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공부 ; 틱톡 금지조치 / TESAT 48회 (경제) 20.08.07


 

 

TikTok: Trump says he will ban Chinese video app in the US

 

 

Trump says he will ban TikTok in the US

US security officials fear the Chinese-owned app could be used to collect Americans' personal data.

www.bbc.com

 

 

트럼프 “중국 틱톡 앱, 미국에선 사용 못한다”

미국 정부가 세계적 인기를 얻고 있는 중국의 소셜미디어 애플리케이션(앱) 틱톡을 제재하기로 했다. 틱톡에 대한 제재는 중...

www.hani.co.kr

5차_ 영작/번역

 

 

한국경제신문 TESAT 48회 (경제공부)

 

매스티지

 

대중(Mass)과 명품(Prestige Product)을 합성한 용어다. 대량으로 판매되지만 질은 고급인 상품을 말한다. 미국 경영잡지인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처음 사용했다. 과거 소수의 부유층만 구입할 수 있었던 전통적인 명품과는 달리 중산층 소비자들도 구입 가능한 비교적 저렴한 새로운 명품 브랜드가 매스티지 상품이다. 매스티지 제품의 특징으로는 비교적 고가이면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소비층에게 동질감과 개인적 자긍심을 주고, 가격에 적합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총수요(AD)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 생산물(실질 GDP)에 대한 수요로 가계, 기업, 정부, 외국이 구입하고자 하는 재화의 양이다. AD=C+I+G+(X-M)으로 나타낸다. 각각의 물가 수준에서 실질 GDP에 대한 수요의 크기를 나타낸 곡선이 총수요곡선이다. 물가 수준이 주어져 있을 때총수요의 구성 요소인 소비, 투자, 정부 지출, 수출, 수입, 조세 등 일부가 변화하면 총수요곡선이 이동한다.

 

정부 지출 감소는 총수요곡선을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총공급곡선이란 각각의 물가 수준에서 기업 전체가 생산하는 재화의 공급량을 나타낸 곡선이다. 총공급곡선의 이동 요인으로는 생산 요소의 가격 변화, 기술 수준, 인구 증가 등이 있다. 신기술 개발은 총공급곡선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트럼프 행정부

 

 국제관계를 제로섬 게임으로 보며, 미국 우선주의 대외정책을 실시하는 배경에는 ‘다른 국가의 이익은 자국에 손해’라는 인식이 깔려있다. 소위 미국 중심의 보호무역 정책을 총동원해 미국상품 수출은 늘리고 타 국가로부터 수입은 줄인다는 관점과 일치하는 사상이 중상주의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무역확장법 232조가 활용된다. 보기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정책과 유사한 것은 중상주의, 무역확장법 232조, 제로섬게임이다. 이와 반대로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과 데이비드 리카도의 비교우위의 개념은 자유무역을 통한 국가 간 번영을 주장하고 있다.

 

베네수엘라

 

만성적인 재정적자와 통화가치 하락으로 해외채권에 대한 상환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시기 해외 투자자들이 정부부채의 상환능력을 의심하면 통화에 대한 투기적 공격이 발생한다. 투기적 공격이 있을 때 외환보유고가 충분치 않으면 통화위기를 겪는다.

 

그리고통화가치 하락에 따라 수입물가가 오르며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 중앙은행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를 올린다. 금리가 오르면 기업의 재무 상태를 악화시켜 기업에 대출해준 은행 등의 금융기관이 도산하게 되어 금융위기를 겪게 된다. 확대통화정책은 인플레이션을 심화시켜 위기를 더욱 확대한다.

 

PER은 주가수익비율이다. 현재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눠 구한다. PBR은 주가순자산비율이다. 주가가 주당 순자산의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지를 보기 위한 주가 기준의 하나로 주가를 주당 순자산(자본금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으로 나눠 구한다.

 

TOBIN’S Q는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자산가치를 평가할 때 사용한다. 기업의 시장가치(시가총액)를 기업 실물자본의 대체비용(순자산가치)으로 나눠 구한다. CSM은 사회적 책임경영(CSR)이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동일한 개념이다.

 

대공황

 

 1929년 10월 뉴욕증시 대폭락으로 시작되어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 전반의 불황을 발생시켰다. 대공황의 시작은 주식시장의 붕괴로 시작되었지만, 미국의 과잉생산도 문제의 원인이었다. 하지만 허버트 후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은 대공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후버 정부의 대표적인 보호무역정책으로는 스무트·홀리 관세법이다. 이 법은 미국이 대공황 초기인 1930년에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제정한 관세법으로 2만여 개 수입품에 평균 59%, 최고 400%의 관세를 부과하였다. 이로 인해 촉발된 국가 간 무역전쟁이 대공황을 더 심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재정수지

 

 정부가 거둬들인 재정의 수입(세입)과 지출(세출)의 차이를 말한다. 수입이 지출보다 많으면 재정흑자, 반대로 지출이 수입보다 많으면 재정적자다. 재정적자일 경우, 정부는 부족분을 메우기 위해 국채를 발행하여 국가부채가 증가한다.

 

재정수지는 계산에 포함되는 항목에 따라 통합재정수지, 운영재정수지, 기초재정수지 등으로 나뉜다. 균형재정은 향후에 국가부채를 증가시키지는 않지만 기존에 쌓여있는 국가부채를 경감시키지는 못한다. 따라서 국가부채를 줄이기 위해서는 상당기간 동안 재정흑자를 이루어야 한다. 이자율 하락은 기존 부채에 대한 이자부담을 줄여 재정수지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

 

 

국가공인 한경 TESAT

한경 테샛, 국가공인 한경 TESAT, 테샛, 주니어 테샛, 한국경제신문, 경제이해력검증시험, 문제유형, 평가방법, 신청방법 등 제공

www.tesat.or.k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