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 수요 및 정부 정책
자유롭고 규제되지 않은 시장 시스템에서 시장 힘은 균형 가격을 설정하고 수량을 교환한다.
균형equilibrium 조건은 효율적일 수 있지만, 모두가 만족하는 것은 아닐수도 있다
경제학자들의 역할 중 하나는 정책 개발을 돕기 위해 그들의 이론을 사용하는 것이다.
가격 통제
보통 정책 입안자들이 시장가격이 구매자나 판매자에게 불공정하다고 생각할 때 제정enact된다.
그 결과 정부가 만든 가격 상한선과 하한선price ceilings and floors이 형성된다.
가격 상한선 Price Ceiling
재화를 판매할 수 있는 가격의 법적 최대값
가격 하한선 Price Floor
재화를 판매할 수 있는 가격의 법적 최소값입니다.
가격 상한선이 시장 결과에 미치는 영향
정부가 가격 상한제를 시행할 때 두 가지 결과가 있을 수 있다.
균형가격 이상으로 설정하면 가격 상한선이 구속력binding이 없다.
가격상한선이 균형가격 이하로 정해지면 구속력이 있어 품귀현상을 초래한다.
![](https://blog.kakaocdn.net/dn/dff0sa/btrrU6men5p/nyzIHcbexbQzPP8ng5RtY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qZQnc/btrrXLVEMAE/zriZ6nIeiZgZUUAkyvnkkk/img.png)
가격 상한선이 시장 결과에 미치는 영향
가격상한제의 효과
구속력 있는 가격 상한선 생성
QD > QS로 인한 부족
예: 1970년대의 가솔린 부족
무가격 배급.
예: 긴 줄, 판매자에 의한 차별
CASE STUDY(1): Lines at the Gas Station
1973년, OPEC은 세계 시장에서 원유 가격을 인상했다. 원유 Crude oil가 휘발유gasoline 주요 투입물이어서 유가가 오르면 휘발유 공급이 줄어든다.
긴 가스 라인의 원인은 무엇이었습니까?
경제학자들은 석유회사들이 휘발유에 부과할 수 있는 가격을 제한한 정부의 규제를 비난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obUBf/btrrXqD2Gep/NTquBJxouM1jsIilVAK1Y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cKaym/btrrUpGBtCk/OcSaB8vw7Vi122kYJOKAw0/img.png)
CASE STUDY (2) : Rent Control in the Short Run and Long Run
임대료 통제는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청구할 수 있는 임대료에 대한 상한선이다.
임대료 규제 정책의 목표는 주택을 저렴하게 만들어 빈곤층을 돕는 것이다.
한 경제학자는 임대료 통제에 대해 "폭격을 제외하고 도시를 파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https://blog.kakaocdn.net/dn/uQ2I4/btrrXLVEMCB/PwR7UBYvkISJKo1jRoEJm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If5n5/btrrWNsGu1O/D9DyNI3yYSnfirlYaV8U50/img.png)
가격대가 시장 결과에 미치는 영향
How Price Floors Affect Market Outcomes
정부가 가격 하한선을 강요할 때 두 가지 결과가 가능하다.
균형가격 이하로 설정하면 가격 하한선인이 구속력이 없다.
균형가격 이상으로 설정하면 가격 하한선이 구속력을 갖고 있어 흑자로 이어진다.
![](https://blog.kakaocdn.net/dn/l3z6p/btrrQ6OkJF5/K0CpI0n7KCTxpsuSJsObF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PiPon/btrrUtvHaAG/duoANTr6Mk4e4RKkCZuuD0/img.png)
가격대가 시장 결과에 미치는 영향
How Price Floors Affect Market Outcomes
가격 하한선은 수요와 공급이 균형가격과 양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시세가 바닥을 치면 더 이상 떨어질 수 없고, 시세는 하한선 가격과 같다.
구속가격 하한선은 ...의 원인이 된다.
QS > QD이기 때문에 잉여
비가격 배급은 차별 기준을 사용하여 상품을 배급rationing하기 위한 대체 메커니즘이다.
예: 최저임금, 농산물 가격 지원
가격 하한선의 중요한 예가 최저임금이다. 최저임금법은 고용주가 지불할 수 있는 노동의 최저 가격을 규정dictate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sWHAK/btrrUPd7QBM/pgFF3zplu0CrH8Ou5qJ3cK/img.png)
2. 세금
정부, 공공사업 수입 증대를 위해 세금 부과levy
그러나 구매자(및 판매자)에 대한 세금이 시장 결과에 영향을 미침
세금은 시장 활동을 저해한다.
상품에 세금이 부과되면 판매되는 수량은 더 적다
구매자와 판매자가 세금 부담을 분담함
탄력성 및 세금 발생률
Elasticity and Tax Incidence
세금 발생은 세금 부담을 시장에서 참여자들이 분담하는 방식manner이다.
세금 발생은 누가 세금을 부담하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세금은 시장 균형에 변화를 초래한다.
누구에게 세금이 부과되든 구매자는 더 많이 내고 판매자는 덜 받는다.
![](https://blog.kakaocdn.net/dn/UgwV0/btrrXrwaUz5/bLkIDY6pIs2TUHjjZXW90K/img.png)
세금의 영향은 무엇일까?
: 세금은 시장 활동을 저해한다.
: 상품에 세금이 부과되면 판매되는 수량은 더 적다
: 구매자와 판매자가 세금 부담을 분담한다
![](https://blog.kakaocdn.net/dn/duIX7r/btrrVqxZrYS/dj64BjaYiRGsSWccgc3Ja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lIef7/btrrVnaormn/g7cbrmlkegs8599TqOqDxK/img.png)
세금 부담이 어느 정도 비율로 나뉘는가?
판매자에게 부과되는 세금의 효과와 구매자에게 부과되는 세금의 효과는 어떠한가?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은 수요의 탄력성과 공급의 탄력성에 달려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dbtCgo/btrrRT2LBPk/Hg4GwY7Gx2kKQMUmK1Fkd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mtEbZ/btrrU76HNnL/ozdf2bb5EmZVr7ko9bBls1/img.png)
그렇다면, 세금 부담은 어떻게 나눌까?
탄력성이 떨어지는 시장 쪽에 세금 부담이 더 무겁게 떨어진다.
![](https://blog.kakaocdn.net/dn/dOXreY/btrrVX3D1ho/fMf5MJjIWt2HiA1kEm9Cu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G4d5L/btrrUP6iTE3/77CqjiL3kxxCjQIux7EddK/img.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