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인 한경 TESAT
한경 테샛, 국가공인 한경 TESAT, 테샛, 주니어 테샛, 한국경제신문, 경제이해력검증시험, 문제유형, 평가방법, 신청방법 등 제공
www.tesat.or.kr
소비자잉여(consumer surplus)는 소비자가 시장을 통한 거래에서 얻는 이득이다. 소비자가 어떤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대 금액(지불용의)에서 구입자가 실제로 지불한 금액을 뺀 나머지로 구한다.
이에 비해 생산자잉여(producer surplus)는 생산자가 어떤 재화나 서비스를 판매할 때 최소한 받아야겠다고 생각하는 금액과 실제로 받은 금액의 차이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상품을 사고파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를 합친 것을 교환에서 얻을 수 있는 사회적잉여(social surplus)라고 부를 수 있다. 사회적잉여는 수요와 공급이 균형 상태일 경우 또 일반적으로 시장구조가 완전경쟁일 때 극대화된다.
소비자잉여
[ consumer's surplus , 消費者剩餘 ]
요약 어떤 상품에 대해 소비자가 최대한 지불해도 좋다고 생각하는 가격(수요가격)에서 실제로 지불하는 가격(시장가격)을 뺀 차액.
A.마셜은 '소비자가 그 물건 없이 지내기보다는 그 정도의 돈을 지불해서라도 사야 되겠다고 생각하는 가격과, 그가 실제로 지불하는 가격의 차액'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는 소비자잉여를 수요곡선 아래에서 가격선을 웃도는 부분의 면적으로 표시하였다.

[그림 1]에서 어떤 재(財)에 대한 수요곡선을 dd로 하고, 소비자가 Op0의 가격으로 Oq0의 양을 수요한다고 할 때, 면적 Odrq0는 소비자 만족의 총체를 가리키는 화폐액, 면적 Op0rq0는 소비자가 실제로 지불하는 화폐액, 양자의 차인 면적 p0dr는 소비자잉여를 나타낸다.
소비자잉여에 관한 마셜식(式)의 도해는 화폐의 한계효용이 일정하다는 가설에 근거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무차별곡선을 이용하면 기수적(基數的) 효용의 가측성(可測性)을 전제로 하지 않고도 소비자잉여를 표현할 수 있다.
[그림 2]에서는 수평축에서 X재의 양, 수직축에서는 화폐의 양을 알 수 있다. 어느 소비자의 소득을 OM, 이 소득으로 구입할 수 있는 X재의 최대량을 OL이라 하면, 직선 ML과 무차별곡선 I2의 접점 P가 소비자의 균형위치이다. 그는 PF에 해당하는 화폐액을 지불하고 X재의 ON량을 구입하였다.
한편 점 R이 점 M과 같은 무차별곡선 I1 위에 있다고 하면 RF에 해당하는 화폐액은 소비자가 X재의 ON량 없이 지내기보다는 그것을 위하여 지불하기를 주저하지 않는 최고액을 나타낸다. RF와 PF의 차인 RP는 소비자잉여를 가리킨다. 소비자잉여의 개념은 생산자잉여와 함께 A.마셜과 J.R.힉스에 의해 주창된, 경제후생의 정도를 측정하는 데 중요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소비자잉여 [consumer's surplus, 消費者剩餘] (두산백과)
밴드왜건효과
[ band wagon effect ]
요약 유행에 따라 상품을 구입하는 소비 현상. 편승효과(便乘效果) 혹은 악대차효과(樂隊車效果)라고도 한다.
유행에 따라 상품을 구입하는 소비 현상을 뜻하는 경제 용어로, 곡예나 퍼레이드의 맨 앞에서 행렬을 선도하는 악대차(樂隊車)가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효과를 내는 데에서 유래한다. 특정 상품에 대한 어떤 사람의 수요가 다른 사람들의 수요에 의해 영향을 받는 현상으로, 편승효과라고도 한다.
미국의 하비 라이벤스타인(Harvey Leibenstein, 1922∼1994)이 1950년에 발표한 네트워크효과(network effect)의 일종으로, 서부개척시대의 역마차 밴드왜건에서 힌트를 얻은 것이다. 밴드왜건은 악대를 선두에 세우고 다니는 운송수단으로 요란한 음악을 연주하여 사람들을 모았으며, 금광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을 들으면 많은 사람들을 이끌고 몰려갔다. 이러한 현상을 기업에서는 충동구매를 유도하는 마케팅 활동으로 활용하고, 정치계에서는 특정 유력 후보를 위한 선전용으로 활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밴드왜건효과 [band wagon effect] (두산백과)
스놉 효과
[ snob effect ]
특정상품에 많은 사람이 몰리면 희소성이 떨어져 차별화를 위해 다른 상품을 구매하려는 현상을 말한다. 좋게 말하자면 우아한 백로처럼 남들과 다르게 보이려는 심리를 반영한다고 해서 백로효과라고 하지만 비판적으로는 "속물 효과" 혹은 속물을 뜻하는 영어인 'snob'을 사용하여 스놉효과 (snob effect)라고도 한다.
흔히 희귀한 미술품, 고급가구, 의류나 한정판으로 제작되는 재화에서 이런 효과를 볼 수 있다. 밴드왜건효과를 주장한 미국의 하비 라이벤스타인이 발표한 이론이지만 밴드왜건 효과와는 상반된 의미를 갖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스놉 효과 [snob effect] (한경 경제용어사전)
생산기술
투입요소(inputs) or 생산요소
• 공장, 기계, 노동력, 원자재 등 생산과정에 투입되는 모든 것
가변투입요소
- 상품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투입량도 따라서 증가하게 되는 투입요소
- 노동력, 원자재 등
고정투입요소
- 상품 생산량과 관계없이 투입량이 언제나 일정한 수준에 유지되는 투입요소
- 공장, 기계 등
생산함수(production function)
• 𝑸 = 𝒇 (𝑳, 𝑲)
• 일정한 기간 동안 사용한 여러 생산요소의 양과 이를 통해 그 기간 동안에 생산할 수 있는 최대한의 상품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
- 투입량과 산출량은 모두 유량 개념
- 산출량은 생산 가능한 최대한의 상품량
• 주어진 시점에서의 생산기술의 특징을 대표
가변투입요소가 하나일 때의 생산과정
총생산(total product)
- 일정한 양의 가변투입요소를 투입했을 때 생산되어 나올 수 있는 상품의 양
- 가정: 노동은 가변투입요소, 자본은 고정투입요소
- 𝑸 = 𝒇 ( 𝑳 , 𝑲 )
총생산곡선
- 노동 투입량이 변화함에 따라 총생산이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를 보여줌

한계생산(marginal product)
• 가변투입요소를 한 단위 늘려 투입한 결과 얻을 수 있는 상품 생산량의 증가분
• 총생산곡선 위 접선의 기울기로 한계생산곡선 도출
한계생산체감의 법칙(수확체감의 법칙)
• 가변투입요소의 투입량을 계속 늘려나가면 어느 단계에 가서는 한계생산이 줄어들기 시작하는 현상

가변투입요소가 둘일 때의 생산과정
• 이제는 노동과 자본이 모두 가변투입요소라고 가정
• 등량곡선(isoquant)의 도출
- 똑같은 상품의 양을 생산할 수 있게 만드는 생산요소의 조합들로 구성된 집합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
* 소비자이론에서의 무차별곡선과 비슷
- 하나의 생산량에 하나의 등량곡선 대응
- 등량곡선을 모아 생산무차별지도 만들 수 있음
* 생산무차별지도는 생산기술의 특성 반영 도출

등량곡선의 성격
• 소비자의 무차별곡선이 갖는 네 가지 성격 공유
• 등량곡선(isoquant)의 도출
(1) 우하향하는 모양
(2) 원점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더 높은 생산량
(3) 두 등량곡선은 교차하지 않음
(4) 원점에 대해 볼록한 모양
• 구체적인 생산수준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소비자의 무차별곡선과 다름
등량곡선의 성격
• 등량곡선은 원점에 대해 볼록한 모양 → 한계기술대체율이 일정한 방향으로 변화한다는 뜻
• 등량곡선 기울기의 절대값 → 한계기술대체율(marginal rate of technical substitution, RTS)
- 등량곡선 위에서의 두 투입요소 대체 비율
- 한계기술대체율이 2라면 자본 투입량 2단위를 줄이고, 노동 투입량 1단위를 늘리면 생산량 불변 의미
- 한계생산의 비율과 같은 값을 가짐 → 𝑹𝑻𝑺 = 𝑴𝑷𝑳 / 𝑴𝑷K
한계기술대체율 체감의 법칙 (law of decreasing marginal rate of technical substitution)
• 원점에 대해 볼록한 모양 → 등량곡선 위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여감에 따라 한계기술대체율이 점차 작아지는 현상 나타남
• 오른쪽으로 갈수록 일정한 양의 자본투입 감소가 점점 더 큰 양의 노동투입 증가로 대체되어야 함을 요구
- 노동과 자본이 완전하게 대체 가능한 생산요소가 아니기 때문

등비용곡선(iso-cost curve)
• 주어진 총지출의 한도 안에서 구입할 수 있는 노동과 자본의 조합을 그림으로 옮겨 놓은 것

• 등비용곡선의 기울기는 노동과 자본의 상대가격 비율 의미
• 𝑪 = 6천만원, 𝒘 = 20만원, 𝒗 = 30만원 가정하고 등비용곡선 도출


비용극소화의 조건

단기에서의 생산비용
• 고정비용(fixed cost, FC )
- 고정투입요소와 관련해 발생하는 비용
- 생산량과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크기
• 가변비용(variable cost, VC )
- 가변투입요소와 관련해 발생하는 비용
- 생산량이 커짐에 따라 함께 커짐
• 총비용(total cost, TC )
- 고정비용과 가변비용을 합친 것

한계비용과 평균비용
한계비용(marginal cost, MC )
- 상품 생산량을 한 단위 증가시키는데 추가적으로 드는 비용
- 고정비용과는 무관
- 가변비용과만 관련
평균비용(average cost, AC )
- 상품 한 단위당의 생산비용
- 고정비용도 관련 있음

생산가능곡선 : 선택과 기회비용 | click 경제교육 | KDI 경제정보센터
어느 선생님께 경제수업을 듣던지 아마 기초경제학 수업이라면 첫 시간은 자원의 희소성과 선택의 문제가 주제가 되지 않을까 싶다. 물론 아주 예전에는 희소성이나 선택 그리고 이로부터 수반
eiec.kdi.re.kr
생산가능곡선
희소성으로 인한 선택의 문제를 간편하게 보여주는 것이 생산가능곡선이다. 생산가능곡선은 주지하다시피 어떤 경제가 주어진 기술수준 하에서 가용한 자원을 모두 동원하여 생산했을 경우 얻게 되는 상품들의 생산량의 조합이다.

다음 [그림 1]이 일반적으로 교과서에서 보여주는 두 재화 경우의 생산가능곡선이다. 이 생산가능곡선이 시사하는 것은 a점에서 b점, c점, d점 그리고 e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기울기가 가팔라진다는 점이다. 즉, 옷을 더 생산하면 할수록 그로 인해 포기해야 하는 식량의 규모는 점증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를 생각해 보자. 경제 내의 생산자원은 사실 종류나 기능이 매우 다양하다. 토지라고 해도 토양이 농사짓기에 적합한 것이 있는가 하면 황무지와 같은 토지도 있다. 노동력 역시 기계 조작이 능숙한 노동이 있기도 하며 단순 근육노동에 적합한 것이 있을 수 있다.
물론 지식이 많이 축적되어서 연구와 상품 개발에 유리한 노동력도 있다. a점에서와 같이 모든 자원을 식량생산에만 투입한다면 그 중에는 분명히 옷을 생산하기에 더 적합한 생산자원도 함께 사용하고 있다는 뜻이며 만일 a점에서 b점으로 생산 구성을 바꾼다면 그동안 식량생산에 투입되었던 옷 생산에 유리한 자원이 해방되면서 본격적으로 옷 생산에 활용될 것이다.
특히 주목할 것은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할 때 해방되는 자원은 옷을 만들기에 적합한 자원일 것이며 그 중에서도 가장 옷 생산에 효과적인, 역으로 말하면 식량생산에 가장 소질이 적은 자원일 것이다. 여전히 b점에서는 식량생산에는 소질이 적고 오히려 옷 생산에 유용한 자원 사용되고 있다.
이제 b점에서 c점으로 생산 구성을 바꾸면 옷 생산에 소질이 있는 자원이 이동할 것이지만 전 단계에서와 같은 정도의 생산성은 보이지 못하는 자원일 것이다. 그 결과는 무엇인가?
식량을 동일한 양으로 줄인다 해도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할 때의 옷 생산량보다 b점에서 c점으로 이동할 때의 옷 생산량이 감소하는 것이다. 이런 과정은 전체 생산가능곡선에 대해 적용된다.2)
http://contents.kocw.or.kr/document/lec/2011_2/gnue/Economics/03.pdf
총생산물(Total Product, TP)
√ 생산함수에서 Q는 일정기간 동안 노동 (L)과 자본(K)를 투입했을 때 산출되는 최대산출량을 나타냄
√ 총생산물이 C점(L₂수준) 까지는 증가하다 극대에 이른 뒤부터는 감소함

한계생산물(Marginal Product, MP)
√ 생산함수에서 노동의 투입을 증가시킴에 따라 TP의 증가분을 말함(그림 5.1(a))
√ TP곡선의 기울기에 해당되며, TP곡선을 미분한 값이 됨
√ 총생산물(TP)은 K가 일정할 때 L을 증가 시키면 A점까지는 체증하다가, C점까지는 체감. C점부터는 감소함(그림 5.1)

MPL(노동의 한계생산물)

********************
평균생산물(Average Product, AP)
√ 총생산량을 투입 노동자 수로 나누면 노동자 1명당 몇 개를 생산했는지 알 수 있으며, 이것을 말함
√ 노동량을 L₁이상 투입하면 감소하게 됨(그림 5.1)
한계생산물 체감의 법칙 (law of decreasing marginal products)
√ 한 생산요소(자본)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생산요소(노동)를 증가 시킬 때, 일정 단계가 지나면 그 가변생산요소의 한계생산물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현상(그림 5.1)
√ 수확체감의 법칙(law of diminishing returns)이라고도 함
총비용(Total Cost, TC)
TC = FC + VC
√ FC(고정비용, fixed cost)는 생산 여부에 상관없이 들어가는 비용을 말하며, VC(가변비용, variable cost)는 노동이나 원자재 등의 가변투입요소로 발생하 는 비용을 말함
평균비용(Average Cost, AC)
AC = TC / Q
총비용을 총생산물로 나눈 것
한계비용(Marginal Cost, MC)

√ 생산량을 1단위 증가시킬 때 추가적으 로 증가하는 비용을 말함
√ 생산자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용
√ MC곡선은 AC곡선의 최저점을 통과하고, AC가 하락할 때는 MC는 AC보다 밑에 있고, AC가 증가할 때는 MC는 AC보다 큼 (그림 5.2)
√ 한계비용이 증가하는 것은 수확체감의 법칙이 작용하기 때문

1. 총생산곡선(total product curve)
1) 의미: 생산요소 투입량과 산출량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 출처: , 법문사
2) 한계생산물(marginal product)
- 생산요소(중 가변투입요소; 예-노동)의 투입량을 한 단위 증가시킬 때 창출되는 산출량의 증가분
3) 한계생산(물) 체감의 법칙(law of diminishing marginal product)
- 생산요소(중 가변투입요소)의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요소의 한계생산물이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남
- 수확 체감의 법칙(law of diminishing marginal returns)이라고도 함
- 연역적으로 도출한 명제가 아니라 경험을 일반화해서 얻은 법칙임
- 초기에는 오히려 한계생산 체증이 나타나지만, 요소 투입량이 일정 수준을 넘어 서면서부터 체감하기 시작해 전체적 추세로 볼 때 체감한다는 것임
1) 고정비용(fixed cost)
- 산출량에 따라 변하지 않는 비용. 즉, 고정투입요소(fixed input)과 관련된 비용
- 생산량과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크기를 유지함. 즉, 아무 것도 생산하지 않아도 계속 지출됨
- 임대료, 공장 건설비, 기계 구입·설치비, 사무·관리직 임금 등이 이에 해당
2) 가변비용(variable cost; 경영학의 회계 용어로는 ‘변동비’)
- 산출량에 따라 변하는 비용. 즉, 가변투입요소와 관련된 비용
-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함
- 원자재 구입비, 생산직 임금 등이 이에 해당
※ 주의: 위 구분은 단기 기준으로 본 것이며, 장기적으로 볼 때 모든 투입요소는 가변투입요소임. 즉, 모든 비용은 가변비용임 (* 장·단기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기간은 산업마다 다름)
3) 평균비용과 한계비용
① 평균총비용(Average Total Cost) - 총비용을 산출량으로 나눈 것; ATC = TC / Q
② 평균고정비용(Average Fixed Cost) - 고정비용을 산출량으로 나눈 것; AFC = FC / Q
③ 평균가변비용(Average Variable Cost) - 가변비용을 산출량으로 나눈 것; AVC = VC / Q
④ 한계비용(marginal cost) - 산출량을 한 단위 증가시킬 때 총비용의 증가분; MC = ∆TC / ∆Q
- 한계비용은 체증한다. (* 한계생산 체감과 근본적으로 같은 의미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