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시절의 백일장을 시작으로 중학생과 고등학생 시절을 거쳐 그리고 대학생까지, 나름 나의 강점이 글쓰기라고 생각하며 글쓰기 관련 대회에서 상도 타고 문송한 학과 출신의 유일한 강점은 글을 그래도 나름 잘쓰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물론 압도적인 기량으로 1등의 상을 받은적 없었지만 그래도 나쁘지 않다고 스스로 약간의 자만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내가 글을 쓸 때의 문제점이 과도한 미사여구가 많다는 점, 생략해도 되는 문장들을 굳이 있어보이게 꾸미는 등이라는 점도 인지했다.
블로그에 글을 쓰는 것도 매한가지, 다시 읽어보면 왜 이렇게 주절주절 써댔지 싶은 셀프 피드백. 사실 제대로 된 글을 쓰려면 처음에 생각나는대로 막 적다가 그 다음부터 탈고를 거치면서 본격적인 글쓰기가 시작되는 것. 자소서를 쓸 때는 아마도 그렇게 했겠지 싶다. 직장에 들어와서는 또 다른 글쓰기 형태가 나에게 요구됐고, 어쩌면 가장 어려운 점인 핵심만 요약해서 간결하게를 요구받았다.
나는 혹시나 병이 있는 사람이라서, 이 내용이 빠지면 받는사람이 오해하지 않을까 등의 상상으로 사례와 예시도 넣고 정보도 구체적으로 추가하는 편. 일반적인 업무 등에서는 이게 오히려 칭찬받는 경우도 있었다. 그런데 기획안을 작성하고 계획안 등의 더 상위직급의 누군가에게 문서를 쓸 때는 늘 지적을 받았다. 중복내용을 최대한 삭제하고 불필요한 정보는 삭제하고...이걸 구분하는게 연습이 더 필요한 듯.
그래도 도움 주시는 상사분의 검토를 받아 조금씩 신경쓰며 나아지려고 노력 중. 이번에 읽은 일잘러의 보고서 작성법은 회사에서 누가 받아온 책이 굴러다니다, 기획안 문서에 빨간색을 점철된 피드백을 받으면서 눈에 확 들어오게 됐다. 큰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생각보다 꽤 도움을 받았다. 어떤 구체적인 스킬을 배웠다기 보다는 전첵으로 글쓰기라는 것을 업무에서 어떻게 접근해야하는가에 대한 인사이트였다.
앞으로 책에서 아주 여러 번 강조하게 될 가장 중요한 전제이자 결론 은 문서는 글이 아니라 말이라는 사실입니다. 만약 그동안 회사의 문서 라면 잘 정돈된 글을 써야 하고 정해진 양식과 법칙을 따르지 않으면 틀 린 문서가 된다고 생각했다면, 그 생각을 모두 지워 버려야 해요. 문서 가 글이라고 생각하는 순간, 왜 그 어린 시절 논술 학원을 다니지 않았 을까, 책이라도 조금 더 읽을걸 하고 후회하며 보고서의 시작, 구성, 순 서를 정하는 방법이 굉장히 어려운 전문 기술처럼 느껴집니다. P.41
문서는 글이 아니라 말이라는 사실. 이 문장이 이 책을 관통하는 한 문장인것 같다. 사실 문서를 쓸 때 어떤 형태여야 하는지 탬플릿은 있는지 등에 매몰되는 경향이 있었고, 특히 공문서를 쓰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한 점이 신경쓰였다. 상사 분의 피드백과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점은 형식으 갖추는 것은 필요하지만 이 문서 자체도 결국 종이 혹은 파일을 통해 누군가에게 건네는 말이라는 사실이었다.
내 문서가 잘 안 보이는 이유는 디자인 탓이 아닙니다. 내가 이 장에서 전하려 고 하는 핵심 메시지 한마디만 전해도 충분하다는 것을 간과하기 때문이죠. 구 성 요소의 데이터와 자료를 준비해 그대로 화면에 담기만 한다고 문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문서를 담기 전에 반드시 핵심 메시지를 생각하고, 상대방이 궁 금해 할 설명/근거와 시각 자료를 고민해서 담아야 하죠. P.99
말을 하거나 간단한 메일 글을 쓸때도 핵심메시지를 생각하면서도, 문서를 작성할 때는 핵심메시지 보다는 어떤 틀에 맞춰야 한다는 강박이 있었다. 그게 어쩌면 내 문서가 다소 지저분하게 보였던 이유였을 것. 핵심을 생각하고 그 아래로 가지치기를 하면 형태에 따라 어느 나뭇가지까지 그릴 것인가를 구분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
간혹 문서의 내용이 매우 길거나 메시지가 잘 생각나지 않을 때는 트리가 아닌 빈 문서에 카톡처럼 편한 어투로 1장당 하나의 메시지를 써 봅니다. 그리고는 '그 아래 설명/근거를 이걸 붙이면 되겠다. 시각 자료는 이걸 붙이면 되겠다. 하 고 시작할 때도 있습니다. P.128
문서가 아니라 말이라고 생각하고 내가 어떤 식으로 대면으로 문서를 담을 내용을 말로써 전달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야 된다고 생각하니 오히려 좀 더 문서작성이 쉽게 다가왔다.
디자인적 요소를 더 하는 것이 아니라 간격, 정렬, 통일감을 기준으로 '정돈'만 해 도 보는 사람의 시선이 혼란스럽지 않고 깔끔한 문서가 된다는 사실을 기억하면 좋겠습니다. 어떤 문서가 잘 만든 문서인지 아닌지 보는 눈이 생기는 것만으로도 매우 값진 문서 작성 스킬이기 때문입니다. P.168
피피티를 만들때면 늘 디자인 때문에 고민을 해본 적이 있을 거다. 오히려 현란한 피피티가 집중력을 흐뜨리는것 같으면서도 너무 성의가 없어보이면 어쩌나 싶은 생각이었는데, 이 책에 나온 예시들을 보면서 오히려 간단하게 정돈되고 정리된 글고 시각자료의 분배비율 구성이 피피티를 더 고급스럽고 집중하게 만드는구나 느꼈다.
엄청 편하고 간단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서, 직장생황에서 문서작성에 고민이 있는 모든 분들이 가볍게 읽어보고 전체적인 맥락을 유의해서 적용해보면 좋을 듯. 이 책에 나와 있는 모든 사항을 지시사항으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내가 문서로 말을 건낸다며 어떨지 대본을 써본다고 생각해보는 것이 우선되면 도움이 될 것 같다. #책추천 #책후기 #일잘러의보고서작성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