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윤 정부는 ‘담대한 구상’을 북한에 제안하였으나, 북한은 이를 10여 년 전 이명박 정부가 발표했던 ‘비핵・개방・3000’의 복사판이라며 거부함. 또한, 북한은 「핵무력정책법」을 제정하고, 이를 최상위 법인 헌법에 명시함으로써 국가의 기본법으로 공식화하였음

바이든 행정부는 대외정책에서 북한과의 양자 외교의 우선순위를 낮게 설정하였고, 트럼프 1.0과는 달리 북한과의 직접 협상 대신, 한미동맹 차원에서의 대북정책 공조 재확인과 확장억제의 보장에 더 무게를 두었음

중국은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건설적 역할을 강조하면서, 특히 6자회담 등 다자대화를 통한 해결을 선호해 왔음. 또한 북한의 상황과 국제환경 변화에 따라 ‘쌍궤병행((双轨并进・한반도 비핵화 및 정전체제 전환)’ 등 구체적인 해법을 제시하기도 했음.

○2024년 6월, 푸틴((V. Putin) 대통령은 평양을 방문하여 김정은 국무위원장(이하 ‘김정은’)과 정상회담을 가진 뒤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하였음 - 이 조약은 북한과 러시아 중 한 국가가 전시 상태에 처할 경우 다른 한 국가가 군사 지원을 제공하도록 명시하고 있음. 북한은 러시아에 대하여 무기와 병력을 지원한 것으로 확인되었음

2022년 2월 러우전쟁 발발 이후 한국이 대러 제재에 동참하자, 러시아는 한국을 EU 회원국, 영국, 일본 등과 함께 비우호적 국가로 지정하여 러시아가 한국 기업 및 개인들과 거래할 때 정부의 승인을 반드시 받도록 규제하였음

북한과 러시아가 자국의 이익 극대화를 위해 중국을 북중러 삼자 협력에 끌어들이고 싶어 하나, 중국은 여전히 삼각 공조보다는 양자 협력을 선호하고 있으며, 북중러 협력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음

이는 북중러 협력이 중국이 그동안 비판해온 한미일 협력과 유사하게 비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협력이 한미일 군사협력 강화로 이어져 동북아 지역에서 냉전적 대결 구도를 심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중국의 전략적 이익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을 수 있기 때문임.

또한, 북한과 러시아는 모두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어, 이들과의 협력은 세컨더리 보이콧(secondary boycott)을 초래할 수 있는데, 이는 국제사회에서 중국을 고립시키고, 중국 경제에 심각한 손실을 줄 수 있음

북한이 러시아에 대한 무기 지원과 파병을 통해 학습효과를 얻는 가운데, 김정은은 2024년 1월 최고인민회의에서도 북한의 전쟁 수행 목표가 “대한민국을 공화국 영토에 편입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무력 통일을 공개적으로 주장한 바 있음

김정은은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 전쟁 중인 교전국으로 인식하며, 미국이 주도하는 한미일 군사협력을 ‘아시아판 나토’로 평가하고 이를 ‘신냉전체제’로 규정하였음

김정은은 2024년 1월 15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0차 회의 시정연설에서 북한 헌법에 없는 ‘영토조항’을 신설할 것과 남북교류와 관련된 상징물 철거를 지시하면서 ‘통일’, ‘화해’, ‘동족’이라는 개념 자체를 완전 제거하도록 하여 선대의 유훈인 조국 통일론마저 폐지하였다.

김정은은 2023년 12월 제8기 제9차 전원회의에서 남북관계를 동족관계가 아닌 적대적 두 국가 관계이며, 전쟁 중인 교전국 관계로 규정하면서 대남 적대 인식을 가장 극명하게 표출하였다.

2024년 1월 8일 대한민국 합참이 북한의 해안포 발사에 대한 대응 포격을 가하면서 “남북 간 지상・해상의 적대행위 중지구역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선언하자, 김정은은 “북방한계선을 비롯한 그 어떤 경계선도 허용될 수 없다”며, “대한민국이 우리의 령토, 령공, 령해를 0.001mm라도 침범한다면 곧 전쟁도발로 간주될 것”이라고 위협했다

김정은은 9월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간 군사위성 협력을 본격화하였다. 그 결과 2023년 11월 북한은 세 번째 발사 끝에 정상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북한이 미국을 겨냥한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한 것은 우주의 자유로운 이용에 대한 권리를 명분으로 ICBM 기술을 우회적으로 확보함으로써 미국에 대한 핵 억제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향후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상에 대비하여 핵보유국으로서 대등한 전략적 지위를 확보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의 북한문제에 정통한 역사학자 선즈화(沈志華) 교수는 역사적으로 북한은 중국의 정치적 영향력 행사에 대해 완강한 거부 태도를 보여 왔으며, 북중관계는 사실상 ‘냉정하고 거리를 둔 관계’이자 ‘서로 이웃하고는 있으나 서로 잘 알지 못하는 관계’를 유지해 왔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리둔치우(李敦球) 국제문제전문가 겸 취푸사범대학외국어학원 교수는 2018년 당시 남북관계 및 북미관계 개선을 평가하며, 한반도 종전선언의 역사적 조건이 성숙했다는 논평과 함께 중국이 1953년 정전협정의 당사국으로서 종전선언에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는 법률적으로도 필수 불가결하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중국 관영 매체 환구시보도 “정전협정 체결국인 중국이 빠진 종전선언은 효력이 없다(没有中国, 半岛终战宣言无效! 可随时推翻)”는 사설을 게재하면서, “한반도가 65년의 전쟁을 끝낼 수 있다면 당연히 좋은 일”이지만, “만약 중국이 빠진 북미 또는 남북미가 종전선언을 한다면 기술적으로 한반도 정전협정을 대체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한일관계에서도 힘의 수평화 현상이 나타났는데, 1990년 기준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GNI)은 6,450달러였으나, 2023년 36,194달러로 증가하였다. 일본은 1990년 19,699달러였으나, 2023년 35,793달러로서 한국이 일본을 처음으로 역전하였다.

기타 방위비 면에서도 한국과 일본은 거의 같은 수준을 보이게 되었다. 양국 관계가 대칭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상호 경쟁의식이 격화되었고, 상호협력의 필요성이 과거에 비해 낮아지게 되었다. 한일 간 쟁점에 대해 상대에게 일방적인 양보를 요구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고, 이러한 가운데 양국 간 첨예한 쟁점이 된 것이 역사문제였다

2012년 12월 아베 2차 내각이 출범하면서, 과거사 문제가 현재의 외교・정치문제로 거듭나게 되었다. 2015년 위안부 합의 이후 정체되었던 고위급 대화채널이 가동되기 시작하였으나, 2018년 10월 일본 기업의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배상책임을 확정한 한국 대법원판결 이후 양국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2018년 강제징용피해자문제 대법원판결 이후 급속히 냉각되었던 한일관계는 현 정부의 강제징용 대법원판결 정부 입장 발표(23.3.6) 이후 12년 만에 양국 정상 상호방문 등을 시작으로 회복 중이다.

2024년 일본 「외교청서」(外交青書)한국에 대해 ‘중요한 이웃 나라’로 명기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의사소통을 거듭하여 협력을 확대해 나갈 예정임을 밝히고 있다.

또한, 최근 인도・태평양의 엄격한 안보 환경을 감안할 때 한일 간 긴밀한 협력이 현재 필요하며 2023년 한일관계의 개선이 궤도에 진입한 가운데, 글로벌한 과제에 대해서도 협력을 한층 강화해 나갈 방침임을 명기하고 있다. 한편, 독도와 관련해서는 역사적 사실 및 국제법상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하는 기본적인 입장에 근거해 대응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히고 있다

2023년 3월 한국 정부가 2018년 대법원에서 승소한 강제동원피해자의 구제를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을 통한 제3자 변제방식으로 추진할 방침임을 발표한 데 대해 일본 정부는 한일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린 조치로 평가하고, 한국 정부의 조치를 계기로 한일 간 정치, 경제, 문화 등 제 분야의 교류가 확대될 것을 기대한다고 밝히고 있다.

일본 정부는 2023년 한미일 정상회담 후 이번 회의로 3국 간 안보협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게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2024년 8월 캠프데이비드 정상회의 1주년(8.18) 기념 한미일 정상 공동성명에서 3국 정상은 캠프데이비드 정상회의의 역사적 중요성과 한미일 협력에 대한 3국 간 의지를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아울러, 2024년 11월 20일 한국 외교부에 한미일 사무국이 설치되었다.

대러 제재의 경우 환율 급등, 인플레이션 상승, 천연가스 가격 상승 및 생산 감소 등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러시아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러시아 정부의 산업별 발전 전략 수정 그리고 중국 및 인도, 이란, 중동, 아프리카 국가 등 글로벌 사우스와의 국제 협력 확대 등을 통해 제재 효과가 제한되었다.

그 결과 러시아 GDP 성장률은 2022년 2사분기부터 2023년 1사분기까지 각각–4.5%, -3.5%, -2.7%, -1.6%를 기록했으나 2023년 2사분기에는 4.9%, 2024년 1사분기와 3사분기에는 각각 5.4%, 3.1%에 달할 정도로 개선되었다.

 

 

2017년 12월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국가안보전략서(National Security Strategy)」는 중국과 러시아를 수정주의 국가(revisionist powers of China and Russia)로 규정하였다. 바이든 행정부 역시 탈냉전 국제질서의 혜택을 통해 성장한 중국과 러시아가 이제는 독재 체제에 유리한 방향으로 국제질서를 재편하려 한다고 평가하고 있다. 다만, 바이든 행정부의 국가안보전략서에서는 러시아와 중국의 도전을 서로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

러시아는 “오늘날 국제질서의 기본법을 무모하게 어기면서 자유롭고 개방적인 국제시스템에 즉각적인 위협(immediate threat)”을 가하는 국가로 묘사된 반면, 중국은 “국제질서를 재편하려는 의도가 있으며, 이와 동시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제력, 외교력, 군사력 및 기술력을 점차 갖춰나가는 유일한 경쟁자(the only competitor)”로 평가하고 있다.

학계와 전문가 그룹 내에서 이러한 진영화 추세를 신냉전으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일부 존재하기는 하지만, 미국, 중국, 일본, 유럽 등 주요국들은 현재 상황을 신냉전으로 규정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이들 국가는 정도는 다르지만, 진

영화 양상이 심화되지 않도록 관리하고자 하는 의도를 보이기도 한다.

반면, 북한은 현재의 국제질서를 신냉전으로 규정하며, 한미일 대 북중러로 나뉜 진영화 구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국의 국익을 추구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정은은 2023년 1월 제8기 제12차 정치국회의에서 현재의 국제관계를 “신냉전체제”로 규정하였다. 김정은은 이에 대한 근거로서 미국이 “일본과 남조선과의 3각 공조실현”을 추진하여 “아시아판 나토”와 같은 새로운 “군사블럭”을 만들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그 결과 김정은은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전환하고, 한・미・일 군사협력을 최대의 대외적 위협요인으로 규정한 것이다.

‘신냉전체제’에 대한 김정은의 위협인식은 2023년 4월 대북 확장억제력을 구체화한 한미 ‘워싱턴선언’과 2023년 8월 한・미・일 안보협력의 제도화를 공식화한 ‘캠프 데이비드 선언’을 통해 더욱 증폭되었다.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개최하여 북・사협력을 본격화하였으며, 전통적인 북・

중・러 군러 삼각 동맹을 복원하려는 ‘균형’ 조치를 적극 시도하였다.

국가들은 자국의 생존 확보를 위해 내적으로는 군비증강을 선택하고, 외적으로는 동맹을 확대하면서 대내외적인 ‘균형화(balancing)’ 정책을 적극 추진하게 된다고 본 것이다. 1953년 정전협정 이후 한미일의 ‘남방삼각체제’에 대응하여 북소중의 ‘북방삼각체제’를 구축한 것이나, 1990년대 냉전 붕괴 이후 제1차 북핵 위기와 2000년대 미국 부시 행정부 등장 이후 제2차 북핵 위기를 촉발한 것은 월트의 주장대로 북한이 ‘위협’에 대한 반대의 동맹, 즉 ‘균형’을 선택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2023년 8월 18일 미국 대통령의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Camp David)에서 역사적인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이 개최되었다. 이번 회담은 1994년 11월 APEC 정상회의 계기로 열린 첫 3국 정상회담 이후, 주로 다자회의를 계기로 이루어졌던 기존의 3국 정상회담들과 달리, 한미일 정상회의만을 위해 단독으로 개최된 첫 사례라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국내 일각에서는 3국 협력을 통해 한국이 얻을 수 있는 실질적 성과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으나, 동시에 3국 협력을 환영하며, 앞으로의 효용성에 기대를 거는 의견도 있었다. 다만, 한미일 전문가들은 이번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담에서의 3국 협력에 대한 합의는 역사상 유례없는 놀라운 성과라는 점에 동의하면서도 이러한 합의를 구체화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후속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더욱 강조하였다

미국의 전략에는 여전히 자국 우선주의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으며, 협력의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동맹 간 국익 조율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미국 우선주의와 거래적 동맹관을 기조로 하는 트럼프의 재집권은 한미일 3국 협력의 전망을 긍정적으로만 평가하기 어렵게 만드는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트럼프는 유세 과정에서 한국을 “머니머신(Money Machine)”이라고 표현하면서 자신이 대통령이었다면 한국이 연간 100억 달러를 부담하도록 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한국은 부유한 나라이면서도 돈을 내지 않고 있는데, 더는 이용당할 수 없으므로 (협상을) 시작해야 한다(We have to start)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대한 우려로 한국 정부는 바이든 행정부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될 「제12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pecial Measures Agreement, SMA)」을 발효했으나, 트럼프 2.0에서 이 협정에 대한 재협상 요구가 제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

2024년 11월 페루 리마에서 개최된 APEC 정상회담을 계기로 2년 만에 한중 양국은 정상회담을 갖고, 글로벌 복합 위기 상황에서 역내 안정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번 회담을 통해 양국 정상은 북러 군사협력을 비롯한 역내 정세 문제와 양국 간 경제 협력, 인적 교류 문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

중국은 식량, 의류, 비료, 기계, 건축 자재 등 북한 주민과 북한 산업의 일상을 지탱하는 거의 모든 필수품을 공급하며 북한의 생명줄이 되었다. 1994년부터 2023년까지 북한은 중국과 200억 달러 이상의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2024년 북한과 러시아 조약으로 양국 간 무역은 확대되었지만,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은 의미 있는 방식으로 줄어들지는 않았다. 2023년 중국은 북한 사회 무역량의 98%를 차지하기도 했다

우리 정부는 한반도 문제의 직접 당사자인 만큼 북핵 문제의 논의와 해결과정에서 좀 더 적극적인 문제 해결자로 나서야 하며, 우리의 역할이 경시되거나 소외되지 않도록 다각적이고 다차원적인 대응방안을 선제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미국과 중국은 물론 주변 국가의 적극적인 지지를 견인하기 위한 한반도 평화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한반도 문제 해결에 있어 중국의 협력이 필수불가결한 상황에서 한중 양국 간 상호신뢰를 구축하고 대화와 소통도 이어가려는 노력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기후변화 관련 통상 규제 확산에 따른 대응 방안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2024)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90718&cat=epic2&source=newsletter&utm_campaign=9_KDI_Letter_Send&utm_source=newsletter&utm_medium=email

 

에너지경제연구원은 기후변화 관련 통상 규제 확산에 따른 대응 방안을 모색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연구의 필요성]

- 무임승차 유인을 배제하기 어려운 파리협정의 한계로 인한 탄소누출 우려와 기후변화 대응 강화가 자국 산업 보호와 맞물려 新통상 규범으로 대두

- 기후변화 관련 통상 규제 확산은 수출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진 우리나라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해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

 

[연구의 목적]

- 기후변화 관련 통상 규제에 대한 국내 대응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함.

- 이를 위해 기후변화 관련 통상 규제의 글로벌 논의 동향과 EU 탄소국경제도 시행이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을 분석

· 기후-통상 관련 다자 논의로서 기후클럽, IFCMA, FMC, IPEF를 분석

· 주요국 일방적 조치로서 EU 탄소국경조정제도,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 EU 탄소중립산업법 분석

-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후-통상 국제 논의에 대한 국내 대응 방안을 모색

 

기후클럽 (Climate Club): G7 국가를 중심으로 한 협의체로, 탄소 감축 목표의 조화와 산업 경쟁력 유지를 목표로 함.

IFCMA (International Forum on Carbon Markets and Alliances): 국제 탄소시장과 관련된 협력 및 표준화 논의를 위한 포럼.

FMC (First Movers Coalition): 탄소 감축 기술과 혁신 제품 시장의 초기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 민간 기업과 정부가 협력.

IPEF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미국 주도로 인도-태평양 지역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디지털 통상 협력을 논의.”

 

EU 탄소국경조정제도 (CBAM -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EU 역내 탄소누출 방지를 위해, 수입품의 탄소배출량에 따라 관세를 부과하는 제도.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 (IRA - Inflation Reduction Act): 청정에너지 지원, 전기차 보조금 등 탄소중립 산업을 위한 대규모 재정 지원법.

EU 탄소중립산업법 (Net-Zero Industry Act): 유럽 내 청정에너지 기술 및 탄소중립 산업 육성을 위해 제정된 법안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초점.”

 

 

[결론]

- EU CBAM에 대한 궁극적 대응과 미래 저탄소 제품 시장 선점을 위해 다자간 기후-통상 논의가 지향하는 저탄소 제품 시장 창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요

- 동시에 저탄소 제품 시장의 수요 견인 정책을 강화하여 저탄소 제품 시장에 확실성을 부여함으로써 산업부문 저탄소 전환을 촉진

 

[정책 시사점]

- 국제 표준 논의에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민·관 협력과 국제 동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 필요

- 제품 수명주기 배출량 산정을 위해 국내 기업의 산정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인프라 구축 필요

- 그린공공조달의 기준을 강화하여 저탄소 제품에 대한 안정적 수요 제공 필요

- 탄소라벨링 제도의 확대와 강화를 통해 소비자의 저탄소 제품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고 선택을 유도할 필요

 

 

아세안 주요국 및 인도와의 자동차 분야 공급망 연구

(산업연구원, 2024)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90714&cat=epic2&source=newsletter&utm_campaign=9_KDI_Letter_Send&utm_source=newsletter&utm_medium=email

 

산업연구원은 아세안 주요국 및 인도와의 자동차 분야 공급망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최근 미중 갈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국제 이슈는 우리 기업의 자동차산업 공급망 안정성 확보의 필요성을 증대시키고 있음. 특히 미중 갈등이 촉발한 미국 중심의 자동차산업 공급망 재편은 한국의 대미 수출 증가로 이어졌음. 반면 현대기아자동차가 중국의 자동차 생산 공장 가동을 중단하면서 대(對)중국 자동차 부품 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음.

 

하지만 자동차산업 수입에서 우리나라의 대중국 의존도는 오히려 증가하였음. 이에 따라 자동차 부품 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여 중국이 일본을 제치고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2023년 15억 달러의 무역적자 최고치를 경신하였음.

 

- 향후 미중 간 패권 경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양국을 중심으로 한 공급망 블록화는 가속화될 것으로 보임. 이러한 상황 속에 우리나라는 자동차 부품 수입에서 높은 대중국 의존도를 보이고 있어 공급망 다변화를 통한 안정성 확보가 요구되는 상황임.

 

이에 본 연구는 자동차산업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생산 입지, 소비시장으로서의 아세안과 인도의 가치를 분석하고 공급망 안정성 확보를 위한 협력 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차 공급망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아세안 주요국과 인도의 가치를 평가하고, 한국 자동차산업이 직면한 문제를 바탕으로 공급망 구축 전략을 제시하는 것임. 자동차 생산 입지와 소비시장으로서 아세안과 인도의 전략적 가치는 매우 큼. 아세안과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으로, 자동차산업의 생산 입지와 소비시장으로서의 잠재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음.

 

 

 

글로벌 사우스 주요 이슈와 협력 방안

(KOTRA, 2024)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90710&cat=epic2&source=newsletter&utm_campaign=9_KDI_Letter_Send&utm_source=newsletter&utm_medium=email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는 글로벌 사우스 주요 이슈와 협력 방안을 살펴본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1. 글로벌 사우스 논의와 최근 동향

- (다극화 속 非서방권의 부상) 미중 전략경쟁이 지속되며 기후변화, 지정학적 이슈 사이에서 전략적 균형을 취하는 글로벌 사우스에 무게감 가중

- (부상 배경) △핵심자원, △높은 경제성장률, △인구 증가율 등에 따른 시장 잠재력의 3박자를 갖춘 지역으로, 글로벌 기업들의 다변화 진출 활발

- (BRICS+) 글로벌 사우스 관련 논의는 실질적으로 BRICS+ 회원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인도, 브라질 등을 중심으로 영향력 확장 및 글로벌 사우스 의제 선도

- (주요국) 중국, 일본, 미국, EU, 브라질, 중동 등 주요국의 협력 확대

 

2. 주요 이슈와 협력 전략

- (나홀로 성장 중인 소비시장) 인도, 인도네시아 등이 높은 인구증가율 및 경제성장률로 인해 확대되는 새로운 소비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음.

- (기후변화의 직격타, SOC인프라 수요 증가) 주요국에서는 △만성적 인프라 부족, △기후변화 직격타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인프라 수요 급증

- (제조업) 각국의 제조업 육성 활발, 첨단 산업 투자유치 및 내재화를 위한 노력

- (자원) 에너지 다변화 및 핵심광물 주요 산지로서의 부가가치 창출 노력 경주

 

3. 협력 전략

- (개요) 글로벌 사우스 120여개국은 그 범위가 다소 넓고, 시장의 성격이 상이하므로, 일정 수준의 시장성과 파급력을 갖춘 “우선 협력국”을 중심으로 진출 후 주변 기회 시장으로 확대하는 차별화 전략이 적절

- (설문조사) 우리 진출 기업 설문조사 결과, 응답 기업들은 주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멕시코 등 기존 시장성이 높고 우리기업 기 진출이 이루어진 국가를 중심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추가 진출도 검토 중이라고 응답

- (협력) “현지의 수요”*를 반영하려는 노력을 통한 지속 가능성 확보

- (전략) △현지 유통망 협력(소비재), △제조인프라 현지화 및 현지 협업(제조업), △현지 정부 수요 높은 분야 위주 진출 및 △정부간·국제기구 프로젝트 활용 등

 

- 목차 -

제1장 글로벌 사우스 논의와 최근 동향

1. 국제질서 재편의 게임 체인저,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

2. BRICS+국가들이 맹주 국가로 국제사회 논의 주도

 

제2장 글로벌 사우스 주요 이슈 및 협력 전략

1. 나홀로 성장세, 인구 대국의 소비시장

2. 기후변화 직격타를 맞은 신흥국의 인프라 구축 노력

3.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식량안보 협업

4. 新제조업 투자처로 재부상한 신흥국

5. 핵심자원·에너지 부국과의 기술협력

 

2023 한-인니 통상연계형 경제협력사업 : 인도네시아 제조업분야 CEPA 활용방안 수립 (KOTRA 2024)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90711&pg=&pp=&search_txt=&issus=&type=&depth1=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는 인도네시아 제조업분야 CEPA 활용방안을 모색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2020년 12월,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양국 간의 교역 증진을 위한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CEPA)을 체결했음. 이협정은 양국의 경제적 관계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이정표로 작용했으며, 협정 체결 후 약 9개월 만에 양국 간의 교역 규모가 전년 대비 약 34% 증가하는 성과를 올렸음.

 

또한, 2023년 1월 1일에는 이 CEPA가 공식적으로 발효되었음. CEPA 협정에 따라, 양국은 공산품에 대한 관세 인하를 시작했으며, 이외에도 서비스, 투자, 지적재산권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경제협력에 관한 조항을 포함하였음. 이러한 협정은 한국기업들이 인도네시아의 거대한 시장으로 수출 및 투자 진출을 더욱 용이하게 하였고, 동시에 인도네시아 기업들에게도 한국 시장에 상품과 서비스로 진출할 기회를 확대하는 결과를 가져왔음.

 

한국-인도네시아 CEPA는 2012년 1차 협상 이후 총 7차례의 협상 과정을 거쳐 중단과 재개를 반복한 끝에 2020년 12월에 정식 서명되었음. 이후 2021년 6월에는 한국 국회에서 비준을 완료하였다. 인도네시아는 니켈, 주석, 금, 보크사이트 등 방대한 광물자원을 보유한 자원 부국이며, 2.7억 명의 인구를 가진 ASEAN 최대 시장임.

특히,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니켈의 세계 매장량의 1/5을 차지하고 있어, 전기차 분야 공급망의 핵심 거점으로 급부상하고 있음. 이러한 협정은 양국의 경제적 협력을 더욱 심화시키고, 서로의 시장에서의 기회를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 인도네시아 제조업 분야의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 활용률 제고를 위해 한국의 성공적인 자유무역협정(FTA) 및 CEPA 경험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음. 이러한 벤치마킹을 통해 인도네시아 제조업의 특혜관세 활용률을 높이는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음.

 

 

중국, 17년 만에 국가자연과학기금조례 개정 통해 기초연구 지원 가속화 (산업연구원 2024)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90715&pg=&pp=&search_txt=&issus=&type=&depth1

 

산업연구원은 중국의 국가자연과학기금조례 개정을 통한 기초연구 지원 가속화에 대해 살펴본 브리프를 발표하였다.

- 중국 국무원은 17년 만에 개정한 ‘국가자연과학기금조례를 2024년 11월 14일에 공개하였음. 중국은 국가자연과학기금 (이하 ‘기금’)을 통해 기초연구를 지원해 오고 있으며 개정된 조례는 2025년 1월 1일부로 시행됨.

- ‘중국과학기술진보법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는 동 조례는 기초연구 강화, 과학기술 인재 육성, 자주적인 혁신능력 강화, 높은 수준의 과학기술 자립 자강 등을 추진하기 위해 제정되었음(제1조). 기금관리위원회는 2024년 11월 15일에 데이터 과학과 AI 관련 기금 특별 프로젝트의 신청 지침을 공지한 상태임.

- 동 조례에 따르면 기금은 기초연구 인재 양성에 사용되며(제3조), 기본적으로 중앙예산에서 배정되나 사회자본이 기금 조성에 참여할 것을 장려함(제4조). 기금관리기구는 기금 관리, 기금 지원 및 관리 제도 제정, 자금 지원 계획과 프로젝트 승인 등을 담당하며, 국무원 과학기술 주무부처가 기금 업무에 대한 거시적인 관리와 전반적인 조정, 감독·검사 업무를 담당함.

반응형
반응형

시리아의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은 부패와 타락으로 인해 결국 2주도 채 되지 않아 무너졌다. 하지만 2011년 아랍의 봄 당시, 시리아 국민들은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 예멘에서 성공적으로 독재자들을 몰아낸 혁명의 바람이 자신들에게도 닿길 바랐으나, 이는 실현되지 못했다.

2000년 하페즈 알 아사드의 사망 후 정권을 이어받은 바샤르는 처음에는 개혁을 약속하며 일부 국민들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그는 약속을 저버리고 2011년 평화 시위대에 대한 무력 진압을 명령하며 국민의 신뢰를 잃었다.

알 아사드 몰락 직전, 이스라엘은 시리아 내 이란의 무기 공급망을 겨냥한 공습을 강화했고, 미국과 UAE는 그가 이란과의 동맹을 끊고 국제 사회로 복귀하도록 유도하려 했다. 알 아사드가 퇴진한 지금, 시리아는 이란과의 관계에서 벗어나 국제적 연대를 모색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시리아 반군을 이끄는 하야트타흐리르알샴(HTS)의 지도자 아부 모하마드 알-줄라니는 시리아 내 종파 간 존중을 강조하며 사실상의 지도자로 부상했다. 하지만 여러 무장 단체와 부족 민병대가 여전히 독자적인 권력을 추구하고 있어 정치적 불안정은 계속되고 있다.

시리아인들은 리비아와 이라크처럼 독재자의 몰락 이후 폭력과 혼란이 지속되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우려하고 있다. 두 나라는 신중하지 못한 외국의 개입과 후속 체제 부재로 인해 내전에 빠져들었고, 시리아 역시 이러한 전철을 밟지 않을지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2011년 시리아 내전 발발 이후에도 권좌를 유지했던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이 결국 러시아로 망명했다.

아사드 정권은 러시아, 이란, 헤즈볼라 등 동맹들의 지원으로 내전에서 승기를 잡고 2020년 휴전에 이르렀지만, 북서부 지역에는 반군 세력이 잔존했다. 특히 아사드는 헤즈볼라의 지상 병력에 의존해 정권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어진 중동 전역의 분쟁으로 동맹국들이 타격을 입고 약화되자, 튀르키예의 지원을 받은 반군이 공세를 펼쳐 아사드 정권을 무너뜨렸다.

시리아는 현재 네 개의 주요 세력과 다섯 개의 외세가 충돌하며 혼란에 빠져 있다.

• 반군 하이아트는 과거 알카에다 지부로 시작한 이슬람주의 세력으로, 북서부 이들리브 지역에서 지방정부 역할을 해왔다.

• **쿠르드족의 시리아민주군(SDF)**은 분리독립을 추구하며 반군 내에서 독자 노선을 걷고 있다.

• **시리아민족군(SNA)**은 튀르키예의 지원을 받아 쿠르드족을 공격하고 있다.

• 알라위파는 아사드 정권의 핵심 지지 세력으로, 반군 세력과 대립하고 있다.

시리아는 수니파가 다수를 이루는 다종교·다민족 국가다. 소수 시아파 분파인 알라위파가 군부와 정권을 장악하며 53년간 권위주의 통치를 이어왔으나, 2011년 다수 수니파 주민들의 반발로 내전이 시작됐다.

내전 초기부터 아사드는 이란 및 러시아와 동맹을 맺었고, 반면 수니파 아랍국가와 튀르키예는 반군을 지원했다. 반군 내부는 세속주의 성향의 자유시리아군(FSA)과 이슬람주의 세력으로 나뉘었으나, 러시아의 군사 지원과 반군 내부 분열로 아사드 정권은 휴전까지 정권을 유지했다.

하지만 최근 하이아트가 튀르키예의 지원을 받아 반격에 성공하며 정권 붕괴를 이끌었다. 하이아트는 과거의 지하디즘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하려 하고 있으나, 수니파 이슬람주의 체제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국내외 주요 세력들이 반대하고 있다.

현재 튀르키예는 하이아트를 앞세워 시리아 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 하고, 시리아민족군은 아사드 정권 몰락 직후 쿠르드족을 공격하며 분쟁을 키우고 있다. 이 과정에서 시리아의 쿠르드족 분리독립 문제가 다시 대두되며 튀르키예와의 갈등도 심화되고 있다.

아사드 정권 붕괴는 내전의 종결이 아니라 중동 전역에 새로운 지정학적 불안을 초래하고 있다. 권력 공백 속에서 다양한 세력이 충돌하며 혼란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8888888888888888

시리아 아사드 정권 붕괴로 시리아 정세가 안정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유럽 각국과 튀르키예가 시리아 난민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2015년 유럽 난민 위기 당시 유입된 난민의 절반이 시리아 출신이었으며, 이는 유럽 난민 문제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독일, 영국, 프랑스 등 서유럽과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등 북유럽 국가는 시리아 피란민의 망명 절차를 중단한다고 발표했고, 오스트리아는 기존의 망명 자격도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독일 기독민주당(CDU)은 귀국을 장려하기 위해 시리아행 전세기 운항과 정착 비용 지급 방안을 제안했다.

튀르키예 역시 약 350만 명의 시리아 난민으로 인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귀국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시리아 난민들의 귀국을 돕기 위해 2013년 폐쇄됐던 야일라다이 국경 검문소를 재개방하기로 발표했다.

이번 정책 변화는 난민 수용에 대한 유럽과 튀르키예의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시리아 정세의 안정화를 기대한 조치로 보인다.

 

시리아 내전은 2011년 시위가 확대되며 발발했으며, 알아사드 정권은 러시아와 이란의 지원을 받아 내전을 국제적 분쟁으로 확산시켰다. 이 과정에서 62만 명이 사망하고 600만 명 이상의 난민이 발생했다. 여러 위기 속에서도 권력을 유지한 아사드는 ‘중동의 불사조’로 불리기도 했다.

현재 시리아 내 주요 반군 세력은 이슬람 무장 조직 하야트타흐리르알샴(HTS)와 수니파 반군 시리아국가군(SNA)이다. HTS는 시아파 계열의 아사드 정권을 축출하고 수니파 이슬람 근본주의 국가 수립을 목표로 한다. 알카에다 하부 조직인 ‘알누스라 전선’을 전신으로 하며, 2016년 알카에다와 단절한 후 비교적 온건 노선을 채택해 최대 반군 세력으로 성장했다.

SNA는 샤리아에 기반한 이슬람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며, 튀르키예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튀르키예는 반군을 지원하며 시리아 내에서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미국은 내전 개입 의사가 없음을 밝혔고, 러시아와 이란도 내정 문제로 적극적인 개입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국제적 공백 속에서 튀르키예가 시리아에서 주요 역할을 맡으려는 움직임이 관측된다. 다만, 반군 내부의 분열과 경쟁으로 제2의 내전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8888888888888888

 

이스라엘이 시리아 아사드 정권 붕괴 후 골란고원 비무장 완충지대에 병력을 투입해 정부군이 버리고 간 군사 거점을 점령했다고 AP통신이 9일 보도했다. 이 지역은 1974년 제4차 중동전쟁 이후 정전 협정으로 설정된 유엔 평화유지군 주둔지로, 이스라엘과 시리아 간 전략적 요충지다.

한편, 8일 시리아 반군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이 수도 다마스쿠스를 점령하며 아사드 정권이 무너졌다. 이후 다마스쿠스에서는 대규모 폭발이 발생했으며, 아사드 정권 붕괴 이후 이스라엘군이 시리아 내에서 약 250차례 폭격을 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HTS는 아사드 정권이 남긴 화학무기를 확보했으나 이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국제 사회와 협력해 이를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은 9일 시리아 중부 지역에서 이슬람국가(IS)를 겨냥한 공습을 75차례 진행했다. 같은 날 튀르키예는 북부 만비즈 지역에서 미국이 지원하는 쿠르드족 세력을 공격하며 지역 내 긴장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하이아트 타흐리르 알샴(HTS)의 지도자 아부 무함마드 골라니는 11일 영국 스카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시리아 재건 의지를 강조하며, “두려움의 근원은 아사드 정권, 이란 민병대, 레바논 헤즈볼라 같은 세력에서 비롯됐다”며 이들의 제거가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시리아 국민들이 또 다른 전쟁을 원하지 않으며, 혼란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사실상 하이아트를 중심으로 시리아를 통치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하이아트는 국제사회의 정상 국가로 인정받기 위해 정책 변화를 추진 중이다. 여성의 히잡 강제 착용을 금지했으며, 다마스쿠스에서는 버스 운행이 재개되고 은행과 시장이 문을 여는 등 빠르게 일상 복구가 진행되고 있다. 시리아 내전으로 인근 튀르키예에 머물던 난민 300만 명 중 일부도 귀향하고 있다.

그러나 하이아트가 국제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미국 등이 지정한 테러 단체 명단에서 제외되어야 한다는 과제가 남아 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은 10일, 새 정부가 소수자 권리를 존중하고, 인도적 지원을 촉진하며, 시리아가 테러 기지로 활용되지 않도록 하는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밝히며, 이러한 조건에서 새 정부로의 전환을 지지할 뜻을 시사했다.

이스라엘군이 시리아 다마스쿠스 인근 카타나까지 진입했다는 보도에 대해 이스라엘 정부는 부인했다. 그러나 이스라엘 국방장관 요아브 갈란트는 시리아 남부에 무기와 테러 위협이 없는 ‘무균 방어구역’을 조성하라는 명령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스라엘은 이러한 조치가 방어적이며, 시리아 내 이란 세력의 재건을 막기 위한 임시적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10일, “시리아 내정에 간섭할 의도는 없다”고 강조하며, 전략 무기가 지하디스트 세력에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폭격을 시행했다고 밝혔다.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 스테판 뒤자릭은 이스라엘의 공습과 골란고원 완충지대 진입이 1974년 협정을 위반한 행위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시리아가 이웃 국가들의 군사적 개입에 이용돼선 안 된다고 경고했다.

미국은 이스라엘의 명분을 옹호하면서도 “임시적” 조치에 그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 국무부 대변인 매튜 밀러는 9일 브리핑에서, “시리아군의 공백을 테러 조직이 메울 가능성은 있지만, 이스라엘은 1974년 분리 협정을 준수하고 완충지대에서 철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기사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된 AI 요약문을 밝힘>

 
반응형
반응형

트럼프의 승리가 확실해보이던 2024 미국 대선이 바이든의 하차와 해리스의 부상으로 또 다시 재미난 쇼가 되었다. 요즘 가장 흥미진진한 쇼를 뽑으라면 당연코 미국대선을 뽑을수 있겠다.

트럼프의 대외정책의 기조는 1기 정부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더 확실한것은 트럼프 2기에서는 하나의 정부 정책이지만 상호 모순되는 내용들이 상당히 많다는 것. 더 Radical 하면서도 또 행정부로써 해결해야할 문제들이 있기에 또 거기서는 현실적인 방법론을 제시해야하는 상황에서 비롯되는것 같다.

또 하나는 해리스가 되더라도 겉의 포장지와 정도는 달라질지언정 국제사회에서의 리더십을 보여주는 국가 수장이 아니라 미국을 대표하는 리더가 되겠다는 목표, 거기에서 비롯되는 정부의 개입은 확실해보인다는 점.

중국과의 경쟁기조는 달라지지 않을 것이기에 트럼프의 대외정책을 특히 무역정책과 관련해서 트럼프 2기를 상정하고 대비하는 것은 오히려 해리스 정부를 상정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준비를 할수 있을 것이다.

“Post-Election Order”- 트럼프 2.0 시대, 미중관계와 국제질서의 미래

https://www.nafi.re.kr/new/report.do?mode=view&articleNo=7656&article.offset=0&articleLimit=5

트럼프 2기 유력인사들의 공통점은 모두 중국에 대한 강도 높은 공세와 분리의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는 중국정부를 치명적 적이라고 규정하고, “전략적 디커플링(strategic decoupling)”을 목표로 한 경제, 무역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디리스킹이 아닌 중국경제와의 더 큰 단절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미국 국익에 해가 되는 교류 중단, 대중국 의존 제거, 무역균형 확보,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투자 축소, 기술 상호의존 중단을 제기한다.

또한, 중국의 최혜국 대우를 폐지하고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높일 것을 주장한다.24) 대중국 투자를 심사할 새로운 정부기관을 신설하여 아웃바운드 투자 제한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높이는 경우 내수 소비에서 큰 부담으로 작용할것이라는 전문가의 지적이 있었다. 관세를 높이는 것만이 경쟁국을 견제하는 수단인가 생각해보게 된다.

 

*디커플링

탈동조화(Decoupling)

한 나라 경제가 특정국가 혹은 세계 전체의 경기 흐름과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현상. 모건스탠리가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로,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강한 성장을 지속하는 경우는 하드 디커플링(Hard Decoupling), 경기 둔화의 영향을 받지만 그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는 소프트 디커플링(Soft Decoupling)으로 구분된다.

주가가 하락하면 환율은 상승하고 주가가 상승하면 환율은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인데, 이와 달리 주가가 하락하는 데도 환율이 상승하지 않고 제자리에 머무르는 현상, 수출이 증가하는 데도 소비는 감소하는 현상, 서구의 증시는 상승하는데 아시아 증시는 전체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등도 디커플링에 속한다.

반대로 한 나라 또는 일정 국가의 경제가 다른 국가나 보편적인 세계경제 흐름의 영향을 받는 것은 커플링(동조화ㆍcoupling)라 한다. (https://www.moef.go.kr/sisa/dictionary/detail?idx=2620)

*아웃바운드

아웃바운드 비즈니스란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나?

“연기금·기관투자자 및 고액자산가 등 국내 투자자들이 해외주식·채권·대체투자상품 등에 투자할 때 제공하는 토털 솔루션을 말한다. 해외시장에 대해 정보가 부족한 국내 투자자에게 증권사가 해외시장 분석, 포트폴리오 추천, 환전, 매매 및 헤징을 포함한 다양한 리스크관리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외국인이 한국 자산에 투자하며 해외자금이 국내로 유입되는 국내투자(인바운드)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2015년 이후로 아웃바운드에 주력하고 있다.”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170822010009781)

 

이미 바이든 정부의 대중국 첨단기술통제는 “small yard, high fence(좁은 마당, 높은 장벽)”에서 “large yard, low fence(큰 마당, 낮은 장벽)”로 점점 그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트럼프 2기는 이러한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첨단기술 수출통제의 범위가 급격히 더 확대되고 광범위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라이트하이저는 대중국 기술이전 금지, 대중국 기술투자 규제를 “전략적 디커플링”의 핵심요소로 강조하고 있다. 미국기술분야와 중국 기술분야간의 세심한 단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인공지능과 같은 민감기술을 다루는 미국의 첨단기술기업들이 생산의 필요와 연구개발 필요 때문에 중국에 투자하고 있으나, 이는 이중용도 기술로 중국 군사력 강화를 지원하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라이트 하이저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전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중국과의 전략적 디커플링(Decoupling·분리)과 미중 기술전쟁 승리, 무역적자 감축을 도널드 트럼프 2기에 추진할 3대 최우선 통상정책으로 제시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엔화 약세를 비판하며 ’제2의 플라자합의‘ 추진 가능성을 내비친 가운데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한 과감한 조치에 나설 것임을 시사한 것.

트럼프 전 대통령 재집권 시 재무장관 후보로 거론되는 라이트하이저 전 대표는 ’트럼프노믹스(Trumponomics·트럼프 전 대통령의 경제정책)‘ 2기 기획자로 꼽힌다.

이에 따라 트럼프 2기에선 중국과의 경쟁은 물론 미국과의 교역에서 대규모 흑자를 내고 있는 한국 등 동맹국에 대한 통상압박이 가시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40425/124655536/1)

미국민의 세금을 미국 이익을 침해하는 데 사용하지 않겠다고 강조하면서 국제기구에 대한 “tough love(엄한 사랑)” 기조가 미국의 이익에 부합됨을 주장한다.51) 국제기구와 함께 1945년 이후 전후 질서 속에서 미국 주도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핵심 축이었던 대서양 동맹(trans-atlantic alliance), NATO 또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트럼프는 2018년 나토 탈퇴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고, 올해 2월에도 동맹국들이 돈을 지불하지 않으면 절대 방어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52) 미국이 핵우산과 해공군력 일부 등 최소한으로만 관여하는 “휴면(休眠) 나토(dormant NATO)” 논의가 제기되기도 한다.

트럼프 2.0 시대 미국의 무역균형과 상호주의는 단순히 중국을 넘어 동맹국에게도 적용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인도태평양 지역 동맹국 및 파트너 8개국(인도, 일본, 뉴질랜드,필리핀, 한국, 대만, 태국) 중 7개국이 미국과 총 2000억달러의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57) 결국 트럼프 2기 무역균형 정책과 산업정책은 중국만이 아닌 다수 국가를 상대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America First’ 기조 속에서 산업정책, 생산기지의 국내화가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의 미국 우선 정책이 인도태평양보다 유럽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미국 우선(America First)’ 운동은 ‘아시아

우선(Asia First)’ 운동과 연계되어 있다.68)트럼프 2기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등 역내 경제 외교에의 다자적 관여를 추구했던 오바마 정부의 ‘아시아 회귀(Pivot to Asia)’와는 다른 성격의 “새로운 아시아 회귀(New Pivot to Asia)”가 부상하고, 미중경쟁 속에서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이 미국의 입장에서 아시아 내 전략적 국가로써 어필이 되기 위해서, 또 그러한 상황에서 어떤 포지셔닝을 취해야할까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흔히들 한국이 중국 러시아 일본 등에 둘러싸여 어려운 지정학적 위치에 있다고들 이야기하지만 그렇기에 더 확실한 캐스팅 보트의 역할을 할수 있지 않을까. 전략적 중요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특정국가에 매몰되기 보다는 잔체적인 분위기를 리드해나갈만한 외교전략과 대외정책을 짜야하지 않을까 싶다.

‘유사입장국(like-minded)’과의 대화와 연대를 강화해야 한다. EU안보연구소는 트럼프 2기를 대비하는 민주국가들과의 연대, 공동전략 모색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호주전략정책연구소도 협력국들과의 양자 및 다자간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미국의 외교정책 변화에 협력 대응하는 글로벌 투자를 강조한다. 한국도 유럽, 호주, 일본 등유사입장국들과 토론과 연대의 공간을 넓혀가는 외교에 투자해야 한다.

반응형
반응형

학업과 직장에서 유럽연합(EU)라는 단어를 수없이 썼음에도, 유럽의회 선거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거나 정확히 어떤 구조로 이뤄지고 있는지 알지 못했었다. 6월 초중순에 있었던 2024년 유럽의회 선거결과에 대한 기사들을 정리하면서, 유럽의회가 어떤 구조이고 정당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알 수 있었다. 학부생 때 동북아시아연합체에 대한 아이디어 글을 썼던 적이 있었는데, 현실적으로 이룰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유럽연합이 그 한계와 문제를 극복하면서 하나의 연합체를 구성했다는 사실이 새삼 대단해보였다.

2024년 유럽의회 선거 결과는 중도가 여전히 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우파 정당의 득세가 확실시 되고 있다는 점이 주요해보인다. 독일과 프랑스 등 유럽연합의 핵심 국가들 내에서 정치적 성향이 보수화되고 있고 그 세력이 커지고 있음은 분명해 보이는데, 그러면서도 다른 국가들에서는 진보세력의 정당들이 의회에서 추가적인 의석수를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좌파, 우파, 중도 이런 정치적 성향의 개념이 사실 한국정치에서는 잘 와닿지 않았는데, 연립정부 수립이 대부분 기본값이 유럽 국가들의 정치를 살펴보면 그러한 특성들이 더 쉽게 다가오는 것 같다. 우파가 득세하든 좌파가 득세하든 중도가 주요한 역할을 차지하든, 중요한 점은 그 과정과 결과에서 우리가 어떤 공통의 지향점을 가질 수 있을지, 서로 다른 문제인식을 관통할 수 있는 핵심은 무엇인지 논의하는 과정일 것이다.

기후변화, 젠더, 이민자, 자국우선주의 등 진보적 가치로 대변되던 것들에 대한 반대하는 유럽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것은 그 과정에서 충분한 소통과 교류가 되지 않았었기 떄문일 수도 있고, 과도한 프레임화로 인해서 해당 이슈들이 특정그룹에게는 손해를 끼친다는 인식을 줬을 수 있다. 가장 예민한 문제는 결국 사람들이 각자의 삶에서 충분한 만족감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파와 보수가 정답일리 없지만, 또 그렇게 한번 사람들의 문제인식을 반영하여 더 설득력 있는 주장과 정책들이 나오면서 정치는 시민들의 위한 풍부함을 생산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무엇보다. 우파와 좌파 양쪽 진영이 극단화되고 있는 현실에서도, 사람들은 또 중도를 원하고 극단성에 대한 위험을 인지하고 있다. 정치는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끊임 없는 경쟁은 영양제가 될 것이다. 물론 성숙한 경쟁이 되어야 겠지만 말이다.

720개 의석 중 극우 정당인 '유럽보수와개혁(ECR)'과 '정체성과 민주주의(ID)'가 의회에서 131석(약 18%)을 차지하게 될 것으로 확인된다. ECR은 69석에서 73석으로, ID는 49석에서 58석으로 더 많은 의석을 확보했다. 반면, 녹색당은 20석을 잃었다.

중도우파인 유럽국민당은(EPP) 186석(약 26%)으로 최대 다수당의 위치를 지켰다. 중도좌파인 사회민주진보동맹(S&D)와 중도 자유당그룹(Renew Europe)은 각각 135석(약 19%)과 79석(약 11%)을 확보했다.

세 중도 정당은 현재 EU ESG 정책의 기틀을 마련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집행위원장을 선출했으며, 이들이 다수당을 차지하면서 재임이 점쳐지기도 했다.

최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이 이끄는 유럽위원회의 주요 정책인 유럽 그린딜에 대한 반발인 그린래시(Greenlash)가 일어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스페인과 프랑스 국경을 막은 농부들의 시위로 이 시위가 유럽연합 정치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린래시 현상은 친환경에 대한 반발을 의미하는 용어다. // 여론조사에 따르면, 그린딜 정책을 약화하거나 기후 목표를 낮추는 정치인에 대한 지지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이 트럼프 전 대통령 시대의 미국처럼 반기후체제로 변화한다는 의미일까? 시민 인식을 살펴보면 그렇지는 않다. 지난 5월 유로바로미터의 조사에 따르면, 유럽인의 4분의 3 이상이 환경 문제가 일상생활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여전히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유로바로미터는 EU집행위원회 산하의 여론조사기관이다.

국가별로 보면 프랑스 집권 르네상스당이 극우 국민연합에 1당 자리를 빼앗겨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조기 총선 실시를 선언했다. 독일에선 극우 ‘독일을 위한 대안’이 집권 사회민주당을 3당으로 밀어내고 2당이 됐다.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등에서도 극우 정당이 선전했다.

뉴욕타임스는 이민, 전쟁, 성 소수자 문제 등 민족주의와 정체성에 관한 의제가 유권자들의 관심사로 부상하면서 우익 정당이 지지 기반을 더욱 확장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 대유행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물가가 치솟아 먹고 살기 팍팍해진 것도 ‘유럽통합’이라는 대의보다 자국 우선주의를 앞세운 극우가 성장하는 토양이 됐다.

친러시아, 친중 성향인 극우·포퓰리즘 정당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유럽 차원의 공동 지원 기조가 흐릿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도 9일 “강한 유럽을 위해 중도층에는 여전히 다수가 버티고 있다”면서 연임 의지를 밝혔다. 그는 극우 정당의 득세를 겨냥해 “우리는 모두 안정에 관심이 있고 강력하고 효과적인 유럽을 원한다”며 다른 중도 정당들에 자신의 위원장 연임 지지를 촉구했다.

유럽의회 선거 결과가 프랑스의 의회 해산과 조기 총선으로 이어지고, 독일 조기 총선 확대로 이어질지 여부 등 불확실성은 남아 있다는 지적이다. 프랑스는 조기 총선을 앞두고 중도 우파 공화당이 극우 정당과 동맹을 예고하면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패배 가능성과 EU 탈퇴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오는 6월 30일 1차 투표, 7월 7일 2차 투표가 진행되면서 선거 결과가 독일, 영국 등 주변국 증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독일은 올라프 숄츠 총리가 낮은 지지율과 사임 압박을 받고 있어 조기 총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극우 정당의 약진은 2019년 선거 결과와 최근 유럽연합 내 정치 흐름에서 어느 정도 예견된 바다. 우리를 당황하게 한 건 녹색당의 후퇴다. 전 세계 기후정책 집행 동력이 감소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크다.

유럽연합의 '그린딜(Green Deal)'은 가열되어 망가지고 있는 지구를 위한 '나침반'이다. 유럽연합의 핵심 정책으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저탄소, 친환경 경제로 전환을 목표로 한다. 2023년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맞서 '그린딜 산업계획'을 발표했다.

기업에 대한 친환경 보조금 확대와 규제 완화, 친환경 산업에 중요한 핵심 원자재의 안정적 공급을 추진 중이다. 유럽의회는 4월 말 의회 임기 내 마지막 본회의에서 탄소중립 산업법을 의결했다. 그린딜 산업 계획과 관련한 주요 법안의 입법을 마무리 지은 것이다.

하지만 일부 언론이 기다렸다는 듯 토출하고 있는 '기후 피로' 이데올로기 전파는 심상치 않다. 보이지 않는 위험이 더 무서운 법이다.

이들의 논조는 "이 난국에 환경이 문제냐'는 주장이다. 녹색당이 몰락했다면서 전쟁 위기와 경제난 등 당면한 현안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민심을 잃었다는 것이다. 인플레와 구직난 등 '먹고사는 문제'로 고생하고 있는 청년층에 대한 미흡한 대응을 몰락의 원인으로 꼽는다.

기후변화가 직관적이지 않고, 익숙하지 않다는 이유로 자꾸 우선순위를 조정하려 든다. 징후가 아니라 피부에 와 닿을 정도면 이미 늦었다는 의미다. 직관을 뛰어넘는 이 전무후무한 재앙을 모면하기 위해선 과학을 신뢰하는 길밖에 없다. 언론도 마찬가지다.

유럽은 난민을 포함한 이민문제, 청년실업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우리나라도 저 출산에 따른 인구절벽, 고령화, 빈부 격차 등 현안이 산재하다. 글로벌노스와 글로벌사우스 모두 나름대로 당면 과제를 안고 있다. 늘 문제는 있기 마련이다. 중요한 건 관통하는 문제를 찾는 것이다. 지구 가열화에 따른 기후변화는 이런 근본적인 고리다. 지구 가열화는 인간이 개입해서 발생한 것이니 결국 인간이 해결해야 한다.

극우 정치 집단인 ‘유럽 보수와 개혁’(ECR)에서도 환경 정책 후퇴 요구가 나오고 있다. 이 집단에서 환경 정책을 맡는 체코의 알렉산드르 본드라 의원은 앞으로 5년 동안 기후정책이 좀 더 “현실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녹색 합의를 운전에 비유한다면, 새로 구성되는 유럽의회는 가속 페달만이 아니라 운전대와 브레이크 페달도 사용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내연기관 자동차 퇴출 계획 재검토가 쉽지는 않을 전망이다. 이 정책은 이번 선거에서 이 당의 1순위 후보로 뛴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지난 몇년 동안 공들여 성사시킨 것이다. 유럽국민당이 이 정책을 뒤집을 경우, 좌파 정당들과의 전면전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폴리티코는 지적했다. 이렇게 될 경우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의 연임도 불투명해진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26일(현지시간), 극우 세력이 약진한 이달 초 유럽의회 선거 결과와 관련해 "독일과 유럽, 세계 여러 나라에서 확고한 신뢰를 회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독일 연립정부를 구성한 사회민주당(SPD·득표율 13.9%)·녹색당(11.9%)·자유민주당(FDP·5.2%)은 지난 9일 유럽의회 선거에서 득표율 31.0%를 기록한 제1야당 기독민주당(CDU)·기독사회당(CSU)은 물론 극우 독일대안당(AfD·15.9%)에도 뒤졌습니다.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강경 좌파 자라바겐크네히트동맹(BSW)이 첫 전국단위 선거에서 득표율 6.2%를 기록하는 등 극단 정치세력에 표가 몰렸습니다.

6월6~9일 치른 유럽의회 선거 결과는 예상과 조금 차이가 났다. 그렇다고 예상을 아예 비껴간 것도 아니다. 극우파가 대거 약진하면서 유럽연합(EU)의 정치 지형 자체를 뒤집을 것이란 우려는 일단 기우에 그쳤다. 기존과 마찬가지로 중도파 진영이 득표율 1·2·3위를 기록하며 무난히 의석 과반을 확보했다.

하지만 프랑스와 이탈리아 등 주요 국가는 물론 벨기에·헝가리·오스트리아·라트비아 등지에서 극우정당이 득표율 1위를 기록했다. 독일과 폴란드 등지에선 극우파가 주류 정당을 밀어내고 득표율 2위로 올라섰다.

유럽의회(EP)는 유럽연합의 국회 격이다. 유럽연합 차원의 입법권·예산권,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에 대한 관리·감독권, 집행위원장을 포함한 주요직 임명 동의권·불신임권을 갖는다. 5년 임기의 유럽의회 의석(전체 720석)은 27개 회원국에 인구 비례로 할당된다. 투표는 각 회원국이 자체 실시하고, 득표율에 따라 할당된 의석을 배분한다. 무소속 출마자가 없는 건 아니지만, 주로 개별 정당이 아닌 유럽의회에서 해당 정당이 참여한 교섭단체(연합정치세력) 차원에서 선거를 치른다. 교섭단체를 구성하려면, 회원국의 최소 4분의 1을 넘는 국가(7개국)에서 당선된 의원 23명을 확보해야 한다. 현 유럽의회(2019~2024년)의 교섭단체는 모두 7개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6월9일 저녁 유럽의회 선거 출구조사 결과가 발표된 직후 대국민 연설에서 이렇게 말했다. 짙은 감색 양복에 검은색 넥타이를 맨 모습이 상복을 입은 상주를 연상시켰다. 한편에 나란히 걸린 프랑스 국기와 유럽연합 깃발은 ‘무언의 외침’으로 보였다. 이날 마크롱 대통령은 하원을 해산하고, 6월30일(결선투표 7월7일) 조기 총선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마크롱 대통령의 소속 정당인 르네상스당(RE)이 참여한 중도파 연합이 유럽의회 선거에서 극우파 RN에 참패한 탓이다.

멜로니 총리가 속한 이탈리아형제당은 2019년 유럽의회 선거 때보다 득표율을 4배 가까이(28.8%) 끌어올리며 약진했다. 집권에 성공한 2022년 총선 때보다 2.8%포인트 높은 수치다. 중도우파부터 극우파까지 멜로니 총리 주도 연립정부에 참여한 보수정당의 득표율 합계도 2022년 총선 때보다 4%포인트 높아진 47%를 기록하며 정권 기반을 더욱 탄탄히 했다. 2004년 71.72%를 기록한 이탈리아의 유럽의회 선거 투표율은 20년 만인 2024년 48.31%까지 떨어졌다.

유럽연합 내부의 역학관계는 멜로니 총리의 ‘가치’를 더욱 높이고 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은 유럽연합 정상회의의 지명을 거쳐, 유럽의회 절대다수(과반+1표)의 승인을 받아 선출한다. 유럽연합 정상회의는 27개 회원국 지도자로 구성되는데, 현재 13명이 EPP 소속이다.

여기에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숄츠 독일 총리까지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의 재선을 지지하고 있다. 유럽연합 정상회의의 지명은 어렵지 않게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문제는 유럽의회의 승인이다. 중도세력 3개 정파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다면 무난히 통과될 수 있지만, 사정이 그리 녹록지 않아 보인다. 2019년 초선 도전 때도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최저기준(374표)에서 단 9표를 더 얻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이 선거 승리 직후 “좌우 양극단과 맞서 싸울 것”이라면서도, 멜로니 총리 쪽과 연결 고리를 강화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이탈리아형제당은 이번 선거에서 유럽의원 24명을 당선시켰다. 10대 중반부터 ‘네오파시스트 청년운동’에 참여한 멜로니 총리가 유럽연합의 새로운 ‘킹메이커’라도 된 모양새다.

 

지난 6월 6일부터 9일까지 제10회 유럽의회 선거가 있었다. 이 선거에서 당선된 720명의 다국적 의원들은 앞으로 5년간 자국이 아닌 유럽을 대변하는 의원으로 활동한다. 이에 새롭게 선출된 의원들은 의정활동을 위해 유럽연합의 집행위원회가 있는 벨기에의 브뤼셀, 유럽사법재판소가 있는 룩셈부르크, 유럽중앙은행이 있는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등 유럽 전 지역을 다니며 의정활동을 벌일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주로 모이는 곳은 프랑스의 스트라스부르다. 유럽의회 본부가 소위 유럽연합의 수도로 불리는 브뤼셀이 아닌 스트라스부르에 있기 때문이다.

이 생소한 정치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우리 한번 상상력을 동원해 보자.

동아시아에서 한국, 북한,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 6개국이 아시아연합(Asian Union)을 만들었다고 가정해 보자. 특정 시점에 이 6개국의 리더들이 모여, 오랫동안 지속된 적대적인 관계와 영토분쟁을 해소하고자 역내 평화와 번영을 목표로 아시아연합을 출범시켰다. 이후 50여 년의 시간 동안 통합을 발전시켜 유럽연합처럼 동일한 화폐를 사용하고, 5년마다 아시아연합 의원을 선출하기에 이른다. 이에 이 아시아연합의 집행위원회는 북한의 개성에, 공용화폐를 관리하는 중앙은행은 중국의 베이징에, 사법부에 해당하는 사법재판소는 필리핀의 마닐라에, 입법부에 해당하는 의회는 대만의 타이베이에 두었다고 생각해 보자.

 

이렇게 권한이 커지는 아시아연합 의회 의원들의 규모는 국가별 인구에 비례해 산정한다. 그러나 중국의 인구와 대만의 인구 차이가 너무 크기 때문에 가중치를 두어 특정 국가의 영향력이 지대해지는 것을 제도적으로 제한한다. 이와 함께 의회 의원을 선출하는 투표 방법은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를 채택하고, 의회 구성은 국가별이 아닌 각 정당의 이념별로 구성한다. 예를 들어, 한국의 더불어민주당 출신의 의원들과 일본의 민주당 출신의 의원들이 아시아연합 의회에서는 이념에 따라 ‘중도좌파당’ 소속으로 들어간다.

이 아시아연합을 상상하면서 스스로도 너무도 터무니없게 느껴졌다. 그러나 이 상상은 유럽통합, 유럽연합 유럽의회의 실제 역사다. 유럽통합은 실제 2차 세계대전의 참화를 경험한 프랑스와 독일이 중심이 되어 알자스 로렌지역(지금의 유럽의회 본부가 있는 스트라스부르 지역이다)에서 주로 생산되는 전쟁물자인 석탄과 철강을 공동으로 관리하는 기획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유럽의 유력 정치인들과 기술관료들에 의해 발전되었다. 이후 유럽의 리더들은 더욱 유럽 시민들의 의사를 반영해야 한다는 내부 목소리를 제도적으로 발전시킨 것이 1979년부터 도입된 유럽의회의 직접선거다.

2024년 유럽의회 전체 선거 결과를 보면 좌파, 중도좌파 그룹의 의석 수가 감소하고 중도우파 및 극우 그룹의 의석 수가 증가했다. 특히 Greens/EFA의 의석 수가 감소했는데 이를 두고 녹색당이 퇴조했다는 식으로 분석하는 것은 유럽정치의 다층적이며 지역적 측면을 간과한 측면이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극우의 약진에도 불구하고 중도우파, 중도좌파를 표방하는 EPP와 S&D가 여전히 1, 2위 교섭단체 지위를 유지했다. 이들이 다수파를 형성하기 위해 극우 성향으로 유럽회의주의를 내세우는 ECR 및 ID와 연합하는 것은 유럽연합이 추구하는 연합정치적 맥락에서 합리적이지 않다. 결국 EPP와 S&D의 입장에서는 중도적인 Renew 또는 환경정책을 주도하는 Greens/EFA와 협력하는 것이 합리적 선택이다.

한편 유럽연합 회원국의 녹색당들은 2019년에 비해 2024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전체 의석 수가 감소했으나 오히려 의원을 배출한 회원국 수가 증가했다. 특히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루마니아, 슬로베니아에서 처음으로 의석을 얻었고 스페인, 스웨덴, 네덜란드, 덴마크에서 의석이 증가했다. 이들 회원국의 녹색당들은 고무된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선거 등 다음 선거 준비에 나설 참이다.

프랑스 조기 총선을 앞두고 지지율 선두를 달리고 있는 극우 정치인이 이슬람 이민사회에 대한 '문화 전쟁'을 방침을 천명했습니다.

프랑스 국민연합(RN)의 조르당 바르델라 대표는 2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향후 이슬람 이민사회를 겨냥한 법률 제정에 나서겠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바르델라 대표에 따르면 이 법안에는 프랑스에서 활동하는 이슬람 종교지도자 중 극단적인 성향을 보이는 인물에 대해선 추방령을 내리고, 해당 이슬람 사원도 신속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담길 예정입니다.

또한 이슬람 여성복장인 부르카나 니캅처럼 베일로 여성의 얼굴 등 신체부위를 가리는 행위를 금지하는 조항도 담기게 됩니다.

프랑스가 때 이른 총선거로 뜨겁다. 6월 9일 밤 9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돌연 의회를 해산하고 조기 총선을 선포했기 때문이다. 그날 실시된 유럽의회 선거에서 마크롱 정부를 지지하는 선거연합 '르네상스'는 14.60%를 득표해 2위에 머문 반면 극우 국민행진(RN)은 31.37%를 얻으며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실제로 지금까지 모든 여론조사에서 국민행진이 1위를 달리는 중이다. 속내를 알 수 없는 젊은 대통령의 도박 탓에 이제 프랑스는 극우 내각 출범만 기다려야 하는 운명인 것 같다.

다만 한 가지 변수는 있다. 역시 모든 여론조사에서 국민행진을 턱밑까지 추격하고 있는 것으로 나오는 2위 주자가 바로 그 변수인데, 뜻밖에도 이 도전 세력은 마크롱 대통령을 지지하는 선거연합 '앙상블'이 아니다. 프랑스의 거의 모든 좌파 정치-사회 세력이 총집결한 '신인민전선(NFP)'이다.

국민행진은 국민전선(FN)이 2018년에 새로 채택한 당명이다. 1972년에 장-마리 르펜이 창당한 국민전선은 지난 50여 년간 꾸준히 반이민, 반무슬림 선동을 펼치며 하위 중간계급과 전통적 노동계급에 파고들었다. 전 세계적으로 극우 포퓰리즘 바람이 분 2010년대에는 장-마리 르펜의 딸인 마린 르펜이 국민전선을 이끌며 이 당을 유럽에서도 가장 강력하고 '현대적인' 면모의 극우정당으로 탈바꿈시켰다. 그런 시도의 일환으로, 2015년에는 '낡은 극우' 이미지가 강한 아버지를 당에서 쫓아내기도 했다.

마린 르펜이 대선 결선투표에서 40% 넘는 득표를 한 2022년에는 국민행진의 '현대화'가 한 단계 더 진전되었다. 대선 직후 치른 총선에서 국민행진 의석이 8석에서 89석으로 10배 이상 늘어나자 마린 르펜은 의원단을 이끄는 데 주력하고자 대표직을 내려놓았다. 대표 자리를 물려받은 이는 부대표 조르당 바르델라였다. 파리-소르본 대학을 중퇴한 바르델라는 1995년생으로 아직 서른이 안 된 멀끔한 청년이다. 더구나 이민 반대와 더불어 가장 관심을 갖는 사안이 환경 문제 대응이라니, 페미니즘이나 생태주의를 국수주의와 접합하는 희대의 곡예를 벌여온 마린 르펜에게는 최상의 후계자가 아닐 수 없다.

 

사실 현 대통령 마크롱은 국민행진의 집권을 막아야 한다는 단 한 가지 명분에 의지해 대통령 후보로 추천되고 두 차례나 대선에서 승리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진실은 오히려 정반대다. 마크롱 대통령은 신자유주의 정책의 때늦은 남발을 통해 극우 포퓰리즘 선동이 먹혀들 기반만 넓혀주었다. 1기 집권 때는 부유세를 철폐하는 바람에 부족해진 세수를 탄소세라는 미명 아래 영세 자영업자들로부터 거둬들이려다 '노란 조끼 운동'을 불러왔다. 격렬한 시위에 나섰던 중소도시 주민들 가운데 일부는 급진좌파 지지자가 되기도 했지만, 더 많은 수는 국민행진에 투표함으로써 기존 질서에 대한 불만을 표출했다. 오래 전부터 미국이나 영국에서 신자유주의가 극우파 득세의 연료가 되어온 과정이 프랑스에서는 최근 들어 더욱 집약적으로 전개된 것이다.

여론조사에서 신인민전선은 국민행진과 3-5%의 격차를 보이며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유럽의회 선거에서 투표율이 51.85%에 머물렀고 따라서 투표장에 나오지 않는 정치 실망층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면 신인민전선의 극적인 역전도 가능하다는 분석도 있다. 또한 1차 투표, 2차 투표로 나눠 복잡하게 치러지는 프랑스 총선이기에 단순 지지율만으로 승자를 점치기 힘든 측면도 있다. 그럼에도 여론조사에서 국민행진이 선두를 놓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은 결코 만만히 볼 문제가 있다.

프랑스에서는 대통령이 다수당이나 연정의 지지를 받는 인물을 총리로 임명하는 것이 관례다. 이달 6~9일 치러진 유럽의회 선거에서 집권 여당은 극우의 상징인 마린 르펜이 이끄는 RN에 참패했다. 정치 생명 최대 위기를 맞은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극우 돌풍을 잠재우고자 의회 해산과 조기 총선이라는 깜짝 승부수를 던졌다. 그러나 각종 여론조사에서 마크롱의 패색이 짙어진 상황이어서 이번 선거로 대통령과 총리의 당이 다른 ‘동거 정부’가 구성될 가능성이 커졌다.

프랑스는 오는 30일 1차 투표에 이어 다음 달 7일 결선을 치른다.

여론조사에서는 RN, 신민중전선(NFP·좌파 연합), 앙상블(여당 연대세력) 순으로 의석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집권당의 패배가 확실시된다. 앞서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 24일 “극우나 극좌 정파의 총선 승리는 내전을 불러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