감으로 부르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독감이 처음 보고된 것은 1918년 초여름이다. 당시 프랑스에 주둔하던 미군 병영에서 독감 환자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나, 특별한 증상이 없어 별로 주목을 끌지는 못하였다. 같은 해 8월 첫 사망자가 나오고, 이 때부터 급속하게 번지면서 치명적인 독감으로 발전하였다.
곧이어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던 미군들이 귀환하면서 9월에는 미국에까지 확산되었다.9월 12일 미국에서 첫 환자가 발생한 지 한 달 만에 2만 4000명의 미군이 독감으로 죽고, 총 50만 명의 미국인이 죽었다. 1919년 봄에는 영국에서만 15만 명이 죽고, 2년 동안 전 세계에서 2500만~5000만 명이 죽었다. 조선에서도 740만여 명이 감염되었으며 감염된 이들 중 14만여 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에는 바이러스를 분리·보존하는 기술이 없어 그동안 스페인독감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었다. 그러다2005년 미국의 한 연구팀이 알래스카에 묻혀 있던 한 여성의 폐 조직에서 스페인독감 바이러스를 분리해 재생하는 데 성공하였다. 재생 결과 이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A형(H1N1)으로 확인되었다.
신종 인플루엔자 A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켜 생긴 새로운 바이러스로, 2009년 전 세계적으로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고 있는 호흡기 질환이다.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2009년 3월 말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고에서 발열, 기침 및 구토로 내원한 10세 소아의 비인두 흡입 검체에서 처음으로 검출되었다.
- 사람과 동물에서 분리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HA는 종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직접 사람으로 전파되지 못하고 사람과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모두 감수성이 있는 돼지라는 “혼합 용기” 내에서 조류 인플루엔자의 HA를 획득한 새로운 사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재조합되어야만 사람에 대한 병독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 이렇게 만들어진신형 바이러스는 면역력이 없는 사람들에서 인플루엔자의 대유행을 일으키게 되고 이러한 대유행은 수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키게 된다. 과거에도 돼지에서 기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사람 간의 감염증은 보고된 바가 있었으나 소규모의 감염만 일으켰다.
그러나 2009년에 새로이 발생한 신종 인플루엔자는 214개국 이상에서 확진이 되었고 2009년 4월부터 대유행(pandemic)이 종료된 2010년 8월까지 전 세계적으로 18,500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세계보건기구는 2009년 6월 16일을 기준으로 전세계 76개국에서 3만 5928명이 발병하였으며 163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집계했다.단 이 수치는 멕시코 쪽의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축소되어 있어 여론을 진정시키고자 하는 것이 아닌가란 의혹이 일었다. 11월 수치로는미국의 사망자가 3433명으로 1위를 기록했고 그 뒤로브라질,멕시코가 이었다.
전체 감염자 수를 세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지적이 나와 WHO에서는 전체 감염자 수를 세지 않기 시작했으며 이후2010년 4월에 WHO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소 사망자 17,583명이다.
이는 코로나19가 신종플루보다 훨씬 전염성이나 치명률이 높기 때문이기도 하지만,[19]한편으로 신종플루가 초기부터타미플루라는 치료제가 존재했던 반면,[20]코로나 19의 경우 그렇지 않아 통제가 매우 어렵다는 점 또한 원인이 되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경우, 각국에서 긴급하게 백신 및 치료제를 개발해 현재 사용하고있지만 아직 백신을 접종하지못했거나 거부한사람들이 많고(세계인구의 3분의1쯤), 치료제도 주사제는 공급이 어느정도 안정화된반면 경구제는 아직 공급이 제한적이고, 무수한변이,홍역을 압도하는 전염력,생각보다 치명적인 코로나 바이러스의 특성상 사태를 완전히 진압하는 것은 상당한 시일이 지나서야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감염내과 최흔 교수는"20대 이하 연령에서는 어린이집, 학교 등 단체 생활을 하는 인구가 많아 전파가 잘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더불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독감 진료 환자가 줄어드는 원인에 대해서는 "국가예방접종사업의 대상인 65세 이상 인구에서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률은 80%가 넘으며, 백신의 효능은 낮을 수 있겠지만 높은 접종률로 감염 인구가 많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지난 2014년 3월, 아프리카 기니에서 출혈과 열을 동반하는 환자가 발생했다. 의료진들은 이 환자가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음을 금방 알아냈다.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증은 1976년에 처음 등장했다. 자이르(현재의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처음 나타난 이 질병은 약 1년에 걸쳐 자이르와 수단에 600여 명의 환자를 발생시키면서 새로 등장한 강력한 바이러스 질병의 하나로 자리매김을 했다. 에볼라라는 이름은 처음 환자가 발생한 지역에 흐르고 있는 강 이름에서 유래했다.
에볼라 출혈열은 왜 그리 치사율이 높을까? 역설적이지만 에볼라 바이러스가 ‘진화가 덜’ 되었기 때문이다(여기서 말하는 진화는 바이러스 입장에서 인체라는 환경에의 적응 정도를 말함).바이러스란 그 자체로는 생존하지 못하며, 반드시 숙주가 있어야 생존이 가능하다. 따라서 바이러스 입장에서는 일단 숙주세포에 들어가면 그 숙주세포가 죽지 않고 살아 있어야 자신의 생존에 유리하다.숙주에 치명적인 바이러스라면 생존을 위해 숙주가 죽기 전에 새로운 숙주를 찾아가야 하는데 이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반면, 에볼라 바이러스의 경우 1976년에 보여 준 사람에 대한 치명성을 아직까지는 유지하고 있는데 그것은 감염빈도가 많지 않아서 아직도 진화될 기회를 충분히 가지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에볼라 출혈열은 공기 중으로 전파되지는 않고 환자와의 접촉에 의해 전파되므로 환자의 체액, 분비물, 혈액과 접촉하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잠복기에는 전파력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미리부터 겁을 먹을 필요는 없으며, 조리한 음식과 끓인 물을 마시고, 외출 후에는 꼭 손을 씻으며, 환자 또는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이 있는 동물과의 접촉을 금하는 것 등 일반적인 감염질환 예방수칙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잠복기에도 전파되지 않고, 공기 중으로 전파되지 않으므로 전파력이 약하다.우리나라 같이 건강에 관심이 높은 나라에서 크게 번질 가능성은 높지 않으니 과도하게 걱정할 일은 아니다. 에볼라가 큰 관심을 끌고 있지만,더 실질적으로 우리에게 위협을 주는 병들 중 오히려 관심이 부족한 병들이 있다. 대표적인 것이 결핵이다. 매년 새로운 결핵 환자가 우리나라에서만 3만 5천명 이상, 결핵 사망자가 2000명 이상 발생하고 있다.
집단의 총인구 중면역성을 가진 사람의 비율로 정의한다. 한 집단 내에서 특정 감염병에 대한 면역력을 가진 구성원 수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 감염병이 전파되기 어려워진 상태로, 전염병에 대한 집단의 저항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한다.군집면역이라고도 하는 집단면역은 감염이나예방접종을 통해 이뤄진다. 많은 국가에서 예방접종을 통해 집단면역을 유도하고 있다.
집단면역이란 용어는 1920년대 처음 사용되었다. 1930년대 A.W. 헤드리히(Hedrich)가 발표한 볼티모어의 홍역 역학 연구에서,홍역에 걸려 면역을 가지게 된 어린이가 일정 수 이상 늘어나면 새로운 감염이 줄어드는 집단면역 현상이 확인되었다. 이때까지 집단면역은 감염병 유행의 결과로 나타나는 자연적 현상으로만 인식됐으나, 1960년대 홍역 백신이 개발되며 예방접종을 통한 집단면역이 전염병 예방의 효과적인 수단으로 대두했다.
집단면역의 목적은 질병 전파를 억제해 면역이 없는 사람을 보호하는 것이다.집단 내 면역자가 늘어날수록 질병 전파력은 약해지며, 일정 수준을 넘으면 면역이 없는 구성원도 간접적으로 보호받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때 집단면역을 획득할 수 있는 집단 내 면역자 비율을 집단면역역치(Herd immunity threshold)라 한다.
집단면역을 통해 건강한 사람은 물론, 면역 결핍으로 백신 접종이 불가능하거나 접종 이후에도 면역이 생기지 않는 사람들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집단면역은 감염병 중에서도 개체 간 직접 전염되는 질병에만 유효하다. 상처를 통해 감염되는파상풍처럼 다른 경로로 감염되는 질병은 다른 사람이 면역을 가진 것과 관계없이 감염될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HIV/AIDS는 20세기 초부터 전염되기 시작하여 여러 아프리카 대륙의 국가에 가장 중요한 보건문제이자 사망 원인으로 취급받고 있다.2021년 기준 아프리카의 HIV 감염자 수는 약 2000만명에 달한다.[1]아프리카 대륙의 전체적인 에이즈 발병률이 높긴 하지만 아프리카 내 대부분의 감염자가남아프리카에 집중되어 있다. 아프리카 대륙에는세계 인구의 15.2%만 살고 있지만,[2]전 세계 HIV 감염자의 2/3 이상인 약 3,500만명이 아프리카 대륙 사람이며, 이 중 1,500만명이 HIV 관련 질병으로 사망하였다.[3]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감염자들은2011년기준 전 세계 HIV 감염자의 약 69%[4]와 모든 에이즈 사망자의 70%를 차지했다.[5]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에이즈의 영향을 크게 받아 에이즈만으로사망률이 증가했으며 20세에서 49세 사이 성인의기대수명이 20년 가까이 낮아졌다.[3]게다가 이 현상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만 국한되지 않고 아프리카 대륙의 많은 국가에도 번져 일부 국가에서는 HIV/AIDS 유행으로 기대 수명이 34세까지 내려가는 등 아프리카의 많은 국가에서 기대수명이 줄어드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HIV 유행에 대응해 아프리카 대륙 곳곳에서 대중들에게 HIV/AIDS에 대한 정보를 교육하는 여러 계획이 시작되었다. 그 중에는금욕하며 신실하며 콘돔을 쓰자 캠패인(ABC 전략)이나데즈먼드 투투 HIV 재단의 봉사 프로그램과 같이 효과적이라고 평가받는 HIV 감염 예방 프로그램도 있다.[10]
후천면역결핍증후군(後天免疫缺乏症候群;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줄여서에이즈(AIDS)는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 감염증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만성적 면역계 기능 부전을 말한다.[2]
치료법이 뚜렷하게 개발되지 않았던 시절에는 HIV의 감염이 생기면 AIDS의 발병은 의학적으로 막을 도리가 없었으나, 항바이러스 약물이 개발된 지금은 그렇지 않다. 과거에 그랬기 때문에'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감염 =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발병'이라는 도식으로 혼동하거나 악의적으로 왜곡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나[6], 지금은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기대 수명까지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발병 없이 살 수 있다. 하지만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각종 질환이 생기고 체중이 줄어들면서 면역 결핍으로 끔찍하게 죽어간다.
세계보건기구를 비롯해 전 세계에서 백신을 만들어서 에이즈를 치료하지 않을까? 무엇보다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가 매우 빠른 속도로 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이다.바이러스 증식에 불리한 조건이나 환경이 되면 증식을 멈추고 인간의 몸속에 오랫동안 잠복한다. 바이러스가 진화하기 때문에 에이즈 항생제 투약도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다.
아프리카에서 에이즈 발병률이 가장 높은 나라는 짐바브웨공화국이다. 아프리카 동남부 지역에 있는 이 국가는 전체 인구가 1,500만 명 정도인데, 인구 10만 명 당 에이즈로 사망하는 사람의 수는 1,000명 이상이다. 15만 명 이상이 에이즈로 사망하는 셈이다. 영국의 식민지였던 짐바브웨공화국은 1980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해 공화국을 설립한 다음 IMF 등의 국제기구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으면서 경제 성장을 시작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지구온난화와 더불어 나타난 엘니뇨 현상 때문에 가뭄이 악화되어 국민들이 영양실조와 기아로 고통받고 있다. 이처럼 매우 열악한 상황 속에서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에이즈는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짐바브웨공화국의 평균 수명은 1980년대 55세였다가 지금은 40세 이하로 감소했다. 가뭄과 가난, 에이즈가 주된 원인이다.
국제보건기구의 보고에 따르면, 2013년에 전 세계적으로 에이즈 감염자는 모두 3,500만 명 정도였다. 하지만 그중 항생제를 투여한 사람은 30퍼센트에 불과한 약 1,000만 명이었다. 짐바브웨공화국처럼 소득이 낮은 아프리카 국가들에서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에 감염된 임산부 중 항생제를 처방받은 사람이 60퍼센트가 채 되지 않았다. 특히 에이즈에 걸린 아이들 중에 항생제 치료를 받은 사람은 20퍼센트 내외다.
나머지 아이들은 별다른 치료를 받지 못한 채 에이즈로 사망하거나 언제 치명적인 결과가 나타날지 모르는 두려움 속에 살고 있다.2014년 유엔은 ‘세계 에이즈의 날’을 기념해 ‘90-90-90’ 캠페인을 시작했다. 에이즈에 걸린 사람의 90퍼센트가 스스로 질병을 인식하고, 이 가운데 90퍼센트가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며, 치료받은 사람의 90퍼센트로부터 더 이상 에이즈가 퍼지지 않도록 하는 정책이다.이제 에이즈는 아프리카 남부 국가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인이 함께 관심을 갖고 다양한 치료법과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글로벌 전염병이다.
에이즈 감염자 3,940만 명 가운데 44%인 1,760만 명이 여성이다.여성들의 감염 비율이 높은 것은 90년대 초 일부 성매매 여성들과 다수의 남성 고객들이 에이즈에 주로 감염됐으나 최근에는 에이즈에 감염된 남성들이 아내와의 성교를 통해 에이즈를 확산시키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유엔에이즈의 사무총장 피터 피오트는 “남녀 불평등의 환경 속에서 여성들이 에이즈 희생자로 전락하고 있다”며 “시급한 대책 마련을 하지 않으면 인간은 에이즈와의 싸움에서 결코 이기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프리카의 비만 인구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데,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에이즈 감염자로 오해받지 않기 위해서라고 한다.아프리카에 널리 퍼져 있는 에이즈 환자들의 증상이 체중이 심하게 감소하는 것이기 때문에 살이 찌게 되면 에이즈 환자로 오인받을 이유가 없어 비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합계출산율(合計出産率,영어: total fertility rate, TFR)은 가임(可妊)여성(15~49세) 1명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낸 지표로, 연령별 출산율(年齡別出産率, ASFR)의 총합이며, 출산력 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로 사용된다.
조출생률(朝出生率, Crude birth rate, CBR)은 인구 1000명당 태어난 출생아수(出生兒數)를 나타낸 것으로,가임기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자녀수(平均子女數)를 나타낸 합계출산율과는 엄연히 다르다. 즉, 출산율은 가임기 여성 인구를 토대로 나온 수치이고, 출생률은 남녀노소(男女老少)를 모두 포함한 전체 인구 대비 출생아 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대체출산율 2.1 미만일 경우 저출산 국가로 분류한다. 대체출산율이란, 한 국가가 인구가 감소하지 않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수준의 출산율을 말하며, 한국과 같은 국가에서는 대체출산율이 일반적으로 2.1명이며,아프리카 등과 같이 사망률이 높은 지역의 경우 인구 유지를 위한 대체출산율이 더 높은 편이다.대체출산율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밑돌면인구감소(人口減少)가 발생한다.
총재생산율(Gross reproduction rate, GRR)은 한 여자가 임신 가능 나이까지 생존할 경우 낳을 수 있는 평균 여자 아이의 수를 나타낸 비율로, 그 기간 동안 일련의 연령 특이 생식률과 출생 시의 성비를 따른다는 조건이 붙는다.이 비율은 사망률이 없다는 가정 아래 모집단의 대치 생식 능력의 척도를 제공한다.[1]
인구의 재생산율은 한 여성이 일생 동안에 몇 명의 여자아이를 낳는지를 나타내는 지수로,여성이 일생 동안 낳은 여아수의 평균치이며 이것을 총재생산율이라고 하고, 여기서 여아의 생잔율을 감안한(여성의 연령에 따른 사망률을 고려한, 또는 여성이 일생 동안 낳는 여아 중 성인으로 성장하는 수의 평균) 재생산율을순재생산율이라고 한다.
총재생산율의 대상인 여아는 신생아이고, 여아의 출생부터 가임기가 끝나는 연령의 시점까지 사망하지 않고 모두 생존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출산율을 계산한 것이다. 반면순재생산율은 여아의 출생부터 가임기가 끝나는 연령의 44세 까지 연령별 출산력과 사망력을 동시에 고려하여 출생수준을 측정하기 때문에 총재생산율이 순재생산율 보다 다소 높다고 할 수 있다.
출산율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 수인합계출산율이 처음으로 1명 밑으로 떨어지며 지난해 우리나라가 전 세계 최하위를 기록했다. 올해는 0.8명으로 더욱 떨어져, 출생자 수와 사망자 수가 처음으로 역전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고 고령 인구가 늘어나면 젊은 세대의 부양 부담이 늘고 소비감소에 따른 경제성장도 둔화한다는 문제점은 모두가 알 터. 하지만 2040에게 출산은 필수가 아니라 선택의 문제가 된 지 오래다. 앞서 대기업 직장인 부부의 사례에서 보듯, 경제적으로 안정된 가정이라도 출산은 똑같이 어려운 문제다. 아이를 갖기도 힘들고, 낳더라도 키우기 힘든 현대인의 생활 환경에서 출산과 육아는 계층과 연령을 막론하고,현재의 삶을 지속시키기 어렵게 만드는, 오히려 그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장애 요소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듯, 정부의 저출산 정책도 점차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출처: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과거에는 단순히 출산율과 출생아 수를 높이는 것으로 목표로 한 저소득층 위주의 국가 주도 출산정책이 주를 이뤘다면, 이제는 정책 방향을 ‘2040세대를 대상으로 한 삶의 질 개선’으로 목표를 전환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