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5. 탄력성과 그 응용 Elasticity and Its Applications

1. 수요의 탄력성 THE ELASTICITY OF DEMAND

- 탄력성(Elasticity)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시장 상황의 변화(힘↔ 변화)에 얼마나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 -measure)

: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상품의 수요량이 그 상품의 가격 변화에 얼마나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

: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가격변동에 따른 수요량의 백분율 변화( percentage change)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결정요인

The Price Elasticity of Demand and Its Determinants

- 수요는 더 탄력적인 경향(tends to)이 있다.

: 근접 대체재 수가 많을수록

: 상품이 사치재일수록

: 시장을 더 좁게 정의할수록.

: 기간이 길어질수록.

수요의 가격 탄력성 계산

Computing the Price Elasticity of Demand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수요량의 비율변화를 가격변동률(percentage change in price)로 나눈 값(computed)

Computing the Price Elasticity of Demand

수요의 가격 탄력성 계산

예: 만약 아이스크림 콘의 가격이 $2.00에서 $2.20로 상승하고 당신이 구입하는 양이 10에서 8콘으로 감소한다면, 당신의 수요 탄력성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것이다.

중간점 방법: 백분율 변화 및 탄력성을 계산하는 더 나은 방법

The Midpoint Method: A Better Way to Calculate Percentage Changes and Elasticities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계산할 때 중간점 공식은 변화의 방향과 상관없이 같은 답을 주기 때문에 선호된다.

예: 아이스크림 콘의 가격이 $2.00에서 $2.20로 상승하고 구입하는 양이 10에서 8로 감소하면 중간점 공식을 사용하여 수요의 탄력성을 다음과 같이 계산

Computing the Price Elasticity of Demand

수요의 가격 탄력성 계산

The Variety of Demand Curves

수요곡선의 다양성

- 비탄력 수요 Inelastic Demand

: 수요량이 가격 변화에 강하게 반응하지 않는다.

: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1 미만이다

- 탄력적 수요 Elastic Demand

: 수요량은 가격 변화에 강하게 반응한다.

: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1보다 크다.

완전 비탄력 Perfectly Inelastic

→ 요구 수량이 가격 변동에 응답하지 않음

완전 탄력성 Perfectly Elastic

→ 가격변동에 따른 수요량 무한변동

단위 탄력성

→ 수요량 가격과 동일한 비율로 변동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수요량이 가격에 얼마나 반응하는지 측정하기 때문에 수요곡선의 기울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총 수익 및 수요의 가격 탄력성

: 총 수익은 구매자가 지불하고 상품 판매자가 받는 금액

: 판매된 수량 곱하기 상ㅍ품의 가격으로 계산 TR = P x Q

선형 수요 곡선(Linear Demand Curve)에 따른 탄력성 및 총 수익

비탄력적 수요곡선과 함께, 가격의 증가는 비례적으로 더 작은 양(proportionately smaller)의 감소로 이어진다. 따라서, 총 수익은 증가한다.

탄력적 수요곡선을 사용할 경우, 가격의 증가는 비례적으로 더 큰 수요량(proportionately larger)의 감소로 이어진다. 따라서 총 수익은 감소한다.

수요의 소득탄력성

Income Elasticity of Demand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재화의 수요량이 소비자의 소득 변화에 얼마나 반응하는지 측정한다.

수요량 변동률을 소득 변동률로 나눈 값으로 계산한다.

수요에 대한 소득탄력성 계산

소득탄력성

상품 종류

정상재 Normal Goods

열등재 Inferior Goods

소득이 높을수록 정상재의 수요량은 증가하지만 열등재의 수요량은 감소

소비자들이 필수품necessities으로 여기는 상품은 소득 비탄력적인 경향이 있다.

: 예로는 식품, 연료, 의류, 유틸리티, 의료 서비스

소비자들이 사치품luxuries으로 여기는 상품은 소득탄력성이 있는 경향이 있다.

: 예로는 스포츠카, 모피, 비싼 음식

2. 공급의 탄력성

공급의 가격 탄력성은 상품의 공급 수량이 그 상품의 가격 변화에 얼마나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공급의 가격 탄력성은 가격의 변동에 따른 공급 수량의 변화율이다.

공급탄력성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Elasticity of Supply

-판매자가 생산하는 상품의 양을 바꿀 수 있는 능력.

: 해변 앞 땅은 비탄력적

: 책, 자동차, 또는 공산품은 탄력성이 있음

-시간 : 장기적으로 공급이 더 탄력적

3. 탄력성의 적용 APPLICATION of ELASTICITY

농사에 좋은 소식이 농부들에게 나쁜 소식이 될 수 있을까?

대학 농학자(agronomists)들이 기존 품종(existing varieties)보다 생산성이 높은 새로운 밀 잡종(wheat hybrid)을 발견하면 밀 농가와 밀 시장은 어떻게 되는가?

공급, 수요 및 탄력성의 응용

- 공급 곡선이 이동하는지 수요 곡선이 이동하는지 조사

- 곡선의 이동 방향을 결정

- 시장균형market equilibrium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려면 수요공급도supply-and-demand diagram를 사용

반응형
반응형

4. The Market Forces of Supply and Demand

Part 1. Market and Competition

공급(Supply)과 수요(demand)는 경제학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두 단어다.

수요와 공급은 시장경제를 작동시키는 힘이다.

현대 미시경제학은 공급, 수요, 시장 균형(market equilibrium)에 관한 것이다.

MARKETS AND COMPETITION

시장(市場)은 특정 재화나 용역의 구매자와 판매자의 모임이다.

공급과 수요라는 용어는 시장에서 서로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의 행동을 가리킨다(refer to).

구매자가 수요를 결정한다.

판매자가 공급을 결정한다

경쟁 시장은 매수자와 매도자가 많아 각각 시세(market price)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negligible) 정도로 큰 시장을 말한다.

Competition: Perfect and Otherwise

<완벽 경쟁 Perfect Competition>

제품은 동일

각각이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수많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존재

구매자 및 판매자는 가격을 책정

<독점 Monopoly>

판매자 한 명과 다른 판매자가 가격을 제어

<과점 Oligopoly>

판매자 수가 적음

항상 공격적인(aggressive) 경쟁은 아님

<독점 경쟁 Monopolistic Competition>

많은 판매자

약간 차별화된 제품 (Slightly differentiated products)

각 판매자는 자신의 제품에 대한 가격을 설정할 수 있음

Part 2. Demand

수요 DEMAND

수요량은 구매자가 구매할 의향이 있고 구매할 수 있는 양이다.

수요의 법칙 Law of Demand

수요의 법칙은 상품의 가격이 상승할 때 상품의 수요량이 감소한다고 명시한다.

수요 일정 Demand Schedule

수요일정은 상품의 가격과 수요량의 관계를 보여주는 표(table)이다.

시장 수요 대 개별 수요 Market Demand versus Individual Demand

시장 수요는 특정 재화나 용역에 대한 모든 개별 수요의 합을 의미한다.

그래픽으로 개별 수요 곡선은 시장 수요 곡선을 얻기 위해 수평(horizontally)으로 합산(summed)된다.

수요 수량 변화 Changes in Quantity Demanded

수요 곡선을 따라(along) 이동

제품의 가격 변동으로(change in) 인해(Caused by) 발생

ceteris paribus : 다른 사정이 변함 없다면

QD: Quantitiy demanded

f = Function

P = Price // P;= 가격만 변한다면 (나머지 조건은 동일)

수요 곡선의 이동 Shifts in the Demand Curve

-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것들-

소비자소득

관련상품가격 Prices of related goods

맛 Tastes

기대

구매자수

소비자 소득 Consumer Income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정상적인 재화(Normal Good)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이다.

소득이 증가할수록 열등한 재화(Inferior Good)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 것이다.

관련상품가격 Prices of Related Goods

한 상품의 가격이 하락하여 다른 상품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 때, 두 상품을 대체재(substitutes)라고 부른다.

한 상품의 가격이 하락하여 다른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때, 두 상품을 보완재(complements)라고 부른다.

Part 3. Supply

공급 수량(Quantity supplied)은 판매자가 판매할 의지와 능력이 있는 재화의 양이다

공급의 법칙 Law of Supply

공급의 법칙은 상품의 가격이 상승할 때 상품의 공급량이 증가한다고 말한다.

The Supply Curve: The Relationship between Price and Quantity Supplied

Supply Schedule

공급 일정은 상품의 가격과 공급 수량의 관계를 보여주는 표

Supply Curve

공급 곡선은 상품의 가격과 공급 수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시장 공급 대 개별 공급 Market Supply versus Individual Supply

시장 공급은 특정 재화나 용역의 모든 판매자를 위한 모든 개별 공급의 합을 말한다.

그래픽으로 개별 공급 곡선은 시장 공급 곡선을 얻기 위해 수평으로 합산(summed horizontally)된다.

공급 곡선의 이동 Shifts in the Supply Curve

투입가격 / 기술 / 기대들 / 판매자수

공급 수량 변동

공급 곡선을 따라 이동

가격마다 공급 수량을 바꾸는(alters) 모든 것의 변화로 인해 발생

공급량 변화

공급 곡선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

가격이 아닌 다른 결정요인의 변화로 인해 발생

Part 4. Equilibrium 균형

수요와 공급이 함께 이루어짐

균형은 공급량이 수요량과 동일한 수준에 도달한 가격을 말한다.

균형가격 Equilibrium Price

공급 수량과 수요 수량의 균형을 맞춘 가격

그래프에서, 수요와 공급이 교차하는 가격

균형 수량 Equilibrium Quantity

공급 수량과 수요 수량의 균형가격

그래프에서 공급과 수요 곡선이 교차하는 양

Equilibrium

Surplus 잉여

가격 > 균형가격일 때 공급수량 > 수요수량

공급 과잉 또는 잉여

공급자는 판매를 늘리기 위해 가격을 낮춰(ower the price) 균형으로 나아갈 것

Shortage 부족

가격 < 균형가격 일때, 수요수량 > 공급수량

초과수요 혹은 부족

공급자들은 희귀한 상품을 구매하려는 구매자들이 많아져 가격을 올릴 것이고, 따라서 균형으로 나아갈 것

수요공급의 법칙 Law of supply and demand

어떤 상품의 가격이 공급 수량과 그 상품에 대한 수요 수량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조정된다는 주장

균형에서의 변화 3단계 분석 Three Steps to Analyzing Changes in Equilibrium

사건이 공급 또는 수요 곡선(또는 둘 다)을 이동시키는지 여부를 결정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는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지 결정

수요공급도( supply-and-demand diagram)를 사용하여 이동이 균형가격과 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곡선을 따른 이동 대 곡선의 이동

Shifts in Curves versus Movements along Curves

공급 곡선의 이동을 공급의 변화라고 부른다.

고정된 공급 곡선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공급량의 변화라고 부른다.

수요곡선의 변화는 수요의 변화라고 불린다.

고정된 수요 곡선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수요량의 변화라고 부른다.

반응형
반응형

Part 1. Budget Constraint

예산 제약: 소비자가 지불 할 수 있는 것

THE BUDGET CONSTRAINT: WHAT THE CONSUMER CAN AFFORD

예산 제약은 소비자가 감당할 수 있는 소비 "수량"의 한계를 묘사(depicts)한다.

사람들은 그들의 지출이 수입에 의해 제한되거나 제한되기 때문에 그들이 원하는 것보다 적게 소비한다.

예산 제약은 소비자가 자신의 소득과 두 상품의 가격을 고려하여 감당할 수 있는 상품의 다양한 조합을 보여준다.

소비자의 예산 제약

The Consumer’s Budget Constraint

그 예산 제약 선에 어느 곳이든 두 상품들 간의 소비자의 결합 또는 절충(tradeoff)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만약 소비자가 피자를 사지 않는다면. 소비자는 500개의 펩시를 구매할 수 있다(Point B). 만약 소비자가 펩시를 사지 않는다면, 소비자는 100개의 피자를 살 수 있다 (Point B)

또는(Alternately), 소비자는 피자 50개와 펩시 250개를 살 수 있다.

예산 제약선의 기울기(slope)는 두 상품의 상대적인 가격, 즉 한 상품의 가격과 다른 상품의 가격의 비교와 같다.

소비자가 한 상품을 다른 상품과 교환할 수 있는 비율을 측정(measures)한다.

Part 2. Preferences

선호: 소비자가 원하는 것

PREFERENCES: WHAT THE CONSUMER WANTS

소비 수량 가운데에서 소비자의 선호도는 무차별 곡선(indifference curves)으로 나타낼 수 있다.

무차별 곡선은 소비자들에게 동일한 수준의 만족감을 주는 소비 묶음(조합)을 보여주는 곡선이다.

Representing Preferences with Indifference Curves

The Consumer’s Preferences

소비자는 A, B, C 지점에 표시된 조합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똑같이 만족감을 느낀다

한계대체율(The Marginal Rate of Substitution)

무차별 곡선의 어떤 점에서든 기울기는 한계대체율이다.

소비자가 한 상품을 다른 상품과 기꺼이 교환하려는 비율이다.

소비자가 다른 재화의 한 단위(unit)를 포기하기 위한 보상으로 요구하는 재화의 양이다.

무차별곡선의 네 가지 특성

Four Properties of Indifference Curves

낮은 것보다 높은 무차별 곡선이 선호된다

무관심 곡선은 아래로 기울어진다

무차별 곡선은 교차하지 않는다

무차별 곡선은 안쪽으로 기울어진다

Property 1: Higher indifference curves are preferred to lower ones.

소비자들은 보통 적은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선호한다.

높은 무차별 곡선은 낮은 무관 곡선보다 많은 양의 상품을 나타낸다.

Property 2: Indifference curves are downward sloping.

소비자는 동일한 만족을 위해 한 상품을 다른 상품보다 더 많이 얻을 경우에만 한 상품을 기꺼이 포기하려고 한다. 한 상품의 수량이 줄면 다른 상품의 수량이 늘어나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무차별 곡선은 아래로 기울어진다.

Property 3: Indifference curves do not cross.

A와 B는 소비자를 동등하게 만족하게 한다

B와 C는 소비자 동등하게 만족하게 한다.

이것은 A와 C는 소비자가 동등하게 만족하게 할 것을 의미한다(implies).

하지만 C는 A에 비해 두개의 상품을 모두 더 많이 가지고 있다

Property 4: Indifference curves are bowed inward.

사람들은 그들이 풍부하게(in abundance) 가지고 있는 상품들을 더 많이 교환하고 그들이 거의 가지고 있지 않은 상품들을 덜 교환하려고 한다. 이러한 소비자의 한계대체율의 차이는 그 또는 그녀의 무차별 곡선을 안으로 구부러지게 한다(cause).

→Convexity 볼록도

무차별 곡선의 두 가지 극단적인 예

완벽한 대체품 Perfect Substitutes

직선인 두 재화의 무차별 곡선인 두 상품은 서로 완벽한 대체품이다.

한계대체율(marginal rate of substitution)은 고정된 수이다.

완벽한 보완재 Perfect Complements

직각인 두 재화의 무차별 곡선의 두 상품은 서로 완벽한 보완재이다.

Part 3. Optimization

The Consumer’s Optimal Choice

최적화(OPTIMIZATION): 소비자 선택 사항

소비자들은 가능한 가장 높은 무차별 곡선에서 상품 조합을 얻고 싶어한다.

그러나, 소비자는 또한 그의 예산 제약에 최대치(end up on) 혹은 그 아래에서 선택해야 한다.

무관심 곡선과 예산 제약이 결합하면 소비자의 최적 선택이 결정된다.

소비자 최적은 가장 높은 무차별 곡선과 예산 제약이 접하는 지점(tangent)에서 발생한다.

소비자의 최적 선택 The Consumer’s Optimal Choice

소비자는 두 상품의 소비를 선택해서 한계대체율이 상대가격(relative price)과 같아진다(equals).

소비자가 최적일 때, 두 재화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valuation)는 시장의 평가와 같다.

가격 변화가 소비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재화의 가격이 하락하면 예산 제약이 바깥으로 회전(rotates)하고 예산 제약의 기울기(slope)가 변한다.

소득 및 대체 효과 Income and Substitution Effects

가격 변화는 소비에 두 가지 영향을 미친다. (소득효과/대체효과)

소득효과 : 소득 효과는 가격변동이 소비자를 더 높거나 더 낮은 무차별 곡선으로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소비의 변화이다.

대체 효과 : 대체효과는 가격변동이 소비자를 무차별곡선을 따라(along) 다른 한계대체율(marginal rate of substitution)로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소비의 변화이다.

가격변동 : 대체효과 A Change in Price: Substitution Effect

가격 변화는 우선 소비자가 무차별 곡선의 한 지점에서 같은 곡선의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게 한다.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의 이동)

가격변동: 소득 효과 A Change in Price: Income Effect

동일한 곡선에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한 후, 소비자는 다른 무차별 곡선으로 이동한다

(B 지점에서 C 지점으로의 이동)

수요 곡선 도출 (Deriving the Demand Curve)

소비자의 수요곡선은 그 또는 그녀의 예산제약(budget constrain)과 무관심 곡선에서 발생(arise)하는 최적의 결정(optimal decisions)의 요약으로 볼 수 있다.

소득의 변화가 소비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소득의 증가는 예산 제약을 바깥으로 이동시킨다. (An increase in income shifts the budget constraint outward.) 소비자는 더 높은 무차별 곡선(indifference curve)에서 더 나은 상품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정상품 대(versus) 열등재(Inferior Goods)

만약 소비자의 수입이 증가할 때 상품을 더 많이 구매한다면, 그 상품은 정상재라고 불린다

소득이 오를 때 소비자가 상품을 적게 사면 그것은 열등재라고 한다.

→ Ex) 라면

Part 4. Three Applications

THREE APPLICATIONS (1)

모든 수요 곡선(demand curves slope)이 아래로 기울어지는가?

수요 곡선은 때때로 위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것은 소비자가 가격이 상승할 때 더 많은 상품을 살 때 발생한다.

경제학자들은 수요의 법칙(law of demand)을 위반(violates)하는 재화를 설명하기 위해 Giffen good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Giffen good은 가격의 상승으로 수요량(quantity demanded)이 증가하는 상품이다. 소득 효과는 대체 효과를 지배한다. 그들은 위쪽으로 기울어진 수요 곡선을 가진다

→주식) 1984년, 주가가 상승하고 있다.

Cf. 베블렌 효과

THREE APPLICATIONS (2)

임금(wages)이 노동력 공급(labor supply)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근로자 소득효과보다 대체효과가 크면 사람들은 더 많이 일한 셈이다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크면 일을 덜 하는 것이다.

THREE APPLICATIONS (3)

이자율(interest rates)이 가계 저축(household saving)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고금리(higher interest rate)의 대체효과(substitution effect)가 소득효과(income effect)보다 크면 가계(households)가 더 많이 저축한다. 고금리의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크면 가계는 저축을 덜 한다. 따라서(Thus), 이자율의 증가는 저축(saving)을 장려하거나 저해(discourage)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라 쁠라야 해변

La playa

엘 뻬리오띠꼬

El periódico

까미나르 caminar

꼬메모스 comemos

Como comes come comemos comen

께레모스 queremos

Quiero quieres quiere queremos quieren

레모스 leemos

Leo lees lee leemos leeen

아부리도스 aburridos 지겨운

비비모사 vivimos

Vivo vives viven vivimos viven

따르데 tarde

라 꼬미다 la comida

엘 아로쓰 el arroz

께 부에노 que bueno

엘 베라노 el verano 여름

아브리르 abrir 열다

렌 Leen (그들) 읽다

훈따스 jutas 같이

그들에 여성이 한명이라도 읽으면서

훈따스 다 남성이면 훈또스 juntos

만싸나스 manzanas 사과

The weekends 복수형

Los fines de semanas

만약 the weekend 라면

La semana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은 무조건 명사 뒤에

Comida 꼬미다 음식

Muy buena 매우 좋다

 

아부엘로 아부엘라 앞에 정관사 붙이기

근데 papa랑 mama 앞에서는 정관사

안붙였던것 같은데 아마 존칭의 대상한테만

관사를 붙여주는 듯…?

스페인가 모국오인 외국인 학생이랑

룸메를 시켜달라고 해야할까보다 ㅎ

ㅋㅋㅋㅋㅋㅋㅋ큐ㅠ

여기서도 이탈리안 요리는 그 요리가 이탈리안

이라는 수식어이므로 명사 뒤로 가야 함

이거 왜 캡쳐했더라…ㅎ

아마 첫 문장 때문이지 않을까 싶네

블로그 : 스페인어 초보의 정리노트

아직도 헷갈리는 ㅎㅎㅎㅎ

여기서도 정관사…그리고 sometimes가

Be 동사 앞에 와야함 ㅠ 아ㅏ아ㅏ아아

Never를 뜻하는 nunca도 동일!

On을 스페인어로 고대로 번역하려다 보니

틀린것 같은데 특정 요일이나 주말은

그 자체로 전치사가 포함된 경우가 있다

이건 뒤에 명사가 아구아 여성형이라

Mucho가 아니라 mucha가 와야함

똑같은 고 또 틀려버리기 ^^

까먹어서 캡쳐했던 단어

또 까먹고 또 캡쳐해버리기!

Los lunes! 음 이거 보니

정관사 붙는 복수형 요일에는

기본적으로 전치사 on이 들어가는건가

싶기도 하고 ㅎㅎㅎㅎㅎ (독학의 한계)

이건 반대로 관사 그대로 영어로 번역하려다 ㅠ

Summers 는 매 여름마다 이런건가 ㅎ하하

No도 동사 앞에 와야 하는 것!

 

반응형
반응형

What is Plagiarism?

By Gordon Harvey

표절은 정보, 아이디어, 또는 단어들의 출처를 밝히는 것(acknowledge) - 거짓말, 속임수, 그리고 훔치는 행위 –을 생략(omitting to)함으로써 당신의 것으로 전달(passing off)하는 것이다. 표절은 라틴어로 유괴범을 의미한다; 고대(antiquity)에는 표절은 때때로 아이들을 훔치는 해적(pirates)을 의미했다: 몇몇 논평가(commentator)들이 관찰했듯이, 당신이 표절을 하면, 당신은 다른 사람의 두뇌를 훔치는 것이다. 하지만 당신은 또한 그것이 자신의 아이디어라고 주장하며 당신이 실제로 하지 않은 일에 대한 공로(credit)를 인정받기 위해 그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거짓말을 하고 부정행위를 한다. 당신은 그 혹은 그녀의 노력에 대한 공정히 인정해야 할(recognition) 출처를 속이고, 절 없이 같은 과제를 마친 학생들을 속이는 것이다.

(Excerpted from Writing with Source: A Guide for Students, 1998, p.22)

Berlin Defense Minister Resigns Over Plagiarism

표절 혐의로 사임한 베를린 국방부 장관

­ 다가오는 지방 선거에서 앙겔라 메르켈 총리의 보수주의자(conservatives)들에게 부담(liability)이 될 위협인 표절 의혹(allegations)으로 파문이 깊어지는 가운데 독일의 인기 국방장관이 화요일 사임했다.

칼 테오도르 주 구텐베르크는 바이로이트 대학이 박사 학위(doctoral title)를 취소(revoked)한 지 며칠 만에 자신의 결정을 발표했다. 보고서는 그가 일부 출처를 충분히 밝히지(credit) 않음으로써 논문의 학문적 기준을 위반했다고 밝혔다.

구텐베르크는 처음에는 혐의(allegations)에 대해 "어처구니없는(absurd) 주장"이라고 말했지만, 나중에 "엄청난 실수(grave mistakes)"라고 인정하였고, 고의로(deliberately) 누군가를 속인(deceived) 것은 아니라고 부인했다. 메르켈 총리는 의혹이 불거진 후 거의 2주 동안 그의 곁을 지키며 그 혐의가 국방장관으로서의 그의 업무와는 관련(bearing)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끊임없이 쏟아지는(overshadow) 혐의는 의혹을 유지 시켰고, 구텐베르크는 독일군의 주요 개편/정비(overhaul)과 아프간 주둔 미군의 임무 등 정책적 이슈를 무색(overshadow)하게 만들겠다고 위협(threatened)했다.

구텐베르그는 사임(resignation)을 발표하면서 "내 인생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순간(step)이었다"고 말했다. 구텐베르크는 "나는 내가 가지고 있고 다른 사람들에게 요구했을 결과(consequences)를 이끌어내고 있다"며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나도 내 약점과 실수를 지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나는 스스로를 위한 장관이 아니라 국방장관으로 임명된 것을 반대파들(opponents)에게 기꺼이 양보(concede)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텐베르크는 보수당 의원(conservative lawmaker)이 된 지 5년 후인 2007년 박사(doctoral) 논문을 제출했다. 독일 언론은 그가 국회의원직도 포기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구텐베르크의 사무실은 이에 대해 즉각적인(immediately reachable) 언급을 하지 않았다.

메르켈 총리는 오랫동안 독일 최고 인기 정치인으로 평가받아온 39세의 장관직 사퇴를 "무거운 마음으로" 수리했다고 말했다. 그는 "구텐베르크는 뛰어난 정치적 재능을 가지고 있으며 사람들의 마음에 다가가 정치에 열광(enthuse)할 수 있는 특출난 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의 16개 주 중 6개 주가 올해 지방 선거를 치를 예정이어서, 그의 사임(departure)은 실제로 그녀에게 도움을 줄 수도 있다. 3월 말, 남서부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있는 한 표는 메르켈의 중도 우파 연합(center-right coalition)에 힘든 시험대가 될 것이다.

만프레드 구엘너 포르사 여론조사기관 대표는 구텐베르크가 여전히 여론(degree of public)의 공감을 얻었지만(inspired) "그가 사임하지 않았다면 그의 당에 피해를 입혔을 것"이라며 스캔들이 장기화(dragged on)됐다고 말했다.

구텐베르크는 메르켈의 기독민주연합의 유일한 자매 정당인 기독사회연합의 당원이다. CSU 자체는 올해 유권자들을 상대(face)하지 않지만 구텐베르크는 메르켈의 당을 위해 선거운동을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구텐베르크는 2년 전 메르켈 내각에 경제장관으로 발탁된 뒤 독일 중도 우파의 떠오르는 스타가 됐다. 그는 말하기에 능한 행동하는 정치인으로 명성을 얻으며 2009년 독일 총선 이후 국방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최근 몇 달 동안, 그는 징병제(conscription)를 폐지하는 계획을 추진했는데, 이는 독일군의 군살을 줄이고 독일군이 해외 배치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에 더 잘 적응하도록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총리는 정부가 "필수적인(indispensable)" 개혁을 완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르켈 총리는 후임자를 지명하는 것은 너무 이르지만 "곧" 결정이 내려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구텐베르크의 CSU가 원한다면(if it chooses to) 새 장관을 지명할 권리가 있다고 덧붙였다.

독일인들은 구텐베르크가 떠나야 할 때라는 것에 동의하는 것처럼 보였다. 고향 바이에른주 완겐 출신의 모니카 슈미트는 "그가 좋은 장관이였기 때문에 안타깝다고(pity)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결국엔 옳은 일이었다. 그렇게 논문을 표절해서는 안되었기 때문이다."

베를린 회계사인 크리스티안 로스트는 이번 사임은 그의 행동에 대한 ”논리적인 결과"라고 말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이 단계는 너무 늦게 왔다." 야당은 메르켈 총리가 학계의 거센 항의(outcry)에도 구텐베르크에 매달리고(clinging to) 있다고 질타(berated)했다.

중도좌파 사회민주당의 토마스 오퍼만 중진 의원은 "메르켈 총리는 자신을 당혹스럽게 했고, 신뢰도도 손상됐으며, 정치의 평판도 손상시켰다"고 말했다. 베를린 자유대학의 오스카 니더마이어 정치학 교수는 메르켈 총리가 구텐베르크의 정치활동과 학벌 활동을 분리하려 한 것은 그가 자신의 정치 경력을 쌓아온 신뢰의 핵심에 의혹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장기적으로 그녀에게 심각한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메르켈 총리는 자신의 논문(dissertation)을 둘러싼 의문점들을 해소하는데 전념할 것이라고 말한 구텐베르크에 대한 궁긍적인 복귀 가능성을 보였다(held out).

그는 "어떤 형태로든 앞으로 우리가 함께 일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확신(convinced)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재로선 그가 복귀를 모색할지는 불확실하다. 구텐베르크는 사임 성명을 발표하면서 "항상 싸울 준비가 돼 있었지만 내 힘의 한계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pass off

1.행해지다[이뤄지다]

omit[əˈmɪt]

1.빠뜨리다, 누락[제외]시키다; 생략하다 (=leave out)

If you are a student, you can omit questions 16-18.

당신이 학생이면 16~18번 질문은 생략해도 된다.

2.(빠뜨리고) …하지 않다[못하다]

She omitted to mention that they were staying the night.

그들이 그날 밤에 머물 것이라는 얘기를 그녀가 빠뜨리고 하지 않았다.

유의어 leave out, drop, exclude

반의어 include, add, remember

allegation[ˌæləˈɡeɪʃn]

1.(증거 없이 누가 부정한 일을 했다는) 혐의[주장] (=accusation)

Several newspapers made allegations of corruption in the city’s police department.

몇몇 신문에서 그 시 경찰청에 대해 부패 혐의를 제기했다.

유의어 claim, charge, statement

liability[ˌlaɪəˈbɪləti]

1.(~에 대한) 법적 책임

The company cannot accept liability for any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본 회사에서는 천재지변으로 인한 손상에 대해서는 어떤 법적 책임도 질 수 없습니다.

2.골칫거리

Since his injury, Jones has become more of a liability than an asset to the team.

존스는 부상을 입은 이후로 팀의 자산이 아니라 골칫거리가 되었다.

3.(개인·회사의) 부채 (→asset)

The company is reported to have liabilities of nearly $90,000.

그 회사는 거의 9만 달러의 부채를 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유의어 disadvantage, burden, drawback

반의어 immunity, asset, advantage

revoke[rɪvoʊk]

1.폐지[철회/취소]하다

유의어 cancel, repeal, rescind

반의어 introduce, enact, ratify

credit[ˈkredɪt]

1.신용 거래 (→hire purchase)

to get/refuse credit

신용 거래를 하다/거부하다

2.융자(금)

The bank refused further credit to the company.

은행에서 그 회사에 추가 융자를 거부했다.

1.(A에) (B를) 입금하다 (↔debit)

Your account has been credited with $50,000.

당신 계좌에 오만 달러가 입금되었습니다.

2.B를 A의 공으로 믿다[공이라고 말하다]

The company is credited with inventing the industrial robot.

그 회사가 산업용 로봇을 발명한 공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유의어 praise, honour, recognition

반의어 disbelieve

absurd[əbˈsɜːrd]

1.우스꽝스러운, 터무니없는 (=ridiculous)

That uniform makes the guards look absurd.

저 제복 때문에 경비원들이 우스꽝스러워 보인다.

1.불합리, 부조리

He has a good sense of the absurd.

그는 부조리한 것에 대한 감각이 예리하다.

유의어 ridiculous, crazy, silly

반의어 sensible, reasonable

deliberately[dɪˈlɪbərətli]

1.고의로, 의도[계획]적으로 (=intentionally, on purpose)

She’s been deliberately ignoring him all day.

그녀는 하루 종일 의도적으로 그를 무시하고 있다.

2.신중하게, 찬찬히

He packed up his possessions slowly and deliberately.

그는 자기 소지품들을 천천히 신중하게 꾸렸다.

deceive[dɪˈsiːv]

1.속이다, 기만하다

Her husband had been deceiving her for years.

그녀의 남편이 그녀를 수년 동안 속여 왔던 것이다.

2.자신을 속이다, 스스로를 기만하다

[VN] You’re deceiving yourself if you think he’ll change his mind.

그가 마음을 바꿀 거라고 생각한다면 넌 네 스스로를 기만하고 있는 거야.

3.현혹하다 (=mislead) (→deceptive)

[VN] Unless my eyes deceive me, that’s his wife.

내 눈이 잘못된 게 아니라면 저건 그의 아내야.

유의어 take in, trick, fool

overshadow[ˌoʊvərˈʃædoʊ]

1.(…의 그늘에 가려) 빛을 잃게[무색하게] 만들다

He had always been overshadowed by his elder sister.

그는 항상 누나의 그늘에 가려 빛을 보지 못했었다.

2.(우울한) 그늘을 드리우다, 신이 나지 않게 만들다 (=cloud)

News of the accident overshadowed the day’s events.

그 사고 소식으로 그 날 행사가 별로 신이 나지 않았다.

3.그림자[그늘]를 드리우다

The garden is overshadowed by tall trees.

정원에는 키 큰 나무들이 그늘을 드리우고 있다.

유의어 spoil, ruin, mar

overhaul

1.(기계시스템의) 점검[정비]

a complete/major overhaul

완전한/대규모 점검

1.(기계시스템을) 점검[정비]하다

The engine has been completely overhauled.

엔진은 완전히 점검되었다.

2.(경주에서 남을) 앞지르다 (=overtake)

He managed to overhaul the leader on the final lap.

그가 마지막 바퀴에서 맨 앞에 가던 선수를 앞지르는 데 성공했다.

유의어 check, service, maintain

enthuse[ɪnθuːz]

1.열변을 토하다, 열광해서 말하다

[V] The article enthused about the benefits that the new system would bring.

그 글에서는 새 시스템이 가져올 혜택들에 대해 열변을 토하고 있었다.

2.열광하게 만들다

Everyone present was enthused by the idea.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그 생각에 열광했다.

유의어 rave, be enthusiastic, gush

시간을 질질 끌다

1.drag on2.drag out

conscription[kənˈskrɪpʃn]

1.징병제 (=call-up)

indispensable[ˌɪndɪˈspensəbl]

1.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essential), (↔dispensable)

Cars have become an indispensable part of our lives.

자동차가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부분이 되었다.

유의어 essential, necessary, needed

반의어 dispensable, superfluous, non-essential

berate[bɪˈreɪt]

1.질책하다

유의어 rebuke, reprimand, reproach

반의어 praise

outcry[ˈaʊtkraɪ]

1.(대중들의) 격렬한 반응[항의]

an outcry over the proposed change

제의된 변경에 대한 격렬한 반응

유의어 protest, complaint, objection

반의어 indifference

hold out something

1.(가능성·희망을) 보이다[드러내다]

dissertation[│dɪsərteɪʃn]

1.(특히 대학 학위) 논문

유의어 essay, thesis, treatise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