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환경, 사회, 지배구조)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
재무성과와 이윤만을 추구하던 기업들이 기업 경영에 있어서 환경, 사회/인권, 거버넌스 등 비재무적이지만 지속가능한 가치를 추구하겠다는 것
이익중심 자본주의에 대한 회의와 코로나 팬데믹으로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한 불안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기업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음
ESG를 투자기준으로 삼겠다고 선언한 투자사/연금이 늘어나고, 선진국 중심의 ESG 규제 강화, 기업의 목적과 가치에 민감한 MZ세대 소비자들의 요구
1980년대부터 기업발 대참사가 이어지면서 기업 경영이 환경과 사회에 해를 끼치지 말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됨에 따라 이후 관련 글로벌 규약이 만들어짐
기업들이 이에 부응하여 사회적 책임 보고서를 발간하고, 윤리경영/지속가능경영/사회적 책임(CSR)의 형태로 지속해왔음.
지속가능성이 국제사회에서 주요 의제로 등장한 것은 1987년 유엔환경계획(UNEP)이 채택한 '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 일명 브룬트란트 보고서에서 지속가능발전이 제시되면서 부터임
1989년 알래스카의 엑손 발데스호 원유 유출 사건이 큰 이슈가 됨
기업경영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학과 공개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발데즈 원칙'이 발표되었음. 여기에 UNEP이 후원하면서 ESG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글로벌 보고 이니셔티브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가 발족했음
2015년 유엔과 193개국 정부가 만장일치로 합의한 지속가능발전목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가 채택. 17개의 목표와 169개 세부 목표로 제시.
ESG를 실천하는 기업은 SDGs를 경영전략으로 포함하는 것, ESG의 3가지 요소는 SDGs의 17개 목표와 연관성이 높음. SDGs의 목표가 세부적이고 구체적이기 때문에 기업의 ESG 활동 및 투자의 목표를 삼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
지속가능성의 대표 선두기업인 유니레버는 지속가능경영목표를 설정할 때 SDGs 목표를 지표에 활용하고 있음. 실제로 네슬레, 나이키, 펩시, 3M, 존슨앤존슨과 같은 수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기업의 지속가능보고서에 SDGs의 몇번 목표 달성을 위해 전략을 수립하고, 수행하고 있는지 명시하며, 이를 ESG 보고서에도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음.
LGT Capital Partner에서 진행한 투자자 인터뷰 보고서에 따르면, "ESG 요소를 SDGs목표와 연결하면 기업의 지속가능한 투자와 경영이 좀 더 성과지향적이 되고, 그 영향력이 측정가능해진다고"다고 밝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