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ASEAN)으로 약칭된다. 1961년 창설된 동남아시아연합(ASA)의 발전적 해체에 따라 1967년 8월 8일 설립되었다. 창설 당시 회원국은필리핀·말레이시아·싱가포르·인도네시아·타이등 5개국이었으나, 1984년의브루나이, 1995년베트남, 1997년라오스·미얀마, 1999년캄보디아가 차례로 가입하여 10개국으로 늘어났고, 이에 ‘아세안 10(ASEAN 10)’이라고도 불린다.
[네이버 지식백과]동남아시아국가연합[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東南─國家聯合] (두산백과)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11월 9일(현지시간) 열린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공식 천명한 정책이다. 사람(People)·평화(Peace)·상생번영(Prosperity) 공동체 등 이른바 ‘3P’를 핵심으로 하는 개념으로, 아세안 국가들과의 협력 수준을 높여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 4강국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것이 핵심이다.
A recap of stories this Wednesday: Statement by UN advisory group on Haiti’s crisis; Palestine refugee agency head steps down; Libya remains ensnared by violence; Cholera campaign to guard Sudan’s Khartoum; Pakistan’s Mahira Khan named UN Goodwill Ambassador.
수요일 이야기 요약: 아이티 위기에 관한 유엔 자문 그룹의 성명 / 팔레스타인 난민 대행 사장은 물러 난다 / 리비아는 여전히 폭력에 휩싸여 있다 / 수단의 하르툼을 지키기위한 콜레라 캠페인 / 파키스탄 마 히라 칸, 유엔 친선 대사로 임명
UN advisory group calls for end to violence as situation in Haiti worsens
유엔 자문 그룹, 아이티 상황 악화로 폭력 종식 요구
In light of Haiti’s worsening political and humanitarian crisis, the Economic and Social Council(ECOSOC)Adhoc Advisory Group on the Caribbean island nation is urging all parties to reject acts of violence, and urgently commit to peace.
아이티의 정치적, 인도 주의적 위기가 악화되고있는 상황에서 카리브 제도 국가의 경제 사회 이사회 (ECOSOC) 임시 자문 그룹은 모든 당사자들에게 폭력 행위를 거부하고 긴급히 평화를 다짐 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UNSpecial Representativeand Head of the UN Office in Haiti(BINUH), Helen Meagher La Lime, and her acting Deputy who is also Humanitarian and Resident Coordinator, Fernando Hiraldo, briefed the Group last week on the ongoing political deadlock plaguing the country, which has fueled insecurity, and exacerbated economic hardship across the country.
유엔 특별 대표이자 아이티 유엔 사무국 장 (BINUH), 헬렌 메거 라 라임 (Helen Meagher La Lime), 페르난도 히랄도 (Fernando Hiraldo) 인도주의 및 거주 코디네이터인 그녀의 행동 담당 부국장은 지난 주에 국가를 괴롭히는 지속적인 정치 교착 상태와 불안감을 불러 일으키고 전국의 경제적 어려움을 악화시키는 상황에 대해 브리핑했다.
The latest unrest stems from a power struggle between President Jovenel Moïse and a surging opposition movement, with demonstrators taking to the streets in recent weeks demanding his ouster, according to media reports.
언론 보도에 따르면, 최근의 불안은 조 베넬 모이 스 대통령과 그의 해임을 요구하는 최근 몇주간의 길거리 시위대의 요구와 함께 급격한 야당 운동 사이의 권력 투쟁에서 비롯되었다.
Theprotestsagainst corruption and lack of resources have turned violent, stoking financial turmoil and leading to soaring food prices, and crumbling health facilities.
부패와 자원 부족에 대한 항의는 폭력적으로 변했고, 금융 혼란을 겪어 식량 가격이 치솟았으며, 보건 시설이 무너져 내렸다.
The Group called for continued engagemen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expressed its grave concern for the “deteriorating humanitarian situation”, to which it will remain “actively seized…and will continue to monitor developments closely.”
그룹은 국제 사회의 지속적인 참여를 요구했고,“인도 주의적 상황 악화”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현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고 적극적으로 바라볼 것이라고 말했다.
Palestine refugee agency chief steps down amidst mismanagement probe
잘못된 관리 조사로 인해 팔레스타인 난민기구 소장이 사임하다
The Commissioner-General for the UN relief and works agency serving Palestine refugees,UNRWA, resigned Wednesday afternoon, hours after the UN announced preliminary findings of an investigation into misconduct allegations, and the Secretary-General's appointment of an interim replacement.
팔레스타인 난민을 지원하는 UNRWA의 유엔 구호 및 사무국 총재가 수요일 오후 사임했으며 유엔이 부정 행위 혐의에 대한 조사 결과를 몇 시간 후에 발표 한 뒤 사무 총장을 임시 교체한다고 밝혔다.
Former UNRWA chief, Pierre Krähenbühl was placed on leave earlier in the day, as UN chief António Guterres said that Christian Saunders was being named acting Officer-in-Charge of the agency, based on preliminary report findings from the UN’s internal oversight body.
유엔 안토니오 구테 레스 (Antonio Guterres) 유엔 총재는 UN 내부 감독 기관의 예비 보고서에 따라 크리스토퍼 손더스 (Christian Saunders)를 에이전시의 책임 담당관으로 지명하였고 전 UNRWA 소장 피에르 크렌 b (Pierre Krähenbühl) 전날 자리에서 물러났다고 말했다.
The findings excluded “fraud or misappropriation of funds" by the Commissioner-General however, there are “managerial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Spokesperson Stéphane Dujarric told correspondents in New York.
스테파네 듀하릭 대변인은 이 조사 결과가 위원장에 의한 “자금의 사기 또는 남용”을 배제했지만“해결해야 할 관리 문제”가 있다고 뉴욕의 기자에게 말했다.
“At this time, it is vital that Member States and other partners remain committed to UNRWA and the services it provides,'' he said.
또한“현재로서는 회원국과 다른 파트너들이 UNRWA와 그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Violence, atrocities and impunity’ reign throughout Libya, Council hears
리비아 전역에서 '폭력, 잔학 행위 와 처벌' 에 대한 협의회의 듣기
Libya remains entangled in a “cycle of violence, atrocities and impunity”,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CC) Prosecutor Fatou Bensouda told the UN Security Council on Wednesday, nearly a decade since the Court began its work in the country.
국제 폭력 재판소 (ICC) 검찰 인 파투 벤 소다 (Fatou Bensouda)는 수요일에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법원이 자국에서 일을 시작한지 거의 10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리비아가 “폭력과 잔학행위 그리고 처벌의 순환”에 얽매여 있다고 밝혔다.
“There has been an escalation of violence”, she stated, citing reports indicating a “high number of civilian deaths, thousands of persons internally displaced, and a sharp increase in abductions, disappearances and arbitrary arrests across Libya”.
그녀는 “폭력의 증가가 있었다” 면서 “리비아 전역에서 수많은 민간인 사망, 수천 명의 내부 실향민, 그리고 납치, 실종 및 자의적 체포가 급격히 증가했다”는 보고서를 인용하면서 말했다.
The Prosecutor underscored that without the “unequivocal support” of the Council and international community to end the Libyan conflict, the country risks being “embroiled in persistent and protracted conflict and continued fratricide”.
검찰은 리비아 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이사회와 국제 사회의 “확실한 지지”가 없다면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갈등에 시달려 존속살해가 계속 될” 위험이 있다고 강조했다.
She informed the room of “grave international crimes”, unlawful violence, and crimes against migrants, and flagged that the country will continue to be a priority of her Office in the coming year.
그녀는 “중대한 국제 범죄”, 불법 폭력 및 이민자에 대한 범죄의 room에 정보를 제공했으며, 내년에도 계속 리비아의 문제가 그녀의 사무실에 우선 순위가 될 것이라고 일깨웠다.
*이 문장에서 room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아시는 분은 댓글 부탁해요!*
Sudan cholera campaign moves to protect Khartoum state
하르툼 주를 보호하기위한 수단 콜레라 운동
In Sudan, a campaign is under way to prevent the spread of a deadly cholera outbreak to Khartoum state, UN medics said on Wednesday.
수단 의료진은 칼 콜럼 (Chartoum) 주에 치명적인 콜레라가 확산되는 것을 막기위한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다고 유엔 의료진이 수요일 밝혔다.
Latest figures from Sudan’s health ministry indicate that there have been 332 suspected cases ofcholeraand eight deaths, mainly in Blue Nile and Sennar States, since the waterborne disease was declared on 2 September.
수단 보건부의 최근 수치에 따르면 수인성 질병이 9 월 2 일에 선포 된 이후 주로 블루 나일과 세 나르 주에서 콜레라 332 건과 사망 8 건이 발생했다고한다.
Two cases of cholera were confirmed in Khartoum State in mid-October. “The risk of cholera spreading is very real,” said Dr Naeema Al Gasseer, World Health Organization(WHO)Representative in Sudan.
She added that the disease could have serious consequences if it is not properly managed in Khartoum state. Our storyis here.
10 월 중순 하르툼 주에서 2 건의 콜레라가 확인되었다. 수단 세계 보건기구 (WHO)의 Naeema Al Gasseer 박사는 “콜레라 확산 위험은 매우 현실적이다"이라며 그녀는 이 질병이 하르툼 주에서 제대로 관리되지 않으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Pakistani actress Mahira Khan named UNHCR Goodwill Ambassador
파키스탄 여배우 마 히라 칸, 유엔 난민기구 친선 대사로 임명
The UN Refugee Agency,UNHCR, on Wednesdayappointeda new National Goodwill Ambassador, actress Mahira Khan, famed in South Asia for her roles in Bollywood and her roles in television and cinema in her native Pakistan.
유엔 난민기구 (UNHCR)는 지난 수요일 서아시아에서 발리우드와 텔레비전 그리고 영화계에서 파키스탄 출신의 역할로 유명한 마이라 칸(Mahira Khan)을 새로운 국가 친선 대사 를 임명했다.
Ms. Khan, who boasts some 5.1 million Instagram followers, will serve as a public face for the Agency, helping ensure its humanitarian efforts are amplified worldwide.
약 160 만 명의 인스타그램 추종자들을 자랑하는 칸 (Khan)은 이 기구의 대표 얼굴의 역할을 하여 인도 주의적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확대 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Speaking at the appointment ceremony in Pakistan’s Islamabad, Ms. Khan said she felt privileged to have been chosen to serve this noble cause”, and paid tribute to the country for hosting more than a million Afghan refugees.
칸은 파키스탄의 이슬라마바드 (Islamabad)에서 열린 임명식에서, 대의명분에 봉사 할 수 있도록 선정된 특권이 있다고 느꼈으며, 백만 명이 넘는 아프가니스탄 난민을 주최 한 것에 대한 찬사를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