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해서 경제뉴스와 시사방송들을 통해 끊임없이 접하면서도, 상세한 배경과 내용에 대해서는 알지 못한체, 미국의 자국우선주의적인 정책인 것으로만 생각하다 인플레이션 감축이라는 정책 이름 아래에 생각보다 다양한 영역을 다루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우리 기업들에게 끼치는 영향들에 대해 파악하고, 유럽연합과 같이 국제적 시류를 함께하는 정책이라는 점에서 제대로 정리를 한번 해보고자 했다. 내용이 방대해서 세부적인 사항을 다 살펴보진 못했지만 대략적으로 필수적 사항들만 발췌해 보았다.

느낌점은 내가 개인적으로 미국이라는 나라에 살고 싶어하진 않지만, 역시 선진국은 선진국이구나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선제적이면서도 강대국이자 패권국이라는 지위를 이용해서 거침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문제를 삼고 싶지만 문제를 삼기 어려운 전 세계적인 공통적인 이슈이자 주권국으로써 할 수 밖에 없는 것들이기에 지적하기 애매한 것들 말이다.

에너지 안보, 기후변화, 재정, 의료보건 등 대외경제정책이면서도 미국의 사회적 복지 그리고 내수를 활성화 하는 전략이 함께 공존한다는 점에서 똘똘한 정책이자 다른 나라 입장에서는 분하리만큼 다소 영악하고 얄미운 느낌인 것 같다. 현실정치에서 이런 분함은 먹힐 리 없으니, 결국 우리는 그걸 똑똑하게 이용해야 하고 시류에 따라가기에 급급한 모습이 아니라 병행적이면서도 조금 더 앞서 나가야 할 수 밖에 없다. (그치만 지금 상태로는 ㅎㅎㅎㅎㅎ)

우리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차원에서 미국 현정부에서 가장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대해 공부하는 것은 나와 같이 직업적으로 관련된 사람들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 차원에서도 기업투자, 재테크, 경제 등에서 필수적으로 알아두는 것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이하 IRA)」은 바이든 정부 초기부터 추진하던 「더 나은 재건 법(Build Back Better Act, 이하 BBBA)」의 축소 수정 법안

BBBA는 과다한 지출규모(3.5조 달러)에 대한 반대로 의회 통과가 어려워 7,370억 달러 규모로 축소되어 IRA의 형태로 의회 통과

・ 세수 확대와 가계 지출 부담 축소->물가 안정화를 도모

에너지 안보 및 기후변화, 의료보건 접근성 제고, 적극적 세무 집행 등의 내용

기후변화 대응 관련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지출을 계획, 법안의 총투자 내용 중 에너지 안보 및 기후변화 대응 관련 지출이 80%

처방 의약품 가격 인하, 보건비용 부담 완화, 제약업계의 영향력 견제 등을 통한 의료보건 비용 절감과 접근성 제고

조세 공정성 증대 적극적인 세무 집행을 통한 재원 마련과 재정적자 감축

법안 재원 마련을 위하여 연간 수익 10억 달러 이상인 기업에 15%의 최저 법인세를 부과하고, 대기업들의 자기주식 취득에 대해 1%의 개별소비세를 부과하여 10년간 7,370억 달러 규모의 추가 세수 확보를 계획

IRA는 기후변화 대응 및 청정산업 인프라 확충을 위하여 첨단, 청정분야 산업군에 대한 광범위한 생산 및 투자 촉진 방안을 포함

・ 미국 내 생산설비를 갖춘 국내 태양광 업체에 대한 세제 혜택을 통한 가격경쟁력 제고를 기대할 수 있음

에너지저장장치(ESS)와 같은 에너지원 생산 기업 또한 세제 혜택을 기대할 수 있음

 

국내 기업의 배터리 핵심 소재의 중국 의존도는 80%를 넘어선 수준

・ 무역협회에 따르면 2022년 1~7월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산화리튬·수산화리튬, 코발트는 80% 이상, 천연흑연은 90%에 육박하는 수준을 중국에서 수입

IRA는 배터리 관련하여 국산 친환경 자동차의 세액공제(신차 대당 최대 7,500 달러, 중고차 4,000달러)에 영향을 미침

세액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미국 친환경 자동차는 최종적으로 미국 내에서 조립되어야 함

・ 이에 더하여 미국 내에서 생산된 친환경 자동차 중에서 ①탑재된 배터리의 핵심 광물 40% 이상이 미국 또는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이 발효된 국가에서 채굴, ②탑재된 배터리 부품의 50% 이상 북미에서 생산된 것이라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함

・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미국 현지 생산 시설 증설과 함께 국내외 소재 업체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의 중국산 소재 국산화를 추진 ・추가적인 소재 수입을 줄이기 위한 폐배터리 추출 광물의 재활용 필요

유럽연합(EU)도 IRA와 유사한 「원자재법(Critical Raw Materials Act)」을 추진 중

・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희토류와 같은 주요 광물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유럽 및 동맹국 내 생산을 지원하는 법안으로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유사

・ EU는 이와 별개로, 유럽에서 생산·판매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원재료 출처를 공개하는 '배터리 여권제'도 2026년부터 시행할 계획

핵심 부품과 원자재의 수입원에 대한 다변화는 한번에 이뤄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모든 영역에서 이를 주의하고 50%이상이 넘어가는 순간부터는 경계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 특히 국제사회에서 우호적이지 못한 그룹에 해당하는 국가들이라면 더욱이. 특히 무역시장에 의존해야만 하는 경제구조를 가진 한국은 더욱 더 그래야 할 듯.

美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내용과 정책적 시사점 / KIAT 산업기술정책센터 정책기획실(’22.10.6)

- (법령 구조) IRA는 보건(Heathcare), 청정 에너지(Cean Energy), 조세(Taxes) 등으로 구성

(보건) 처방 의약품의 가격 인하, 보건 비용 부담 완화, 제약 업계의 영향력 견제 등의 내용으로

* ‘건강보험개혁법’(Affordable Care Act, ACA. ‘오바마 케어’) 연장, 환자 부담금 상한선(2천 달러) 설정, 인플레이션에 따른 특정 의약품 가격 인상 제한 및 제약회사와의 직접 협상 등

(청정 에너지) 에너지 비용 감소, 청정에너지경제 구축, 환경오염 감소 등이 주요 목표

* (에너지 안보) 태양광 패널·풍력터빈·배터리 및 중요 광물 가공의 리쇼어링 생산 세액공제, 청정기술 제조 건설 투자 세액공제, 신규 청정에너지 차량 제조시설 건설 대출 및 기존 시설 재정비 보조금

* (탈탄소화 경제) 청정에너지 전환 보조금 및 대출, 지역 사회 청정기술 지원, 청정 전력원/에너지저장/청정 연료 차량 세액공제, 가정용 열펌프·태양광·전기 냉난방공조시스템(HVAC) 소비자 세액공제, 미국산 전기·대체에너지 차량 세액공제

∙ (조세) 조세법의 공정화와 재정적자 감축의 목표 설정

* ‘대체 최저법인세’(3년간 연평균 수익 10억 달러 이상의 초대형 기업에 대한 15% 최저 법인세율 부과), 기업의 자사주를 매입(buyback) 금액의 1% 소비세 부과

(IRA의 의미) 미국의 IRA는 인플레이션 감축 보다는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미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중심

- (미국 내 생산) IRA 수혜 여부는 ‘미국 내 생산’ 여부에 좌우될 수밖에 없으므로 미국 또는 미국과의 FTA 체결국에 생산 시설을 구축해야 함

- (중국 견제) IRA가 중국을 명시하지 않았지만, 중국을 ‘우려 외국 대상(Foreign entity of concern)’으로 표현함으로써 중국을 견제

∙ (미국의 지위 유지) 중국의 저렴한 생산비용으로 성장했던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글로벌 공급망을 재편하여 미국의 중국 의존도는 낮추고 미국의 영향력은 확대

* 전세계적으로 탄소중립으로 전환하는 시점에서 계속해서 제조 공정이 중국에 집중될 경우, 중국이 자원과 제조를 경제안보에 사용할 가능성이 증대

- (WTO, FT협정) IRA은 WTO 협정과 한미 FTA 내 통상규범의 위반 소지*가 있지만 최근 미국은 ‘환경보호’와 같이 일반적 예외로 인정될 수 있는 정책목적을 국제통상규범 위반의 정당화 사유로 활용

* 세액공제를 포함한 일부 자금 지원 조항들의 경우, 국제통상체제에서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보 조금’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으며, 또한 ‘미국 내 생산’에 대해서만 세액공제를 지급하는 경우 ‘내국민 대우 원칙’ 위반 가능성도 존재(법률신문 ’22.9.5)

반응형
반응형

에너지의 해외 의존도가 높고 수출 중심,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 중심의 경제 구조를 지닌 우리나라는 온실가스를 적극적으로 감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과정에서 미래의 경제 성장을 이끌어 갈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육성을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024. 5. 16.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공급망 강화 전략」을 발표하였습니다.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공급망 강화 전략」은 정부주도의 보급 계획 및 공급망 경쟁력 강화를 통한 해상풍력 산업생태계 조성, 우수입지 발굴 및 공급망 안정화 등을 바탕으로 하는 태양광 확산, 시장별 강점 극대화를 위한 RPS/PPA 관련 제도 개편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합니다.

· 해상풍력:정부 주도의 계획 입지 개발 방식 도입을 위한 해상풍력 특별법(원스톱샵법)의 입법 과정을 예의 주시할 필요 // 원스톱샵법 제정 전에는 기존 집적화단지 제도에 따라 해상풍력의 공공성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하나, 복잡한 인허가 절차나 부족한 계통연계 환경 등의 문제로 원스톱샵법 제정 전까지는 해상풍력사업 추진이 여전히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 태양광: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태양광의 입지를 전력계통 포화도 및 주민수용성에 기초하여 선정하도록 유도할 것 // 최근 태양광 입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광받고 있는 산단 태양광, 영농형 태양광 육성 정책이 추진될 경우 해당 태양광 사업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

RPS 제도: 정부는 RPS 제도 개편을 통해 정부 입찰 중심으로 신규 설비를 진입시키고 전기판매사업자와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간 장기 고정가 계약 방식을 도입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임 // 발전원별 보급목표를 고려한 설비용량 입찰이 가능해지고, 재생에너지 설비의 진입을 계통여건이나 공급망 등을 고려하여 선제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며, 발전사업자 입장에서도 원활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조달이나 안정적인 투자비 회수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

PPA 제도: PPA 거래 촉진을 위한 용량 기준 완화 등 PPA 관련 규제가 완화되고 RPS 제도와의 수요경합이 해소되면 RE100 이행력 제고,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등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

(https://www.lawtimes.co.kr/LawFirm-NewsLetter/198684)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관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500MW 규모 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들은 일정 비율 이상의 전기를 신 재생에너지 발전을 통해 의무적으로 공급해야 한다

(https://media.skens.com/958)

전력구매계약(PPA)은 기업이 재생에너지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직접 구매해 사용하는 제도다. 재생에너지 산업의 성장과 개발은 물론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RE100 이행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조달 받을 수 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03290)

탄소중립은 단순히 자국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을 넘어, 자유무역이 지배해 오던 국제 질서에서 보호무역의 명분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환경 보호를 명분으로 세제를 조정하며 무역 장벽을 설정하는 조치인 EU의 탄소국경조정(CBAM1))이다. 미국 역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2))을 통해 배터리, 재생에너지, 수전해 등 청정에너지 설비를 국내에 구축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은 철강, 시멘트, 전기, 비료, 알루미늄, 수소 등 6개 품목을 유럽연합(EU)에 수출하는 기업에 대해 제품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탄소 배출량만큼 탄소비용을 부과하는 일종의 관세 제도

(https://www.mss.go.kr/site/smba/ex/bbs/View.do?cbIdx=86&bcIdx=1048301&parentSeq=1048301)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IRA)이란 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인 Build Back Better에 포함되는 미국 가족 계획(American Families Plan)의 수정안으로서 기후변화 대응 및 의료보험 확대 등의 내용을 담고있는 법안

(https://namu.wiki/w/%EC%9D%B8%ED%94%8C%EB%A0%88%EC%9D%B4%EC%85%98%20%EA%B0%90%EC%B6%95%EB%B2%95)

우리나라는 에너지 자립도가 낮아 전체 수입액의 약 25%가 에너지 자원으로 구성

우리나라의 ‘에너지 수입 의존도(Energy Dependence on Import)’가 94%로 분석됐다. '에너지 자립도(Self-Sufficiency)’는 OECD 최하위 수준을 기록중이다. 국회예산정책처가 최근 발간한 ‘2023 대한민국 경제’에 따르면 2008년 이후 우리나라의 연평균 에너지 수입의존도는 연평균 96.4%를 기록

(https://www.e-platform.net/news/articleView.html?idxno=79389)

철강, 화학, 비금속 등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이 전체 수출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현실에서(2023년 기준), 온실가스 감축은 주력 제조업의 비용 증가로 경쟁력 약화를 불가피 // 신재생에너지산업 같은 새로운 성장동력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경제 성장과 온실가스 감축의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 과연 우리나라의 현재 상황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2024년 연합 인포맥스 기사에 따르면 OECD 회원국 중 가장 취약한 국가라는 결과를 보인다...ㅎ (당연히 그럴 것으로 생각함)

 

세계에너지총회(WEC)가 발표한 국가별 2023년 '에너지 트릴레마 지수(Energy Trilemma Index)'에 따르면 한국은 73.1점(만점 100점)을 받으며, 조사 대상 126개국 가운데 34위였다. OECD 38개 회원국 중에선 31위로 지난 몇 년간 큰 변화가 없이 정체된 모양새다. 에너지 트릴레마 지수는 WEC가 매년 세계 각국 에너지 시스템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다.

한국은 올해 평가에서 형평성은 95.9점으로 B등급(18위)을 받았으나 안보와 지속가능성은 각각 62.2점(B등급)과 63.9점(C등급)으로 46위와 74위에 올랐다. 특히 지속가능성은 최종 에너지 소비, 탈탄소 전원 비중,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 등을 따지는데 한국은 탈탄소 전원 비중이 여전히 낙제 수준이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07788)

바이든은 임기 동안 친환경·저탄소 정책을 시행하고,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통해 국내에서 생산되는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에 세액공제를 제공함으로써 친환경 정책과 자국 중심주의를 동시에 강화했다. // 2024년 2월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발표한 최종 안에서는 원안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유지하되, 2030년까지의 감축 속도를 늦추고 2030년 이후로는 대폭 강화하는 계획을 세웠다.

유럽의 보수화는 경제 불안정,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이민과 안보에 대한 우려, 코로나19 팬데믹 관리에 대한 반발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스웨덴,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에서 극우 및 보수정당이 승리를 거둔 최근 유럽 개별 국가의 선거 결과도 같은 맥락이다

: 얼마전 유럽의회선거 결과는 따로 포스팅 해봐야겠다.

친환경 정책의 지연은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 의지가 약하다는 인식을 낳음으로써 신재생에너지나 청정 기술로의 자본 흐름을 둔화시킬 수 있다.

2024년 주요 글로벌 이슈가 국내 신재생에너지산업에 미칠 영향을 요약하면 먼저 전 세계적으로 벌어지는 주요 선거의 결과로 자국 우선주의 정책이 강화되어 국제 무역과 협력에 제약을 초래하고 있다. 이는 한국 신재생에너지산업에 대한 수출 장벽 증가, 주요국의 자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으로 인한 공급 차질 및 가격경쟁력 저하, 그리고 자본 흐름 둔화로 인한 자금 조달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 관점에서 현재 가장 문제가 되는건, 대외이슈 보다는 대내적으로 지속적인 추진 전략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 아닐까. 현실에 따라서 규모와 속도를 조절할 수는 있더라도 방향을 유지해야 하는데, 그걸 순식간에 멈춰버리는 순가 전 산업에 어떤 시그널을 주는 것일지 고민해보지도 못한걸까 싶기도 하다.

또한 미국 대선 및 유럽 의회선거의 결과로 친환경 정책의 집행 속도가 조절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글로벌 시장 성장률을 당초 기대보다 낮춤으로써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및 보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 세계적인 금리 상승은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자금 조달 및 부채 상환 비용 증가로 이어져 신규 및 기존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수익성과 투자 매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자율 상승은 투자 대안으로서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상대적 매력도를 감소시키며, 미국과의 금리차로 인한 원-달러 환율 상승은 원자재·중간재 수입 비용을 증가시킨다. 단, 환율 상승은 한국 수출 업체들의 경쟁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고금리는 금융 효율성 증대 및 투자 버블 방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주요 주제와는 관련이 없지만, 고금리를 통한 투자 버블 방지라는 내용이 눈에 들어온다.

유가 상승은 에너지 비용 및 전반적 물가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신재생에너지 기술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양면적 영향을 제공한다. 장기적으로는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혁신과 시장 확대를 촉진할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 한국의 신재생 에너지 관련 통계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충분히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에서 경쟁력이 있는 산업으로 성장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는데, 고품질과 압도적 기술력 바탕의 신재생에너지 기술과 제품을 통해 중국의 저가공세와 경쟁해야하지 않을까 싶으면서 동시에 주요 광물의 확보 또는 대체재를 마련하는 것이 주요한 과제로 보인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국내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을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목표치 달성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 전략과 궤를 같이 해야 할 듯 하다.

 

: 국제에너지기구(IEA)에서 발표한 World Energy Outlook 2022에 따르면 태양광 산업분야(셀 및 모듈 제조)에 있어 기술력, 생산능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벨류체인 내 주요국가로 평가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평가원(KISTEP, 2021)에 따르면 2020년 한국의 에너지·자원분야 기술수준은

최고기술 보유국(미국) 대비 80.2%이며, 기술격차는 3.7년으로 평가되었다. 그 중 신·재생에너지 내 태양광분야는 고효율 태양전지부문에서 90.0% 수준으로 평가되며, 국내 셀·모듈 제조사(Hanwha Solutions, Hyundai Energy Solutions 등)가 기술력,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해외공장 건설 등 해외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 또한, 풍력 기술분야는 75.0% 수준으로 산업측면에선 타워, 하부구조물 등 구조재 제조사(Unison, CS Wind 등)가 기술력 등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되며, 관련 업계는 대규모 풍력단지 조성을 통해 국내 시장에 참여하고 투자 확대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수소 산업분야는 수소차, 연료전지 등 수소활용 분야의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으며,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인프라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https://www.investkorea.org/ik-kr/cntnts/i-126/web.do#n)

https://www.kiet.re.kr/research/economyDetailView?detail_no=2942&year=&month=&stype=&sval=&pg=1&pp=10

 

KIET 산업연구원 - 메인

산업연구원은 국내외의 산업·기술과 관련된 실물경제의 동향과 정보를 신속히 수집 조사하고 연구

www.kiet.re.kr

 

반응형
반응형

연구기록 l 주택자산의 불평등 진단과 중장기 정책 방향 (국회미래연구원/2023)

내 집 마련의 꿈이라는 문장이 엄청 멀리만 느껴졌었는데, 어느 새 나도 아파트 분양을 위한 청약일정을 살펴보고 있고, 부동산 사이트에 들어가서 아파트 매매가를 살펴보는 나이가 되었다. 그러면서도 집을 구입하는게 나의 거주의 목적인지 자산으로서의 취득인지 불확실하다. 두 개의 목적을 모두 가진다는 측면에서 주택은 실사용의 목적과 자산의 목적을 동시에 충족시킨다는 특징이 있다. 만약 내가 거주의 목적만을 생각한다면 내 생활 루틴에 가장 적합한 지역과 장소를 고르겠지만, 한두푼이 아니라 평생의 돈을 써야 하는 자산이라는 점에서 투자적 관점을 또 무시하기 어렵다.

이번에 국회미래연구원의 <주택자산의 불평등 진단과 중장기 정책방향>이라는 보고서를 읽으면서, 주택자산이 불평등의 관점에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를 연구진 저자들의 수많은 literatiure review를 읽으면서 접할 수 있었다. 내가 모르는 내용이 많았다는 점과 또 내가 평소에 가졌던 비슷한 생각 혹은 내가 전혀 생각치 못했던 측면에서 주택자산이 가지는 함의를 배울 수 있었다.

 

주택자산이 단순히 가진자와 없는 자를 구분짓고, 기득권 차원에서 주택가격 상승이 가지는 이점만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단편적인 의견에 대해서 다시 고민해볼 수 있는 기회였다. 그러면서도 내가 양적연구 차원에서 많이 부족한 지식을 이렇게라도 공부해야겠구나 싶은 생각도 들었다. 통계적인 계산식이나 모형등의 익숙하지 않은 것들이 나올 때면 다소 빠르게 다음 페이지로 넘어갔는데, 이번 포스팅에는 해당 내용도 함께 정리하며 포스팅에 담아보았다.

교육환경이나 직주(職住)근접 등 좋은 주거환경으로 인해 선호되는 지역의 경우 여전히 수급 불균형이 있기는 하지만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신도시 개발과 대규모 주택정비사업을 통해 주거서비스는 이전에 비해 양과 질 모두 크게 개선되었다. 이와 함께 인구 증가세의 둔화,낮은 경제성장률, 도시화의 성숙1) 등과 같은 지표들은 주택에 대한 실수요 위축을 의미하지만 최근의 주택가격은 실수요에 대한 예측과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였다. p.3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서구의 주요국가는 위기 대응을 위한 양적 완화 정책이 실물 부문의 생산성과 성장으로 이어지기보다는 부동산을 포함한 자산 가격의 상승으로 귀결되는 현상을 경험했다. p.3

특히 코로나19라는 긴급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각국 정부의 유동성 확대정책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진행된 주택가격 상승이 더욱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만들었다. // 코로나19 국면 이후에는 한국의 주택시장 또한 서구 시장이 이미 경험한 '주택의 금융화'와 유사한 양상들이 본격화하였다. 주택시장 상승 초입에 주택 가격 상승 기대감이 커진 상태에서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한 실물경제의 위축, 초저금리 정책과 확장적 재정정책은 주식시장과 함께 주택가격의 폭등으로 이어졌다. p.4

OECD Wealth Database 는 2009년부터 시작되는데 이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경 현재 28개국 평균 전체 순자산에서 상위 10% 가구가 약 52%, 상위 1% 가구는 약 19%를 차지한다. p.14

선진국에서 자산불평등이 심화되는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지적된다. 보통 자산을 많이 보유한 가구는 고수익 투자처에 투자하기 쉽고 투자의 거래비용이 낮으며 세금회피 등으로 인해 실효세율도 상대적으로 낮기때문에 자산불평등은 심화되기 쉽다(Reuten, 2023). p.20

예를 들어 유럽의 복지국가인 스웨덴과 노르웨이는 소득불평등이 가장 낮았지만 부의 불평등도는 매우 높았다. 저자들은 이러한 각국 사이의 부의 불평등의 차이에는 서로 다른 자산의 구성 차이가 중요하다고 지적하는데, 특히 주택의 자가보유율이 높을수로 부의 불평등 수준이 낮았다. p.22

 

이른바 북유럽 선진국이자 불평등지수가 가장 낮다고 평가되는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 부의 불평등도가 매우 높다는 점과 주택의 자가보유율이 높을 수록 부의 불평등 수준이 낮다는 내용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우리가 흔히 불평등이라고 말하는 기준이 되는 지표가 소득만을 다루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었고, 주택이 자산으로써 특정 주택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자산의 상승을 이끌어 불평등 수준을 낮춘다는 점은 전혀 생각해보지 못했던 관점이었다.

OECD 역시 선진국 가구의 자산 구성 및 자산불평등의 변화에서 주택의 역할이 커졌음을 지적한다. OECD의 Weatlh Database는 가구의 자산을 주로 금융자산과 부동산 자산, 기타 비금융자산 등으로 분해한다.

비금융자산의 주된 부분은 부동산자산인데 OECD의 2021년 보고서는 비금융자산을 주거주주택(main residence)과 다른 비금융자산으로 분해하여 2018년 OECD 국가에서 평균적으로 주요주택 자산의 비중이 전체자산의 약 51%라고 보고한다(OECD, 2021). 그러나 자산에서 주택의 비중은 국가적인차이도 큰데 미국과 뉴질랜드, 영국 등 앵글로색슨 국가에서 그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27

 

최근 선진국에서 나타난 자산/소득 비율 상승에서 중요한 요인이었던 주택부문 자산 증가도 지가의 상승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이들의 연구는 미국의 경우 주택부문 자산가치에서 지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1920년대 약 20%에서 현재 약 38%로 높아졌다고 보고한다. // 저자들은 이러한 주택가격의 변화가 특히 청년층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 보고한다(Fuller et al., 2020). 특히 1980년대 이후, 그리고 더욱 최근인 2000년대 들어서는 이전 시기와 달리 주택시장이 투자처로서 투기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고 주택가격이 상승이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주택보유 자체가 불평등과 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Maclennan and Long, 2023). p.33

주택보유의 유무자체가 불평등과 격차로 이어질 가능성, 주택이 보금자리로써의 역할보다 자산으로서의 역할이 더 강조될 수록, 주택에 대한 투자적(혹은 투기적) 수요는 증가돼고 주택가격의 지속적인 상승에 호응하는 정책방향은 주택을 보금자리로써 가지고자하는 이들의 접근을 제한하게 된다는 점. 단순히 청년의 문제가 아니라 집을 거주의 목적으로써 가지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해당되는 것.

 

주택금융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주택 가격 상승은 정부가 다양한 경로로 지원하는 주택담보 대출에 의해 뒷받침됐으며 역으로 주택 가격 상승은 주택 담보 대출 등 가계 대출을 증가시켰다. p.35

나의 전세도 대출이 대부분이었고, 앞으로 집을 구입 할 때도 정책대출의 힘을 빌릴 수 밖에 없는 현실. 전세가격이든 매매가격이든 결국 얼마나 대출이 나오느냐에 따라서 가격이 결정되는 현상. 자유시장경쟁에서 가격이 서로 경쟁하며 수요에 의해 결정되기 보다는 대출최대금액과 비슷한 가격대로 형성되면서 경쟁되지 않는 시장이 만들어진 것일 수도.

주택시장 버블 붕괴로 인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여러 선진국 중앙은행은 양적완화와 같은 비전통적 통화정책을 도입했는데 이러한 확장적 통화정책도 주택가격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낳았다. Huber and Punzi(2018)은 미국, 영국, 일본 그리고 유로지역을 대상으로 양적완화 정책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효과가 위기 이전과 마찬가지로 유의했다고 보고한다. 다른 실증연구도 중앙은행의 자산을 이용하여 미국, 일본, 유로지역 등 OECD 8개국에서 전반적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양적완화 정책이 주택가격과 주거투자를 양의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한다(Rahal, 2016). p.37

많은 연구들은 금리인하와 같은 확장적 통화정책은 경기침체를 막고 경기를 진작하여 실업률을 하락시키고 저소득층 노동자들의 임금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다. 따라서 금리인하는 소득불평등, 특히 노동소득 불평등을 개선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Coibion et al.(2017)은 미국의 1980년에서 2008년까지 소비자지출 서베이 분기자료를 사용하여 금리인상 충격이 노동소득과 총소득 그리고 소비와 지출의 불평등을 체계적으로 상승시킨다고 보고했다. 1969년에서 2012년까지 영국의 장기적 자료와 SVAR 기법을 사용한 다른 실증연구는 긴축적인 통화정책이 저소득층의 임금과 소득에 악영향을 미쳤고 고소득층은 영향을 받지 않아서 소득불평등을 심화시켰다고 보고한다(Mumtaz and Theophilopoulou,2017). p.37

SVAR 기법 SVAR(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기법은 경제학 및 계량 경제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고급 통계 모델로, 다변량 시계열 데이터*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SVAR 모델은 일반적인 VAR(Vector Autoregression) 모델을 확장하여 변수들 간의 인과 관계와 충격의 전달 경로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다변량 시계열 데이터(Multivariate Time Series Data)는 여러 변수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된 데이터를 말합니다. 이 데이터는 각 시점에서 여러 변수들이 동시에 관측된 값으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경제 데이터에서는 특정 기간 동안의 GDP, 실업률, 인플레이션율 등이 다변량 시계열 데이터로 기록될 수 있습니다.

SVAR의 활용 예시

  • 경제 정책 분석:
  • SVAR 모델은 통화 정책, 재정 정책 등의 경제 정책이 거시경제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이 실업률, 물가상승률 등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 금융 시장 분석:
  • 금융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시장 충격의 전파 경로를 파악하고, 금융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결국 신용공급과 가계부채 증가는 단기적으로 주택가격을 높이고 호황을 가져오지만 경제의 취약성을 높이고 더욱 심각한 불황으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저소득층에게 더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p.42

과도한 가계부채 증가 및 주택 가격 상승은 한국과 중국의 2015~2021년 제 성장률을 각각 1.97%포인트, 2.00%포인트 하락시킨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주택가격 상승과 관련된 가계부채 상승은 지속불가능하며 결과적으로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p.42

주택부문의 유동성과 신용공급 확대가 주택가격을 상승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며 정부의 주택담보금융(모기지)의 촉진을 포함하여 주택시장에서 금융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는 데 주목해야 한다. 주택의 금융화로 표현되는 이러한 변화가 가계부채의 상승으로 이어져 거시경제와 금융시스템을 취약하게 만들고 글로벌 금융위기와 은 경제위기로 이어지는 하나의 배경이었다고 할 수 있다.p.43

금융시스템과택의 연관이 발전되어 자가소유가 높아졌는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한계에 달했고 이후에는 자가소유비율이 정체하거나 하락했다. 특히 주택시장에서 버블이 발생하고 붕괴하여 위기가 발생하는 대출을 크게 가구들이 집을 차압당하고 고통받는 문제도 발생했다. 즉 주택담보대출이 금융산업 발전과 주택가격 상승을 결과했지만 버블과 가계부채를 증가시켜 부정적인 결과도 낳았던 이다(김수현, 2023). p.44

주택의 금융화가 초기에는 주택의 소유 확대에 기여하였으나, 점층적으로는 주택가격이 상승하고 이를 위해 가계의 대출이 늘어나면서 부채를 증가시키는 결과. 한국도 현재 동일한 상황이고, 많은 이들 특히 은퇴연령에 점차 가까워지고 있는 이들이 가지고 있는 유일한 자산이 주택이라는 점, 그래서 그 자산의 가격이 하락하는 것을 결코 용납할 수 없다는 점. 그래서 실제로 주택거주가 필요한 이들은 더욱 불안정한 거주로 취약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나도 이러한 현실에서 나의 미래의 부채를 미리 당겨서 몇 억짜리의 주택을 구입하는게 맞는 것일까 하는 생각도 든다.

* 샤플리값: 협조적 게임이론(cooperative game theory)에서 게임의 참여자가 협동하여 얻은 총 이득을 참여자의 한계적 기여(marginal contribution)에 따라 나누는 배분규칙

* 협조적게임이론: 협조적 게임이론(Cooperative Game Theory)은 게임이론의 한 분야로, 여러 플레이어들이 협력하여 공동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협조적 게임이론은 비협조적 게임이론(Non-cooperative Game Theory)과는 달리, 플레이어들이 동맹을 형성하고 자원을 공유하며, 이를 통해 얻어진 이익을 어떻게 분배할지를 중심으로 분석합니다. 협조적 게임이론은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습니다.

* 한국노동패널자료: 한국노동패널자료(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는 한국노동연구원(Korea Labor Institute)에서 수집하고 관리하는 국가적인 종단면 조사 데이터입니다. 이 패널 데이터는 한국의 가구와 개인의 노동 시장 활동, 소득, 교육, 건강, 가구 구성 및 이동 등을 추적하여 한국 노동 시장의 변화를 이해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수집됩니다.

 

* 앳킨슨지수(Atkinson index): 앳킨슨 지수(Atkinson Index)는 소득 불평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제학적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지수는 소득 분포의 불평등 정도를 평가하며, 소득 불평등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회가 기꺼이 포기할 수 있는 총 소득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앳킨슨 지수는 소득 불평등을 다룰 때 중요한 가치 판단을 포함하며, 이는 다른 불평등 지수와 차별화되는 점입니다.

* 대수편차평균: 대수편차평균(Theil Index)은 소득 불평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 중 하나로, 주로 경제학에서 사용됩니다. Theil Index는 정보 이론에 기초하여 소득의 불평등을 측정하며, 소득 분포가 얼마나 균등한지 혹은 불균등한지를 나타냅니다.

 

자산불평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부동산자산이며 순자산불평등에서 부동산자산 불평등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2년~2022년의 기간 중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는 2022년 79%, KLIPS 자료에서는 85%를 기록하였다. 특히 거주 부동산자산 불평등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비거주 부동산자산 불평등의 비중은 2010년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향후 자산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서 거주 부동산자산 불평등을 완화하는 정책이 중요할 것이다. P.69

*다항로짓회귀모형: 다항 로짓 회귀 모형(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은 종속 변수가 세 개 이상의 범주로 나뉘는 경우에 사용하는 회귀 분석 기법입니다. 이 모형은 각 범주의 확률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며, 의료, 사회과학, 경제학 등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자녀세대의 자산 중 부모세대자산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은 임차보증금을 포함한 부동산자산이라는 것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부모세대의 소득 및 자산 중에서는 소득이 자녀세대의 소득 및 자산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자녀세대의 소득 및 자산 중에서는 부동산자산(임차보증금포함)이 부모세대의 소득 및 자산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P. 105

 

*소득탄력성: 소득 탄력성(Income Elasticity of Demand)은 소득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의 특정 상품에 대한 수요가 얼마나 변하는지를 측정하는 경제학적 지표입니다. 이는 특정 상품의 수요가 소득 변화에 얼마나 민감한지를 나타내며, 소득 변화율 대비 수요 변화율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회귀분석: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은 통계학과 기계 학습에서 독립 변수(예측 변수)와 종속 변수(반응 변수)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회귀분석의 주요 목표는 주어진 데이터로부터 관계를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측하거나 변수들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회귀계수: 회귀계수(Regression Coefficient)는 회귀 분석에서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간의 관계를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값입니다. 회귀계수는 각 독립 변수가 종속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며, 회귀 모형의 적합성 및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수의 선진 자본주의국가들은 역사적으로 중산층을 형성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 수단으로 자가보유 지원정책을 활용해 왔다. 우리나라 역시 1970년대 이후 서민의 주거안정성을 높이고 무주택자와 유주택자의 자산 격차를 좁히는 수단으로 다양한 자가보유지원 정책을 시행하였다. p.123

OECD 국가들의 자가보유율과 자산 분위 상위 10%와 하위 40%, 그리고 중간 60%의 자산 비중의 관계를 분석해보면 자가보유율과 자산불평등도 사이에는 일관되게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ausa et al., 2019). 자가보유율이 높을수록 하위 계층, 중간 계층의 자산 몫을 늘릴 뿐만 아니라 상위 계층의 자산 몫을 줄이는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주택을 제외한 다른 자산의 불평등도는 주택 자산의 불평등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그 정도가 더 컸다. 자가보유율이 높은 사회는 주택 자산 뿐만 아니라 비(非)주택 자산의 배분도 좀더 평등한 경향을 보였다. p.124

 

네덜란드가 지속적으로 자가 소유율이 높아지게 된 원인 가운데 하나는 공공임대 주택이 대거 민간에 불하됐기 때문이다. 2000년부터 시작된 공공임대 주택의 민간 불하는 ‘소비자 우선(Consumer-First)’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진행됐다. 암스테르담 등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주택협회가 보유하고 있는 물량도 매각이 이뤄지도록 지방 정부가 유도했다(Aalbers. 2004: 483-495). 네덜란드의 자가 소유율 증가는 중앙정부가 공급자에 대한 보조를 줄이고, 대신 수요자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 방향을 바꾼 결과였다. 중앙정부는 지방정부로 주택 공급과 관련된 사무 가운데 다수를 이관했고, 신규 주택 공급에서도 분양주택 비중을 높이도록 했다(진미윤・김수현, 2017). p.135

정부주도의 장기 공공임대주택을 늘리는 것이 현재의 불안정한 거주안정성을 해결하는 방안이 아닐까 생각했었는데, 주택의 소유가 오히려 부의 불평등을 낮출 수 있다는 결과가 의외였다. 결론적으로 생각해보면, 집값의 상승 특히 평균적인 소득에서 평생을 벌어도 집을 살 수 없는 경우는 사실 서울 수도권 중심의 이야기 일수도 있겠다는 생각. 각 지역을 서울과 같은 같은 거점 도심으로 만들어 효율적인 인프라와 일자리를 형성하고 그것이 현재 인천경기 수도권으로 확대되었던 것처럼 된다면, 각 지역의 저렴한 주택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낮게 형성된 금액에서 구매 수요가 자극되어 자가 보급율을 높일 수 있지 않을까. 무엇이 먼저인지는 잘 모르겠지만서도 말이다.

정부는 자가소유를 저소득층이 중산화계층으로 성장하는 계기로 보았고, 이에 중산화가능계층을 타겟집단으로 하는 주택공급 정책이 시행되었다. // 주택시장의 규제 또는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단에 있어서 주택금융 관련 정책은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였고, 2000년대 이후 들어선 정부들이 주택시장에 개입하는 방식 중 하나는 주택금융 관련 정책이 되었다 p.142

주택정책은 경제성장을 위한 토대의 하나로서 간주되었고, 경제성장을 위한 조건을 조직하는 책임을 가진 국가는 주택개발(housing development)의 수준과 성격을 결정해왔다. 이와 관련하여 싱가폴과 홍콩은 토지를 국유화한 반면, 대만과 한국은 개발권을 정부가 소유해왔는데, 이는 사회민주주의 복지체제와 유사한 듯 하지만 이데올로기적인 특징이라기보다는 토지의 계획적 공급을 통해 경제성장이라는 국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용주의적인 장치로서 해석하는것이 타당할 것이다(Doling, 1999: 247). p.143

동아시아 국가들의 이러한 정책적 태도가 형성된 배경에는 주택정책이 거시경제적 측면에서 경제성장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 것과 관련이 깊다. 즉 주택정책의 목표가 경제성장이다보니 주택의 소비보다는 주택의 개발 및 건설이 더 중요시되었고, 국가의 개입 역시 주택의 개발 및 건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것이다.

 

우리나라의 가장 큰 이슈인 건설 PF 대출문제도 위의 내용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듯. 주택의 소비를 위한 정책보다는 주택의 개발과 건설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끌어내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었다는 점을 부인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이제 더 이상 그런 방식이 먹히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하고, 국민의 세금과 공공재원으로 이를 메꾸기 보다는 전환적인 차원에서 이를 검토할 필요가 있겠다.

그 결과 동아시아 국가들의 주택정책은 가구의 다양한 주거소요를 주택공급과 연계시키려는 노력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않았고, 주택정책의 탈상품화 정도도 전혀 높지 않았다. 주택의 소비는 대개 노동시장 지위와 관련되어 해당 가구의 주거비지불능력에 의해 결정되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국가가 소비영역에 개입하는 사례라 할 수 있는 공공임대주택 역시 전체 주택재고에서 매우 적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설사 공공임대부문이 비교적 큰 규모라 할지라도 이는 중간소득층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었다 p.143

동아시아 국가들이 자가소유를 정책적으로 선호하는 이유는 자가소유가 국가의 사회보장비 지출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 키는 데 기여하기 때문이다(Lee, 2004: 93-94)30). 복지적인 측면에서 자가소유가 가진 가장 중요한 성격은 부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이다. 주택의 자산화를 통해 가구들은 소득을 증대시키며 경제정체기에 소득에 대한 긴장을 완화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노후에 자신들의 케어(care) 비용을 조달할 수 있는 수단으로 기능한다(Lee, 2004: 92-93). p.144

국가가 책임지지 않아도 된다는 차원에서 자가소유를 장려한 것일까, 주택자산이 아니라 금융자산을 이를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어야 하지 않을까. 요즘 흐름을 살펴보면 금융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늘어나는 것이 보이기도 하지만 여전히 1주택에 대한 수요와 불안감은 지속되는 것 같다. 나도 그렇다. 그러면서도 내가 단순히 거주의 목적이라면 1억짜리 오피스텔에 살아도 직주근접만 되면 괜찮지 않나라는 생각이 동시에 들면서 1억이라는 돈이 감가상각된다고 생각하니 쉽게 결정할 문제도 아니다. 물론 4-5억짜리 아파트를 산다고 해서 그 가격이 계속 상승할 할것을 기대하는 것도 욕심이지만.

자산불평등에 대한 대부분 실증 분석은 주택 소유자 내부의 불평등도 하락이 주택 소유 여부에 따른 집단 간 불평등도 상승을 상쇄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즉, 주택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자가보유율은 여전히 전체 순자산불평등을 하락시키는 역할을 한 것이다 p.151

자가보유율 자체는 자산불평등도를 낮추고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자산 격차를 완화하는 효과를 발생시키지만, 높아진 주택가격으로 인해 특정 계층(저소득층, 청년계층)의 주택구매력이 저하하여 자가보유율을 낮추게 된다면 이러한 과정은 주택으로 인한 자산불평등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p.152

주택의 금융화의 발전은 모기지대출 등 금융을 통해 주택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반면, 과도한 금융화는 집값을 높이고 가계부채를 늘리며 경제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결국 버블이 터지고 위기가 발생한 이후에는 저소득층에게 심각한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데 유의해야 한다 p.153

부동산가격의 상승에 따라 공공임대주택 등 부담가능주택의 공급비용이 증가할수 있다. 공공임대주택 공급에 필요한 부지의 확보 또는 주택의 매입 시 공공재원이 투여되어야 하는데, 부동산가격의 상승은 공공재원의 과도한 투입을 야기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주거지원이 필요한 계층에게 충분한 지원이 제공되기 어려울 것이다.

 

// 주택가격이 급등하면 전반적으로 임대료가 동반 상승하며, 높은 주택가격으로 인해 주택구입을 보류하고 임차형태로 남는 가구들이 늘어나면서 임대료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저소득가구에게는 소비가 줄어들고 부채가 늘어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경제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 특정 지역에서 주택가격이 급등하면, 지역간 가격상승의 차이가 원활한 주거 이동을 제약할 수 있다(mobility trap). 주거이동의 제약은 지역사회에 필요한 인재 등의 지역 내 유입을 제약하여 사회혁신의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으며, 주거와 일자리의 지리 적 분리는 통근시간의 장기화를 낳게 된다. p.159

이번 보고서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 위의 기록들에 포함될 듯.

양도소득세의 경우 1주택자에 부여되는 과도한 비과세 혜택을 축소하거나 요건을 강화하여 다른 원천에 대한 소득과세와의 조세 형평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1주택자에 대한 지나치게 높은 세제 혜택은 주택의 투자수익률과 투자자산으로서의 매력도를 높여 주택의 금융화 현상을 강화하는 중요한 정책적 배경을 이룬다. 보유세의 경우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를 통합하여 조세의 투명성과 직관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 반면 취득세의 경우 세율을 인하하여 주거 선택의 폭을 넓히고 주거이동성을 제고하여야 한다. 주거이동의 장벽을 낮추는 것은 노동시장의 효율화에 매우 중요한 과제이기도 하다.

요즘의 정치권에서는 정확하게 위의 연구내용과 반대로 추진하고 있는 모양새...ㅎ

전세보증금을 주택 구입의 레버리지로 사용하는 우리나라의 ‘갭 투자’ 행태는 주택가격 상승기에 금융당국의 유동성 규제를 무력화시키며, 가격 하락기에 가계부문의 신용 리스크에 노출시킨다. 이처럼 금융당국에 의해 통제되지 않는 주택의 금융화를 완화하고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DSR 규제에서 전세보증금을 가계 총부채로 포함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청년층에 집중된 지원은 다른 연령대의 실수요자가 상대적으로 배제될 수 있고 청년의 특징상 증여를 통한 자산형성을 기초로 자가구입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이는 제4장에서 실증적으로 보인 바와 같이 주택자산 획득을 통해 세대 간 경제적 지위의 공고화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생애최초주택구입자와 같은 보편적인 범위를 설정하여 실수요자를 선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애최초구입자 등 실수요자의 자가보유 접근성을 높이는 정책으로는 LTV 완화 또는 모기지보험/보증 도입이 대표적이다. p. 162

우리나라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우리 사회는 참 구분짓는 것을 좋아하고 그룹화하는 것을 선호하여 일반화하여 본질을 무시하는 경향성이 있는 것 같다. 주택마련은 청년층에게 많이 선호될 수는 있어도 청년층만이 필요한 것이 아닌 기본적인 거주권으로서 바라봐야 하는데, 주택공급 정책의 대부분이 청년과 신혼부부 등의 한정적인 영역으로 국한하는 듯한 모습이 자주 보인다. 결국은 주택을 통한 안정적인 거주환경 마련에 대한 수요자들이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구체화하고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임대주택의 경우 주택의 사회적 성격을 감안하여 민간임대라 하더라도 계약의 공공성을 높이기 위한 인센티브 정책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임대료 상한, 임대차계약기간, 임차가구 대상 범위 등의 측면에서 공공성이 높은 임대차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주택 보유세나 거래세 등에서의 세제지원과 리모델링 및 장기수선 지원 등 혜택을 부여하는방식이다. p.163

영국 이코노미스트지(誌)가 2020년 1월 “주택 소유는 서구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정책 실패”라는 제목의 특집 기사에서 전통적인 자가 소유 지원정책이 “성장 동력을 끌어내리고, 공정함을 해치며, 자본주의에 대한 신뢰를 갉아먹는 집착”이라고 강도높게 비판한 게 대표적이다. 이코노미스트지는 저렴한 주택 공급 감소, 주거비 급등, 세대 간 주거 격차 확대 등을 대표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미국 뉴욕, 샌프란시스코 등 번영하는 대도시의 주거 비용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신규 주택을 지을 땅은 제대로 확보가 안되는 데 나이 든 주택 소유자들은 절반 정도의 공간은 텅 비어있는 집에서 본인들의 권리를 지키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p.167

지금까지 읽은 연구보고서 중에서 가장 많은 내용을 기록한 보고서인듯....그만큼 최근들어 관심이 많이 갔던 주제들이었고, 무엇보다 연구의 각 장별로 정리가 엄청 잘되어 있었다. 학술적인 내용도 있었지만 모든 세부사항을 다 이해하려고 하지 않더라도 전체적으로 내 삶에서 가장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택을 자산이라는 관점과 불평등의 차원에서 생각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추천하고 싶다.

반응형
반응형

"대학원에서 경영학 관련 수업을 들으면서, 기업분석과 기업가정신, 비즈니스 생태계에 대한 리서치를 했었다. 경제를 공부하게 되면서 결국 한 사회와 국가가 긍정적인 경제적 효과를 끼치기 위한 일자리가 필수적이고, 재화와 서비스의 제공 그리고 소비의 순환적인 그림을 고려해보게 됐다. 벤처와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은 비즈니스 생태계의 가장 극 초반에 있는 핵심적인 부분이면서도 깊게 알아볼 기회가 없었던 터라, 이번 연국보고서를 읽으면서 새로운 내용을 많이 접할 수 있었고, 조금 낯설고 어렵긴하지만 앞으로 개인적 차원에서 기업과 비즈니스가 어떻게 확장되어가는지 그리고 국가적 차원에서 이를 정책적으로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 수 있었던 기회였다."

Love(2016)은 벤처・스타트업의 성장주기를 나타내는 'J 커브' 모델을 제시했는데, 해당 모델은 스타트업이 경험하는 성장과 발전의 여정을 형상화하고 개념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첫 번째, 생성 단계(Creation Phase)에서는 아이디어가 형성되고, 초기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되며, 팀이 구성된다. 해당 시기에서는 불확실성이 크며, 기본적인 시장 조사와 제품 개발이 이뤄지게 된다.

두 번째 단계인 출시 단계(Release Phase)에서 스타트업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시장에 출시하게 되며, 해당 단계에서는 초기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받고 제품을 시장에 맞게 조정하게 된다.

세 번째 단계인 변화와 전환단계(Morph Phase)에서 스타트업은 초기 기대와는 달리, 여러 가지 문제와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이는 제품 개발의 지연, 시장 수용도의 저하, 자금 부족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J 커브는 최저점으로 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발견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스타트업들은 비즈니스 모델, 제품, 시장 전략 등에 있어서 조정과정을 거치게 된다.

네 번째 단계인 모델 확립 단계(Model Phase)에서는 조정과정을 거쳐, 스타트업이 시장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찾고, 이를 기반으로 성장 전략을 수립하게 된다. 이 시기에서는 수익 창출 방식과 시장 접근 전략이 명확해지게 된다.

그리고 다섯 번째 규모확장 단계(Scale Phase)에서는 스타트업이 안정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하며,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한다. 여기에서 규모 확장은 고객 기반 확대, 매출 및 수익 증가, 그리고 지속 가능한 성장 등을 포함한다.

나아가, 여섯 번째 단계에서 스타트업은 안정화된 수익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수익 창출을 확대하게 되며, 이를 바탕으로 기업공개(IPO)나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엑싯(Exit)하게 되는 등 모습을 보이게 된다.

이처럼, Love(2016)은 스타트업은 창업 시작(create), 시제품 출시(release), 변화와 전환(morph), 비즈니스 모델 최적화(model), 스케일업(scale), 수익창출(harvest) 등으로 이뤄진 주요 단계를 지니며 성장을 하게 됨을 설명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벤처 및 스타트업은 다양한 문제(자금 부족이나 인력 부족, 그리고 기술적 문제 등)에 직면하게 되며, 주요 단계별로 마주하는 도전과제 대응을 위해 다양한 대안들을 모색하게 된다. P.6

기술혁신과 창업 활동이 경제성장의 주요 동력인 국가에서 기술료 제도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된다. 기술료 제도란 기술이전과 라이선싱을 통해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개인이나 기관이 기술 사용자로부터 경제적 보상을 받는 체계를 말한다 P.39

가장 핵심적인 유인동기이면서, 이를 실행하기 위한 정책이나 제도 설계에 있어서 어떤식으로 그 보상의 범위를 조정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될 것

CVC(Corporate Venture Capital, 기업벤처캐피탈)는 실패 위험이 크지만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닌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모험자본이란 의미의 벤처캐피탈(Venture Capital, VC) 앞에 ‘기업(Corporate)’이란 단어를 붙임으로써 전략적 목적 달성을 위해 비상장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기업의 모험자본을 의미한다.

일반지주회사 체제 밖 비금융업 일반기업은 창투사나 신기사 등 조합 결성이 가능한 투자회사를 설립할 수 있으며 보유 현금에서 스타트업에 직접 본계정 투자하거나 민간 VC에 유한책임조합원(Limited Partner, LP)으로 출자가 가능한 상황이다. 실제 삼성전자는 1999년 여러 계열사가 출자하여 신기사 형태로 삼성벤처투자를 설립했고 포스코 역시 1997년 포스코기술투자를 설립하여 20년 넘게 국내・외 스타트업에 활발한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일부 기업은 벤처투자를 위한 사내 전담부서를 조직화하기도 한다. GS리테일, 네이버, 현대차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P.59

대기업의 스타트업 투자에 대해서 세금공제에 대한 이점을 주는 것은 낙수효과를 구체화하여 실현시키는 것에 좀 더 가까울 듯, 막연한 기대가 아니 결과를 만든 것에 대한 장려차원

최근 수년간 공정거래위원회의 정책추진 과제 가운데 핵심으로 부각되어 온 항목이 벤처활성화였다. 경쟁 정책이나 소비자 정책, 혹은 재벌규제를 중심으로 다루어 온 그간의 공정거래위원회 기조에 비추어 보면 다소 이례적이거나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이 과제는 침체국면에 빠진 한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도모하기 위한 창구로서 벤처기업 및 스타트업에 주목하는 한편, 상당한 사내유보금을 확보하고 있으면서도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는 대기업들로 하여금 벤처시장에 눈을 돌리도록 하려는 취지에서 추진되고 있다 P.60

 

벤처회사의 생애는 자금지원을 받아 신기술을 개발하는 인큐베이터 단계인 ‘창업기’와 자금지원을 바탕으로 기술의 사업화가 이루어지는 엑셀러레이터 단계, 즉 ‘성장기’, 그리고 시장 영향력을 확대하여 기업공개(IPO) 또는 M&A되는 단계를 의미하는 ‘회수기’의 세 단계로 구분되는데, 주지하다시피 한국의 경우는 이 선순환의 고리 중 회수 단계가 유독 취약한 면모를 보여 왔다.

실제로 투자 회수액의 비중을 놓고 보면 장외매각이나 기업공개(IPO)에 비해 M&A는 3% 안팍의 미미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벤처기업의 인수를 주도해야 할 국내 대기업들은 기업구조조정, 사업재편 차원에서 M&A를 활용해 온 반면 벤처투자・M&A에는 대체로 소극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

짐작되다시피 이런 촘촘한 규제가 수립된 데에는 CVC와 관련하여 제기되어 온 문제점들, 이를테면 지주회사 체제의 대기업집단들이 CVC를 통해 벤처기업들을 대거 M&A하여 소속 계열회사 수를 늘리려 할 것이라거나, 총수일가가 CVC에 형성된 타인자본을 통해 산업자본을 지배하고, 사익편취, 편법세습 등의 수단으로 CVC가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들이 자리잡고 있다 P.60

국내 벤처캐피탈 생태계는 주로 한국벤처투자, 한국성장금융, 산업은행 등과 같은 앵커 출자자(LP)의 출자사업을 통해서 조합 결성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앵커 LP들은 보통 조합의 목표 결성총액의 40~60%를 약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만약 일반지주회사 CVC가 앵커 LP들의 출자사업을 통해 펀드를 결성하기 위해서는 외부 출자비율 제한이라는 규제를 맞추기 위하여 더 많은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 (P.84)

GP(General Partner)는 무한책임사원으로 벤처펀드를 운용하는 벤처캐피탈을 의미한다 3) 앵커출자자(Anchor LP)란 펀드 결성을 주도하는 출자자로서, 이들이 출자사업 공고를 내고 운용사를 선정하면 다른 출자자들이 매 칭출자하는 방식으로 펀드가 결성된다.(국내 벤처펀드의 성과결정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중견・중소기업의 벤처투자 확대를 위해 ‘투자형 오픈이노베이션’ 지원이 필요하다. 전략적 목적의 벤처투자 활성화는 기업의 오픈이노베이션 활동에서 출발한다. 정교한 오픈이노베이션 활동을 통해 전략적 시너지가 창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금력이 부족한 중견・중소기업의 벤처투자와 오픈이노베이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이 둘을 결합한 지원 정책이 시급하다. P.92

많은 중견・중소기업이 유기적 성장에 한계를 느끼고 M&A 등을 통한 비유기적 성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대기업과 달리 중견・중소기업의 사내부서 CVC 투자는 대외여건에 상당히 민감한 모습인데 자금 여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중견・중소기업이 M&A를 추진할 때는 레버리지를 일으킬 수 있는 금융 측면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 스타트업 M&A를 전문으로 하는 IB*는 전혀 없는 실정으로 이를 육성할 필요가 있다. P.93

*투자은행(Investemebt Bank)은 고객 기업의 유가증권 발행에 의한 자본 시장에서 자금을 지원하고 인수합병 등 재무 전략에 대한 조언을 해주는 금융기관이다. 상업 은행이나 소매 은행과는 달리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예금 업무는 하지 않는다 (위키백과)

‘세컨더리 펀드’(Secondary Fund)란, 벤처캐피탈 등이 보유한 벤처・스타트업의 주식이나 지분을 재매입하는 벤처캐피탈이나 사모펀드를 말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통상, 벤처캐피탈이나 엔젤투자자 등이 직접 기업에 투자 또는 출자하는 펀드를 ‘프라이머리 펀드’(Primary Fund)라 하는 것과 달리, 세컨더리 펀드는 투자자가 기존 펀드에 편입된 종목을 보고 펀드 지분(또는 구주)를 다시 사들인다고 해, ‘프라이머리 펀드를 거래하는 펀드’라고도 한다 P.97

‘세컨더리 마켓’(Secondary Market)이란, 보통 벤처투자업계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벤처투자자들이 IPO(기업공개), M&A(인수합병) 이전에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지분을 거래하는 시장으로서, 벤처・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자금 회수(수익실현)가 이루어지는 중간 회수시장을 말한다(조진철 외 4, 「중소・중견기업의 해외건설 활성화를 위한 해외전용펀드 도입방안 연구」, 기본 20-28, 국토연구원, 2020, 62면).

세컨더리 시장의 활성화는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관리 관점뿐만 아니라 벤처기업의 원활한 자금 조달 관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초기 단계 벤처투자자들이 자신의 지분을 매각할 수 있는 경로가 명확해질수록 벤처기업들은 더 많은 투자를 유치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P.98

미국의 경우 세컨더리 시장이 세계에서 가장 크고 발전된 상태라고 평가할 수 있는데, 특히, IT 기술 및 바이오테크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중심이 되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주요한 특징은 미국의 세컨더리 시장은 기관 투자자, 개인투자자, 벤처캐피탈, 헤지 펀드 등의 다양한 투자자 유형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IPO 전에 스타트업의 지분을 획득하려는 투자자들의 수요가 높다. P.105

기업관련 세제지원 혜택들이 위와 같은 투자유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었으면 좋을듯, 특히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을 적극지원하고 이를 투자하는 기관 및 개인들에게 유인책을 제공하는 것. 서비스 제공의 주체(노동과 자본 등) 한국에 두되 주요 소비층을 내수에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미국과 같은 글로벌 기업으로의 전환을 지원할 수 있지 않을까.

세컨더리 마켓의 활성화는 벤처투자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분 유동화 펀드는 이러한 세컨더리 마켓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는데 우선 지분 유동화 펀드는 비상장 기업의 지분을 매입하고 판매함으로써 세컨더리 마켓에 유동성을 제공한다. 이는 투자자들이 자본을 더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하여 시장의 활성화를 촉진한다. 또한 지분 유동화 펀드의 적극적인 활동은 세컨더리 마켓 자체의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펀드가 관리하는 지분 거래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신뢰함으로써, 시장에 더 활발히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마지막으로 지분 유동화 펀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비상장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 투자하기 때문에 세컨더리 마켓에서 장기적인 투자 관점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투자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P.118

 

투자 혹한기에는 전반적으로 기업의 산정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M&A 금액은 적을수 있으나, 빈도는 높아질 수 있다. 특히, 평소 상황이라면 충분히 경쟁력 있는 회사지만 혹한기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사업을 접어야 하는 스타트업은 폐업하는 것보다는 낮은 가격에라도 다른 기업에 M&A 되는 편이 개별 회사의 측면에서도, 생태계의 측면에서도 더 나은 선택이다.

생태계 측면에서 지금까지 갈고닦은 인력과 기술, 비즈니스 노하우가 사장되는 것을 막고, 다른 기업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은 국가경제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M&A는 투자 혹한기 스타트업 생태계의 숨통을 틔우는 방안이다. P.125

2010년대 후반부터는 스타트업이 스타트업이나 다른 기업을 M&A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야놀자는 M&A를 통해 급성장하는 대표적인 스타트업이다. 2016년 호텔예약 서비스인 호텔나우를, 2018년 레저활동 플랫폼 레저큐를, 2019년 펜션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우리펜션과 호텔예약서비스 데일리 호텔, 숙박비품 유통기업 한국 물자조달, 객실 관리 자동화 시스템 기업 가람과 씨리얼을 인수했다. 2021년에는 티켓 예약플랫폼인 인터파크까지 2900억 원에 품었고, 2022년에는 B2B 여행솔루션 기업으로 전 세계 1만 개 이상의 여행사들과 거래하고 있는 글로벌 트래블(GGT)을 최소 3천억원 이상 수준으로 인수했다. 현재 야놀자는 나스닥 상장을 추진 중이다. P.133

익숙히 알고 있던 야놀자라는 기업이 나스닥 상장을 추진 중이라는 사실을 처음 접했는데, 한국의 스타트업들도 충분히 자체적인 성장과 규모를 키워나갈 수 있구나 깨닫는. 인수합병(M&A)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느낌이 먼저 떠오르는게 사실이었는데, 비즈니스 생태계차원에서 이것이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걸 느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의 유니콘 기업은 대부분 외국의 벤처캐피탈의 대형투자를 통해 발생하였다. 우리나라의 유니콘 기업에 대해 해외 벤처캐피탈이 과감한 대형투자를 단행할 수 있었던 것은 알리바바, 페이스북 등 초대형 유니콘 기업에 대한 투자 및 성공적 회수 경험이 이미 있었기 때문이다. 토종 자본을 바탕으로 한 유니콘 기업 탄생을 위해선 한국 벤처캐피탈이 위험이 큰 대형투자를 실행하고 성공적으로 회수하는 경험을 축적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펀드 구조의 유연한 설계는 이러한 대형투자를 용이하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이므로, 제도 개선을 통해 벤처캐피탈의 자유로운 펀드 구조 설계를 허용할 필요성이 있다. 펀드 구조의 결정에 관해 벤처캐피탈에 완전한 자율성을 부여하여 보다 큰 효용의 기회를 쫓도록 유인하고 대형투자를 감당할 수 있는 벤처캐피탈로의 역량 강화를 도모해야 한다. P.146

M&A가 얼마나 되고 있는지, 그 정도가 활발한지를 알기 위해서는 현황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현재는 정부부처나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스타트업 M&A의 범위나 산정 기준, IPO와의 비율 등을 공개하는 통계는 없는 상태이다P.147

최근 들어 통계와 데이터를 쌓아두는게, 그리고 그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업무를 통해서 또 연구를 통해서 깨닫게 되는 중.

반응형
반응형
 

 

 

"중국 투자 말라" 양회 증시부양 기대감에 골드만삭스 '경고장' | 중앙일보

샤르민 모사바르-라흐마니 골드만삭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대다수 고객이 우리에게 중국 주식시장이 충분히 하락한 건지, 혹시 과도하게 주가가 내린 건 아닌

www.joongang.co.kr

 

모사바르-라흐마니 CIO는 "세 가지 성장 동력인 부동산·사회기반시설(인프라스트럭처)·수출이 전반적으로 약화하면서 중국 경제가 향후 10년간 둔화할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불투명한 정책 결정과 불규칙한 경제 데이터가 우려를 가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책적 불확실성은 일반적으로 주가 상승을 억제한다"면서 "데이터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지난해 중국 경제가 정확히 얼마나 성장했는지, 올해는 얼마나 성장할지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또 "지난해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5.2%라고 발표했지만, 대부분 사람은 실제 성장률은 훨씬 더 낮았을 것으로 본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가 그간 외국인 투자심리 제고에 공들여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뼈아픈 지적이다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가 올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재정 정책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지만, 많은 지방 정부가 이미 부동산 위기로 과도한 부채 부담을 지고 있다면서 "중앙 정부가 더 많은 돈을 빌려야 한다는 의미"라고 전했다.

중국 상하이·선전 증시의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는 내수 경제에 관한 우려 등으로 지난달 기준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 뒤 규제 당국이 주식 매도를 억제하고 기관 매수를 촉진하는 조처를 한 후 소폭 반등했다.

 

 

반등 절실한 中 증시 “연준이 최고의 친구 될 수도”

수년래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가 반등에 성공한 중국 증시가 랠리를 계속할 수 있을까. 정부 차원에서 증시 부양에 나선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해외 투자자들의 신

m.edaily.co.kr

 

중국 증시는 경기 침체와 맞물려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SCMP는 “지난 3년 동안 중국 증시에서 총 10조달러(약 1경3000조원) 가까운 자금이 사라졌는데 최근 반등은 이러한 손실을 만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초 증시가 급락하자 증권감독관리위원회 수장을 교체하고 국유기업의 주식 매입 등 조치에 나섰다. 글로벌 투자은행 UBS는 중국 국부펀드가 투자자 보호를 위해 상장지수펀드(ETF)에 570억달러(약 76조7000억원) 이상 지출한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은 경기 진작을 위해 시중 유동성 공급이 필요하지만 위안화 약세를 우려해 적극적인 금리 인하 등의 조치를 펼치지 못하고 있다. 연준이 금리를 내리게 되면 인민은행이 위안화에 추가 압력을 가하지 않고 통화정책을 완화할 수 있어 중국 자산에 대한 잠재적인 부담을 없앨 수 있다는 예상이다.

 

 

이란, 상하이협력기구(SCO) 가입...9번째 회원국 되다

4일(현지시간) 상하이협력기구(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SCO) 회원국 정상 이사회 제23차 회의에서 이란이 정식 회원국으로 승인됐다고 중국 신화통신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상하이협력기구(SCO)

www.eroun.net

 

상하이협력기구(SCO)는 2001년 중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국제 기구로, "테러리즘, 분리주의, 극단주의를 "3대 악(惡)"으로 규정"하고, 중앙아시아와 일부 유라시아 국가들 사이의 협력을 강화하고 안보, 경제, 문화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SCO가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를 견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현재 SCO에는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인도, 파키스탄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과 몽골, 벨라루스, 이란 4개국은 옵서버로, 투르크메니스탄, 독립 국가 연합과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은 초청 국가 및 기구이다.

또한 스리랑카, 튀르키예,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캄보디아, 네팔, 이집트,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쿠웨이트, 몰디브, 미얀마, 아랍에미리트는 대화 파트너로 지정되었다. 옵서버국인 이란이 이번 SCO 정상회의에서 새로운 회원국으로 승인됐다.

 

 

 

[단독]日, 네이버에 ‘라인’ 지분 팔라며 괴롭히자…결국 정부가 맞대응 나섰다

산업 > IT 뉴스: 일본 정부가 네이버에 메신저 앱 ‘라인’ 지분의 매각을 거듭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일본 총무성에 입장을 전달한 ...

www.sedaily.com

 

일본 정부가 네이버에 메신저 앱 ‘라인’ 지분의 매각을 거듭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일본 총무성에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일본 정부의 압박으로 소프트뱅크가 네이버의 라인야후 지분을 인수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나서자 진행 상황을 좀 더 면밀하게 파악하는 한편 우리 기업 경영권에 대한 일본 정부 차원의 간섭에 우려를 전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 총무성은 지난달 라인야후가 시스템 업무를 위탁한 네이버에 과도하게 의존해 사이버 보안 대책을 충분히 마련하지 않았다면서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 재검토’를 포함한 경영 체제 개선을 요구하는 행정지도에 나섰다.

라인야후의 최대주주는 A홀딩스로 지분 64.5%를 보유하고 있다. A홀딩스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설립한 합작법인으로 소프트뱅크와 네이버가 A홀딩스에 50%씩을 출자하고 있다. 개인정보 유출을 계기로 소프트뱅크가 네이버의 라인야후 지분을 추가 인수할 필요가 있다는 게 일본 정부의 판단이다.

 

 

네이버, 13년 키운 라인 경영권 일본에 뺏기나

일본 정부의 압박으로 소프트뱅크가 라인(LINE)의 지분 인수 협상에 나서면서 네이버가 13년 동안 성장시킨 ‘일본 국민 메신저’ 라인의 경영권이 일본에 넘어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www.hani.co.kr

 

소프트뱅크가 네이버로부터 주식을 인수해 독자적인 대주주가 되면, 네이버는 라인의 경영권을 잃게 된다. 네이버는 2011년 6월 일본에서 라인 서비스를 시작했고, 한 달에 1번 이상 이용하는 사람 수가 9600만명에 달하는 일본의 ‘국민 메신저’로 성장했다. 라인은 일본뿐만 아니라 타이·대만·인도네시아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자랑하는 등 전세계적으로 이용자가 2억 명에 달한다.

라인야후는 당시 네이버 클라우드와 함께 업무를 위탁하고 있는 회사 직원이 사이버 공격을 받았고, 이를 계기로 네이버와 일부 시스템을 공유하는 라인야후에도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후 추가 조사를 통해 정보 유출 피해 규모는 51만여 건으로 늘어났다.

사고 이후 총무성은 단순한 보안 강화 지시를 넘어 지분관계, 즉 ‘한국 플랫폼’이란 점에 문제제기를 하는 상황이다.

 

 

'2금융 구원투수' 캠코, 공사채 발행 급증…채권시장 충격 우려

'2금융 구원투수' 캠코, 공사채 발행 급증…채권시장 충격 우려, 저축은행·새마을금고로부터 부실채권 총 4000억 매입 추진 "민간 회사채 수요까지 빨아들여"

www.hankyung.com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캠코는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로부터 부실채권 2000억원씩, 4000억원어치를 매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고공행진하면서 불안감이 커지자 이를 누그러뜨리기 위해서다.

문제는 캠코 역시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이다. 소상공인·자영업자 채무조정 프로그램인 새출발기금을 운영하면서 대부분 재원을 소진했기 때문이다.

PF 위기 관련 공사채 발행이 증가하는 것은 캠코만이 아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도 올해 정관을 변경해 공사채 발행 근거를 마련했다. 기존에는 직접 채권 발행이 불가능했지만 이제 직접 공사채를 발행할 수 있게 됐다.

 

 

새마을금고 연체율 뛰자…캠코, 부실채권 2000억 매입

새마을금고 연체율 뛰자…캠코, 부실채권 2000억 매입, 저축은행도 2000억 사줘 PF발 부실 위기 진화 총력전

www.hankyung.com

 

캠코는 새마을금고 건전성 우려가 커진 작년 하반기에도 새마을금고의 부실채권 1조원어치를 인수했다. 이에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2022년 말 3.59%에서 작년 6월 말 5.41%로 치솟았다가 연말에는 5.07%로 내려갔다.

하지만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올해 1월 6%대로 오른 데 이어 2월에는 7%대까지 추가 상승했다. 3월에도 상승세가 꺾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한 조치가 없으면 올해 안에 연체율이 10%를 넘을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새마을금고는 부실채권을 줄이기 위해 자체적으로 PF 사업장 정리나 채권 매각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수요자 측과의 가격 차이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부실 사업장 정리를 위해 다음달 발표하는 ‘사업성 평가 기준 개편안’은 새마을금고에도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韓 GDP, 멕시코에도 밀렸다…11년 만에 14위로 하락

韓 GDP, 멕시코에도 밀렸다…11년 만에 14위로 하락, 한국은행, 국가별 GDP 통계 2020년 톱10서 3년 연속 내리막 "노동·연금·교육개혁 서둘러야"

www.hankyung.com

 

한국의 GDP 순위가 14위를 기록한 것은 2012년 이후 처음이다. 한국은 2018년과 2020년 각각 10위로 ‘톱10’에 들었지만 2021년부터 3년 연속 뒷걸음질 치고 있다.

한국의 경제 규모를 추월한 국가는 멕시코다. 멕시코의 지난해 명목GDP는 1조7889억달러로 전년(1조4633억달러)보다 20% 넘게 증가하며 13위로 올라섰다.

지난해 한국과 멕시코의 GDP 순위가 뒤바뀐 요인을 분석해보면 한국보다 멕시코 측 영향이 컸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미국과 중국 간 패권 전쟁이 격화하면서 중국을 비롯한 주요국이 멕시코에 공장을 세우는 ‘니어쇼어링’ 투자에 나섰다는 것이다. 멕시코의 지난해 외국인직접투자 규모는 361억달러로 2022년보다 2.2% 증가했다.

 
 

[단독] 한국, 멕시코에도 밀렸다…"인니에도 역전" IMF 경고

[단독] 한국, 멕시코에도 밀렸다…"인니에도 역전" IMF 경고, 강진규의 데이터너머 한국 GDP 세계 14위로 추락

www.hankyung.com

 

한국의 GDP 순위는 향후 더 내려갈 가능성이 높다는 게 국제기구의 분석이다. IMF는 최근 발표한 4월 경제전망에서 2029년 인도네시아가 한국의 GDP를 추월할 것으로 전망했다. 순위는 15위까지 한 계단 더 떨어질 것으로 봤다.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용처·인센티브 강화된다

지방 소멸 위기 대응에 투입되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의 사용처가 확대된다. 정부는 또 실적에 따른 기금의 차등 분배 폭도 확대해 지자체들의 소멸 대응 노력을 유도할 계획이다. 행정...

m.khan.co.kr

지방 소멸 위기 대응에 투입되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의 사용처가 확대된다. 정부는 또 실적에 따른 기금의 차등 분배 폭도 확대해 지자체들의 소멸 대응 노력을 유도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기금은 기반 시설을 조성하는 경우, 그리고 해당 기반 시설을 활용하는 경우에 한해 사용이 가능했다. 그러나 2025년부터는 기반 시설 조성 외에도 ‘지방소멸 방지와 지역활력 제고를 위한 소프트웨어적 사업 전반’에 대해서도 사용이 가능해진다. 즉 지방소멸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그램 사업 전반에 기금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행안부는 기금 취지와 맞지 않는 사업에 기금이 투입되지 않도록 투자계획서 제출 이전까지 전 지역을 대상으로 컨설팅을 실시해 사업의 기금 적합성 여부 등을 사전에 점검할 계획이다. 기금 평가 시에도 기금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사업에 대해서는 제외하는 등의 페널티를 줄 예정이다.

 

 

“지방소멸기금 집행률 100%”라더니...실제 쓴 돈 52% 불과했다 - 시사저널

“돈이 없어 못한다”는 변명은 지방소멸 위기 앞에서 꺼낼 수 없게 됐다. 2022년 전국 지자체에 배분된 지방소멸대응기금 7000여억원 중 집행된 금액이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방소멸

www.sisajournal.com

 

2022년 전국 107개 기초단체의 400개 사업에 배분된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총 7477억원이다. 이 가운데 2023년 12월31일 기준 집행 금액은 3935억원이다. 집행률 52.6%다. 지방소멸 대응이 절실한 인구감소지역은 집행률이 더 낮았다.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기초단체에 배분된 지방소멸대응기금은 5606억원이고, 이 중 2106억원이 집행돼 37.6%의 집행률을 보였다.

다만 집행률이 높다고 해서 사업이 원활히 진행된다고 평가하기에는 섣부르다는 견해가 뒤따랐다. 일례로 충북 보은군은 기금 60억원을 전액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온누림 플랫폼 건립사업’의 사업비로 책정된 240억원의 일부다. 해당 사업은 위탁 사업으로 시행됐다. 나라살림연구소는 “사업 수행기관에 기금을 이전함으로써 실제 사업 추진과 무관하게 높은 집행률을 보일 수 있다”며 “이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의 성과를 평가할 때 드러나는 한계점”이라고 지적했다.

나라살림연구소는 “지방소멸대응기금 재원을 투입한 사업의 실질적인 성과를 평가할 방법이 필요하며, 평가 내역에 관해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