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art 1. Budget Constraint

예산 제약: 소비자가 지불 할 수 있는 것

THE BUDGET CONSTRAINT: WHAT THE CONSUMER CAN AFFORD

예산 제약은 소비자가 감당할 수 있는 소비 "수량"의 한계를 묘사(depicts)한다.

사람들은 그들의 지출이 수입에 의해 제한되거나 제한되기 때문에 그들이 원하는 것보다 적게 소비한다.

예산 제약은 소비자가 자신의 소득과 두 상품의 가격을 고려하여 감당할 수 있는 상품의 다양한 조합을 보여준다.

소비자의 예산 제약

The Consumer’s Budget Constraint

그 예산 제약 선에 어느 곳이든 두 상품들 간의 소비자의 결합 또는 절충(tradeoff)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만약 소비자가 피자를 사지 않는다면. 소비자는 500개의 펩시를 구매할 수 있다(Point B). 만약 소비자가 펩시를 사지 않는다면, 소비자는 100개의 피자를 살 수 있다 (Point B)

또는(Alternately), 소비자는 피자 50개와 펩시 250개를 살 수 있다.

예산 제약선의 기울기(slope)는 두 상품의 상대적인 가격, 즉 한 상품의 가격과 다른 상품의 가격의 비교와 같다.

소비자가 한 상품을 다른 상품과 교환할 수 있는 비율을 측정(measures)한다.

Part 2. Preferences

선호: 소비자가 원하는 것

PREFERENCES: WHAT THE CONSUMER WANTS

소비 수량 가운데에서 소비자의 선호도는 무차별 곡선(indifference curves)으로 나타낼 수 있다.

무차별 곡선은 소비자들에게 동일한 수준의 만족감을 주는 소비 묶음(조합)을 보여주는 곡선이다.

Representing Preferences with Indifference Curves

The Consumer’s Preferences

소비자는 A, B, C 지점에 표시된 조합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똑같이 만족감을 느낀다

한계대체율(The Marginal Rate of Substitution)

무차별 곡선의 어떤 점에서든 기울기는 한계대체율이다.

소비자가 한 상품을 다른 상품과 기꺼이 교환하려는 비율이다.

소비자가 다른 재화의 한 단위(unit)를 포기하기 위한 보상으로 요구하는 재화의 양이다.

무차별곡선의 네 가지 특성

Four Properties of Indifference Curves

낮은 것보다 높은 무차별 곡선이 선호된다

무관심 곡선은 아래로 기울어진다

무차별 곡선은 교차하지 않는다

무차별 곡선은 안쪽으로 기울어진다

Property 1: Higher indifference curves are preferred to lower ones.

소비자들은 보통 적은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선호한다.

높은 무차별 곡선은 낮은 무관 곡선보다 많은 양의 상품을 나타낸다.

Property 2: Indifference curves are downward sloping.

소비자는 동일한 만족을 위해 한 상품을 다른 상품보다 더 많이 얻을 경우에만 한 상품을 기꺼이 포기하려고 한다. 한 상품의 수량이 줄면 다른 상품의 수량이 늘어나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무차별 곡선은 아래로 기울어진다.

Property 3: Indifference curves do not cross.

A와 B는 소비자를 동등하게 만족하게 한다

B와 C는 소비자 동등하게 만족하게 한다.

이것은 A와 C는 소비자가 동등하게 만족하게 할 것을 의미한다(implies).

하지만 C는 A에 비해 두개의 상품을 모두 더 많이 가지고 있다

Property 4: Indifference curves are bowed inward.

사람들은 그들이 풍부하게(in abundance) 가지고 있는 상품들을 더 많이 교환하고 그들이 거의 가지고 있지 않은 상품들을 덜 교환하려고 한다. 이러한 소비자의 한계대체율의 차이는 그 또는 그녀의 무차별 곡선을 안으로 구부러지게 한다(cause).

→Convexity 볼록도

무차별 곡선의 두 가지 극단적인 예

완벽한 대체품 Perfect Substitutes

직선인 두 재화의 무차별 곡선인 두 상품은 서로 완벽한 대체품이다.

한계대체율(marginal rate of substitution)은 고정된 수이다.

완벽한 보완재 Perfect Complements

직각인 두 재화의 무차별 곡선의 두 상품은 서로 완벽한 보완재이다.

Part 3. Optimization

The Consumer’s Optimal Choice

최적화(OPTIMIZATION): 소비자 선택 사항

소비자들은 가능한 가장 높은 무차별 곡선에서 상품 조합을 얻고 싶어한다.

그러나, 소비자는 또한 그의 예산 제약에 최대치(end up on) 혹은 그 아래에서 선택해야 한다.

무관심 곡선과 예산 제약이 결합하면 소비자의 최적 선택이 결정된다.

소비자 최적은 가장 높은 무차별 곡선과 예산 제약이 접하는 지점(tangent)에서 발생한다.

소비자의 최적 선택 The Consumer’s Optimal Choice

소비자는 두 상품의 소비를 선택해서 한계대체율이 상대가격(relative price)과 같아진다(equals).

소비자가 최적일 때, 두 재화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valuation)는 시장의 평가와 같다.

가격 변화가 소비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재화의 가격이 하락하면 예산 제약이 바깥으로 회전(rotates)하고 예산 제약의 기울기(slope)가 변한다.

소득 및 대체 효과 Income and Substitution Effects

가격 변화는 소비에 두 가지 영향을 미친다. (소득효과/대체효과)

소득효과 : 소득 효과는 가격변동이 소비자를 더 높거나 더 낮은 무차별 곡선으로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소비의 변화이다.

대체 효과 : 대체효과는 가격변동이 소비자를 무차별곡선을 따라(along) 다른 한계대체율(marginal rate of substitution)로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소비의 변화이다.

가격변동 : 대체효과 A Change in Price: Substitution Effect

가격 변화는 우선 소비자가 무차별 곡선의 한 지점에서 같은 곡선의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게 한다.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의 이동)

가격변동: 소득 효과 A Change in Price: Income Effect

동일한 곡선에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한 후, 소비자는 다른 무차별 곡선으로 이동한다

(B 지점에서 C 지점으로의 이동)

수요 곡선 도출 (Deriving the Demand Curve)

소비자의 수요곡선은 그 또는 그녀의 예산제약(budget constrain)과 무관심 곡선에서 발생(arise)하는 최적의 결정(optimal decisions)의 요약으로 볼 수 있다.

소득의 변화가 소비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소득의 증가는 예산 제약을 바깥으로 이동시킨다. (An increase in income shifts the budget constraint outward.) 소비자는 더 높은 무차별 곡선(indifference curve)에서 더 나은 상품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정상품 대(versus) 열등재(Inferior Goods)

만약 소비자의 수입이 증가할 때 상품을 더 많이 구매한다면, 그 상품은 정상재라고 불린다

소득이 오를 때 소비자가 상품을 적게 사면 그것은 열등재라고 한다.

→ Ex) 라면

Part 4. Three Applications

THREE APPLICATIONS (1)

모든 수요 곡선(demand curves slope)이 아래로 기울어지는가?

수요 곡선은 때때로 위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것은 소비자가 가격이 상승할 때 더 많은 상품을 살 때 발생한다.

경제학자들은 수요의 법칙(law of demand)을 위반(violates)하는 재화를 설명하기 위해 Giffen good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Giffen good은 가격의 상승으로 수요량(quantity demanded)이 증가하는 상품이다. 소득 효과는 대체 효과를 지배한다. 그들은 위쪽으로 기울어진 수요 곡선을 가진다

→주식) 1984년, 주가가 상승하고 있다.

Cf. 베블렌 효과

THREE APPLICATIONS (2)

임금(wages)이 노동력 공급(labor supply)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근로자 소득효과보다 대체효과가 크면 사람들은 더 많이 일한 셈이다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크면 일을 덜 하는 것이다.

THREE APPLICATIONS (3)

이자율(interest rates)이 가계 저축(household saving)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고금리(higher interest rate)의 대체효과(substitution effect)가 소득효과(income effect)보다 크면 가계(households)가 더 많이 저축한다. 고금리의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크면 가계는 저축을 덜 한다. 따라서(Thus), 이자율의 증가는 저축(saving)을 장려하거나 저해(discourage)할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