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민의식과 비판적 사고능력을 가르치는 홍콩 고등학교 인문학(통식교육) 교과서에서 ‘삼권분립’ 개념이 사라짐.
2. 교육당국의 ‘자문’ 결과를 교과서를 발행하는 출판사 쪽이 ‘자발적’으로 받아들여 교과서를 개정한 결과
3. 친중파 진영에선 홍콩 기본법이 ‘행정부 주도’로 통치 체제를 규정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입법·사법부 독립 개념을 문제 삼아왔는데, 결국 교과서에서 이 표현이 사라지게 된 것
4. 특히 시민 불복종’을 설명하는 부분에선 불복종 운동에 참여하게 되면 추후에 형사처벌을 포함한 법적 책임을 지게 된다는 부분이 강조되었음
5. 2009년 도입돼 홍콩 대학입시의 필수과목으로 지정된 인문학 과목은 교육당국의 심의 절차 없이 학교별로 각 출판사가 펴낸 교재를 선택해 사용가능
6. 그러나 홍콩 친중파 진영과 중국 당국은 그간 인문학 과목을 집중적으로 비판해왔음
7. 특히 송환법 반대 시위가 불을 뿜었던 지난해 중국 관영매체들은 앞다퉈 “급진적 교사와 편향된 교과서가 편견에 사로잡힌 홍콩 청소년의 시위 참여를 부추기고 있다”며 “홍콩에서도 ‘애국교육’을 포함한 중국 본토의 교육과정을 따라야 한다”는 주장을 쏟아낸 바 있음
8. 홍콩 정부가 ‘자문기구’를 설치하고, 인문학 교과서에 대한 사실상의 ‘검열’에 나선 것도 이 때문이라는 추측이 가능함.
-번역-
Hong Kong Textbook Erased 'Democracy'
The concept of "The separation of the three powers" has disappeared from Hong Kong high school humanities textbooks that teach civic awarenes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e results of the education authorities' "consultation(자문)" are the result of the revision of the textbooks, which the publishers accepted as "voluntary."
The South China Morning Post reported on the 19th that much of the content included in the existing textbooks has been deleted or changed since the September semester. The six publishers of humanities textbooks reportedly notified teachers at schools of the changes on the 17th.
According to the revision carried by the newspaper, in today's Hong Kong textbook, the term "separation of the three powers," which means a political system in which the administration, legislation and judiciary are independently checked and balanced, was omitted. The pro-China camp has taken issue with the concept of legislative and judicial independence based on the fact that Hong Kong's basic law defines the ruling system as "administrative initiative," which eventually disappeared from textbooks.
There are also changes in areas related to the "identity" of Hong Kong citizens. Unlike previous textbooks, which contained pictures of protesters holding hand signs with slogans such as "I am Hong Kong," the revised version has been replaced with a different one.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Hong Kong Security Law, the slogan of the "Free Hong Kong, Revolution Now," which was the leading slogan of protesters against the extradition law last year, seems to reflect the fact that it was illegal.
In explaining "citizen disobedience," it was emphasized that participating in the disobedience movement will later take legal responsibility, including criminal punishment. In the "Modern China" textbook, criticism that "the rule of law has not yet been properly settled in China" was completely deleted.
The humanities subjects, which were introduced in 2009 and designated as compulsory(필수적인) subjects for Hong Kong's college entrance exams, are aimed at improving independent and non-judicial thinking skills, raising citizens' awareness, and improving understanding of social agendas. Humanities textbooks a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public health, modern China, globalization, and today's Hong Kong. Unlike Chinese or English subjects, each school can choose and use textbooks published by each publisher without deliberation(심의) procedures by the education authorities.
Hong Kong's pro-Chinese and Chinese authorities have been criticizing humanities subjects. In particular, last year, when protests against the repatriation(송환) law flared up(치솟다), Chinese state media rushed to claim that "rapid teachers and biased textbooks are encouraging teenagers in Hong Kong to participate in the protest. Hong Kong should also follow the curriculum of mainland China, including "patriotic (애국)education." This is why the Hong Kong government has set up an "advisory body" and launched a de facto(사실상의) "censorship" on humanities textbooks.
The education authorities claimed that they only consulted on the goals of the curriculum and that the publishing company can decide whether to follow them or not. On the other hand, the Hong Kong Association of Traditional Education Teachers issued a statement on the 18th, saying, "It has become very difficult to discuss controversial topics with students. The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clarify(명확히) the criteria for changing the content of textbooks that have been around for more than a decade."
Concern groups urge Hong Kong Education Bureau to stop textbook ‘censorship’
1. Concern groups in Hong Kong have called for a public petition over textbook censorship fears, whilst a UK rights watchdog has said academic freedom is under threat.
2. The week, it emerged that some publishers had either removed or altered political content about civil disobedience or descriptions of last year’s city-wide protests over an ill-fated extradition law.
3. It reflected that the bureau’s claim of ‘enhancing the quality of textbooks’ was merely an excuse for political censorship. They are turning the textbooks into the authorities’ mouthpiece.
4. We hoped students will consider using older versions of textbooks that are more comprehensive and clearer, and boycott the revised version,” Cheng said.
-번역-
홍콩의 우려 단체들은 교과서 검열 공포와 관련해 국민 청원(public petition)을 요구하는 한편(whilst), 영국의 한 인권 감시단체는 학문의 자유가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
진보적 교사 동맹, 홍콩 교육자 동맹, 홍콩인 교육 지원 및 교육 혁신(breakthrough)은 케빈 영 교육부 장관(secretary)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 초안을 마련하여, 자유주의 교과서의 정치적 검열(alleged)과 내용 삭제를 중단(halt)하라고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또 교육청이 교과서를 검토하는 신설된 '전문 컨설팅 서비스'의 세부 내용을 공개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 주에는, 일부 출판업자들이 시민 불복종(disobediance)에 관한 정치적 내용을 삭제하거나 변경하거나, 또는 작년에 있었던 불행한 범죄인 인도법(ill-fated extradition law)에 대한 도시 전체적으로 일어난 항의시위에 대한 설명을 수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개 서한은 당국이 학생들의 독립적 사고를 방해하고(hinder) 자유로운 사고를 억누르기 (stifle)위해 그 내용을 삭제했다고(obliterating) 비난했다(accused): "권력분리에 대한 주제는 여러 교과서에서 사라진다. 정부가 집회의 자유에 부과하는 제한뿐만 아니라 시민 불복종 이념에 대한 내용도 대부분 지워졌다 그것은 '교과서의 질적 향상'이라는 교육청의 주장이 정치적 검열을 위한 구실(bureau’s claim)에 불과하다는 것을 반영한다. 교과서를 당국의 대변인(mouthpiece)으로 만들고 있다."
새로 설립된 단체 교육 혁신의 대변인인 활동가 아이작 쳉은 금요일에 기자들에게 그 단체들이 이 문제에 대한 후속(follow up) 조치를 위해 지역 의회 의원(district councillor)들과 힘을 합칠 것(join foreces)이라고 말했다. 교과서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이슈를 모아 대중이 접근할 수 있는 '교과서 세뇌 데이터 아카이브'도 구축했다.
"우리는 학생들이 좀더 포괄적이고 분명한 오래된 버전의 교과서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개정된 교과서를 거부하는(boycott) 것을 고려하기를 희망했다," 라고 쳉은 말했다.
1. IT giant corporation Apple becomes the first U.S. company to value $2 trillion (about 2,400 trillion won) in the stock market
2. It's been two years since Apple became the world's largest $1 trillion company in 2018.
3. Saudi Arabia's state-owned oil company Saudi Aramco achieved a market capitalization of $2 trillion in December last year, but declined to $1.8 trillion.
4. IT Firms Surge in the Corona 19 Situation Apple Share price has increased by more than 50% this year alone
5. Most valuable companies followed Apple are Amazon, Microsoft, andGoogle-owner Alphabet
6. Experts Expect Further Growth in Apple Corporate Value in the future
milestone[-stoʊn]
명사
1.중요한 단계
2.(돌로 된) 마일표
state(St)[steɪt]
1.상태
2.국가, 나라
3.국가의, 국영의
4.(국가 지도자의 행사 참석과 관련하여) 국가적인
backed[bǽkt]
1.등이 있는, …의 등을 한
2.후원받는
*state backed 국영의 (국영기업)
shares
명사
1.주식
surge[sɜːrdʒ]
동사
1.(재빨리) 밀려들다
The gates opened and the crowdsurgedforward.
문이 열리자 사람들이 앞으로 밀려들었다.
2.(강한 감정이) 휩싸다
Reliefsurgedthrough her.
안도감이 그녀를 휘감았다.
3.급등하다
Share pricessurged.
주가가 급등했다.
recession[rɪˈseʃn]
명사
1.경기 후퇴, 불경기, 불황
the impact of the currentrecessionon manufacturing
현재의 경기 후퇴가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2.물러남, 후퇴
the gradualrecessionof the floodwater
홍수로 불어난[범람한] 물이 차츰 빠짐
underline[-dərˈl-]
동사
1.밑줄을 긋다
2.강조하다, 분명히 보여주다
[VN] The reportunderlinesthe importance of pre-school education.
‘Opposition to Postpone the Presidential Election’ Bolivia Stucked by a RoadBlock Protest
Bolivia in Latin America is getting more confused because of a roadblock demonstration which continued over a week to claim about the postponement of the presidential election.11th(local time) as 9days Bolivia protest is led by members of a worker group, cocaine peasant, miner and etc who support the former president Evo Morales.
The protest came out to the street to resist the two times postpone the presidential election because of COVID-19 when Ex-president Morales resigned last October presidential election for the allegation of corruption. The presidential and assembly election was planned to take place last May but it was postponed for the first time to be held in September and once again delayed to 18th October due to COVID-19 getting worse.
The former president Morales, who is in an asylum in Argentina, argued that interim president Janine Anes was necessarily delay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making time. Anes also enrolled in the election and before COVID-19, Movimiento al Socialismo (MAS) candidate took the first lead at the social survey. Morales supporters asked to take the election in October and the resignation of Anes and started the indefinite general strike last 3rd.
광고
The protester blocked the road with rocks, trees, and old tires around Bolivia. The confusion was getting bigger because the immobility of people and products and roadblock continued more than a week after the failure of the negoti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otester
The interim government argued the protest disrupted moving of oxygen and medical equipment under COVID-19 moment, EEF said over 30 people died from a shortage of oxygen due to the protest.The government said yesterday they will deploy the military for moving of oxygen, medical equipment, medical staff, and medical people.
However, the protester refuted that they didn't block the transportation of medical stuff and the shortage of oxygen which existed already before the protest. Human rights ombudsman in Bolivia said three protesters got gunshots by the armed citizen who attacked them. Bolivia’s crisis is getting worse, which was already shaken by COVID-19 and intense protest moments after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91,635 COVID-19 infected patients and 3,712 dead people have been counted in the 11,700,000 population of Bolivia.
-영어단어-
봉쇄[封鎖]
1.blockade, block (up), seal off, blockade
혼란[混亂]
1.confusion, chaos, mess; (소란) commotion; (무질서) disorder, confused, chaotic, mixed up (※명사 앞에서는 쓰이지 않음)
혼란에 빠지다
fall into confusion[disorder]
광부[鑛夫]
1.miner, mine worker
조합원[組合員]
1.member of an association; (노동조합원) union member, (trade) unionist
반발[反撥]
1.resist, oppose opposition (to), backlash, resistance (to),
그의 발언은 조합의 강한반발을 샀다
His remarks sparked[initiated] the union's strong opposition.
볼리비아의 반정부 봉쇄가 고조되는 정치적 긴장감과 폭력적 대립 그리고 정부 의혹 속에서 2주차에 접어들고 있다. 시위대는 물자들이 코로나 환자들에게 전달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죽음을 야기했다. 시위대는 이미 공식적으로 37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죽고 91,600명이 감염된 세계적 대유행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가의 위기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고속도록 봉쇄는 사임한 에보 모랄레스 대통령의 사회주의 정당과 연합한 시골과 원주민의 노동조합이 조직한 것이다. 지난주, 그들은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갔고, 행진과 바리케이드를 치며 볼리비아 임시정부가 코로나를 언급하며 연기한 두번의 대선에 대해 압박하고 있다.
볼리비아는 11월 이후 첫 원주민 출신 대통령 모랄레스가 14년 동안 집권하면서 대규모 시위와 여전히 논쟁거리인 선거 사기 혐의로 쫓겨나면서 급격하게 양극화되고 있다. 임시정부는 정권을 넘겨받고 2달 후인 1월에 새 선거를 치를 것이라 약속했다.
헌법에 따라 대통령직은 소수 우파 정당의 보수적 기독교 상원의원 자니네 아녜스에게로 넘어갔다. 볼리비아 선거 당국은 투표가 10월 18일에 이루어질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이는 야당이 아녜스와 그녀의 장관이 불필요한 권력 유지를 위한 것이거나 분리된 우파를 통합하기 위한 시간을 벌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의심을 잠재우는데 실패했다. 반대 시위대는 지난 번 합의 되었던 9월 6일날 선거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행정수도 라 페스 옆의 엘 알토 도시에서 시위를 하고 있는 회계학 전공 학생 헤이디 모티뇨는 "우리는 선거를 통해 만들어지지 않은 불법적 정부를 가지고 있다" 고 말했다. "많은 이들이 알고 있듯이 코로나19로 인해 투표는 위험을 동반한다"며 "하지만 우리는 선거를 원하고 더 이상 가만히 있을수는 없다" 고 NPR에 말했다.
볼리비아 정부는 코로나19 피해자 30명의 죽음을 산소와 긴급물자를 병원으로 운송시키는 것을 막은 시위대로 인한 것이라고 탓하고 있다. 월요일, 비록 봉쇄 조직자들이 의료물자는 그들의 바리케이드를 이미 통과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고 말했지만 (정부는) 운송을 위한 안전한 이동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군인과 경찰을 투입했다.
소셜 미디어에서는 경찰과 시위대 그리고 친정부와 친반대 무장 집단의 산발적인 충돌 사진이 올라오고 있다. 야당 내 일부에서는 볼리비아의 세계적 유행병에 잘못 대응하여 원인을 제공한 아녜스의 즉각적 사임을 요구하고 있다.
팬데믹은 국가의 보건 체계를 휩쓸고 있다. 2주전 로이터에 따르면 볼리비마의 경찰들은 4월 이후 나타났고 그들은 3,300명의 시체를 라페스와 엘 알토의 가정과 공중장소에서 모았다. 그들은 80%의 시체들이 코로나19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아녜스의 비판론자들의 그녀가 초기에 새로운 선거를 개최하는 것이 그녀의 권한을 넘는 일이였으며 광범위한 인권유린을 하는 정부를 이끌고 있다고 비판했다. 하버드 법학대학 국제 인권클리닉과 인권을 위한 대학 조직의 6개월동안의 조사에 따르면 볼리비아는 임시정부가 나타나면서부터 "인권침해를 겪고" 있으며 그들은 이것이 끔찍한 "국가적 폭력, 자유발언에 제한, 임의적 구속"을 포함한다고 말했다.
아녜스 대통령은 초기에 그녀가 선거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이후 생각을 바꿨다. 7월 의견 투표에서 아주 근소한 차이로 선두를 달리는 모랄레스 사회주의 운동 후보 루이스 아르쎼가 24%, 중도 성향의 전 카를로스 메사 대통령 20%, 아녜스가 16%로 결과가 나왔다.
모랄레스는 아르헨티나에서 망명중이며 쿠테타의 피해자로 주장한다. 아녜스 행정부는 그가 반역과 폭동의 원인이며 그가 볼리비아에서 반정부 시위를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주 그는 공식적으로 대화를 촉구하고 봉쇄 시위 배후자들에게 10월 18일 선거일 수요을 검토하라고 제안했다.
-영어단어-
an economic blockade
1.경제 봉쇄
food blockade
1.식량 봉쇄
confrontation[ˌkɑːnfrən-]
Noun
1.대치, 대립
She wanted to avoid anotherconfrontationwith her father.
국내 기업의 해외투자 증가또한 외환수요를 증가시켜 우리나라화폐가치를 하락시킨다. 반면,외국 관광객의 한국 여행 증가는 우리나라 회페 수요 증가를 이끌어 미국 달러에 비해우리나라 화페가치를 상승시킨다.
자연실업률
자연실업률이란경제의 산출량과 고용이 사실상 완전고용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중에서도 지속되는 실업률이다. 경기변동과 관계없이 정상적인 상태에서 발생하는 실업인마찰적 실업과 구조적 실업만 존재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정부가실업자에게 주는 수당을 인상하면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찾을 노력을 덜하게 될 뿐 아니라 이직률도 높아져자연실업률은 상승한다. 정부가 고용을 유지하는기업에 대해 보조금을 인상하면 이직률이 하락하여자연실업률이 하락한다. 산업구조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인력조정 등이 이루어져 자연실업률이상승한다.
도덕적 해이
도덕적 해이란감추어진 행동의 상황에서 어떤 계약이나 거래가 이루어진 이후 정보를 가진 측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는 현상을 뜻한다. 팀 구성원이 발표준비를 게을리 하는 것, 에어백 설치 이후 운전자의 운전부주의 증가, 화재보험 가입 후 보험 가입자의 화재 방지 노력을 게을리하는 것, 급여를 지급하였지만 직원들이 근무를 태만하게 하는 경우 모두 계약이나 거래가 이루어진 이후 도덕적 해이를 보여주는 예다.
은행이 대출이자율을 높이면 위험한 사업에 투자하는 기업들이 자금차입을 하려는 경우는 역선택이다.역선택이란 감추어진 특성의 상황에서 정보수준이 낮은 측이 '사전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상대방과 거래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현상이다. 위험 사업에 투자하려는 기업들이 은행의 자금을 차입하려는 경우는 거래전 현상이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원유가격 상승
원유 가격이 상승할 경우 절전기구나 대체에너지 등 대체재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게 된다. 원유가격의 상승은전반적인 소비자 물가상승을 이끌어 자동차 운행을 비롯한 일반적인 상품에 대한 수요의 감소로 이어진다. 수요의 감소는기업의 실적악화로 이어져 기업 투자와 고용이 줄어든다. 따라서 실업자는 증가하게 된다.
경기침체 대응 수단
경기침체란영업활동 저하, 디플레이션, 수요를 초과하는 공급, 실업증가, 재고 누적, 공장 가동률 저하등 경제주체들의 경제활동이 위축되는 상태를 뜻한다. 경기침체에 접어들면 정부나 중앙은행은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수단을 시행한다.정부는 소득세, 법인세, 소비세 등을 인하하거나 투자세액공제를 확대하여 기업의 투자유인을 늘린다.
또한, 심각한 경기침체 시에는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여 정부지출을 늘린다.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인하하거나 재할인율 인하, 공개시장조작 등을 통해 통화량을 조절하여 대응한다. 원화가치를 상승시키면 오히려 수출이 감소하여 경기가 더욱 침체될 수 있다.
기업 간 거래
기업 내 거래와 기업 간(시장) 거래의 비용을 비교하여 기업이 등장하게 된 원리를 묻는 질문이다. 시장 정보의 불완전, 낮은 관리 및 감시비용은 기업 내 거래, 즉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도록 유도한다. 그러나 가격기구를 이용하는 비용, 즉시장 거래비용이 낮으면 다른 기업으로부터 구매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필립스곡선의 기울기 논쟁
필립스 곡선이란경제학자 필립스가 영국의 자료를 분석하여 명목임금상승률과 실업률 간에 역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낸 곡선이다.현재는 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간에 존재하는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을 필립스곡선이라 한다. 필립스곡선은우하향하는데, 실업률을 낮추면 인플레이션율이 상승하고, 인플레이션율을 낮추려면 실업증가를 감수해야 한다.
즉,물가안정과 완전고용을 동시에 달성하기 어렵다는 것이 필립스 곡선으로 나타냈다. 최근 필립스 곡선의 형태에 대한 여러 주장이 있다. 문제에서필립스 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졌다는 의미는 실업률의 변화에 대응한 인플레이션의 반응이 작아졌음을 보여준다.
역선택 신호발송 선별
역선택은 정보를 갖지 못한 측의 입장에서 볼 때 감추어진 특성이 바람직하지 않게 작용하는 현상을 말한다. 비대칭적 정보의 상황에서정보를 가진 측이 자신의 특성을 감추려고 할 수도 있지만, 신호(Signal) 발송을 통해 적극적으로 알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좋은 질의 중고차의 소유자는 구매자에게 적절한 신호를 보내야만 자신의 차가 안 좋은 질의 중고차가 아님을 보여줄 수 있다.
반대로정보를 갖지 못한 측이 상대방의 감추어진 특성에 대해 알아내려고 노력을 하는 행동을 선별(Screening)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보험회사는 다양한 종류의 보험 상품을 제시하고 보험계약자 스스로 상품을 선택하도록 한다. 보험계약자는 자신이 보유한 사적 정보를 보험 상품 선택시 반영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보험회사는 보험 계약자들의 선택을 통해 계약자에 대한 사적 정보를 역으로 유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