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공부 ; 위구르족 (BBC) / TESAT 49회(경제) / 20.08.06


 

 

영자기사 : China Uighurs: A model's video gives a rare glimpse inside internment BBC NEWS

 

 

Uighur model sends rare video from Chinese detention

Seven months ago Merdan Ghappar disappeared in Xinjiang. Then his family started getting messages.

www.bbc.com

 

 

잘나가던 쇼핑몰 모델이 공개한 신장 위구르 수용소 내 희귀 영상 - BBC News 코리아

잘 나가던 중국 온라인 쇼핑몰 모델이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수용소에 수감됐다.

www.bbc.com

 

-단어정리-

 

Uighurs 위구르족

Glimpse 넌지시 알아차리기

Internment 억류기간

Flaunt 과시하다

Slick 대중잡지의

Glitzy 화려한

Backdrop 배경막

Swollen 부어오른

Handcuffs 수갑

Accompany 덧붙이다

Detention 감금

Allegation 주장

Repent 후회하다

Surrender 항복하다

conviction 유죄판결

Persecute 박해하다

Riot 폭동

Shackles 족쇄

Epidemic 만연

Authenticity 신뢰성 확실성

Testimony 증거

Interrogation 심문

 

경제공부 TESAT 49회

한국경제신문

 

규모의 경제

 

기업이 생산량을 증가시킬 때 생산요소의 투입비율이 변하는 경우까지 포함 장기평균비용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

규모의 경제는 산출량의 증가 비율이 생산요소의 증가 비율보다 큰 경우에 발생하는 규모에 대한 수익체증을 포함하는 개념

 

규모의 경제가 발생할 경우, 산출량이 증가하면 장기평균비용이 감소. 규모의 경제는 생산 규모가 커질수록 생산 비용이 낮아지기 때문에 자연독점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반면, 기업의 생산 규모가 너무 커지면 장기평균비용이 상승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규모의 불경제라고 한다.

 

효율임금이론

 

시장균형 임금보다 높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보는 이론

 

효율임금이론에서는 실질임금과 노동자의 노력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가정한다.

생산성이 임금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임금이 생산성을 결정한다고 본다.

 

기업이 시장균형 임금보다 높은 효율임금을 지급하면 노동자의 생산성이 높아지므로

오히려 효율임금을 지급하는 것이 이윤극대화에 부합된다.

 

효율임금을 지급함으로써 숙련된 노동자의 이직률이 낮아지고, 근로 열의가 높아지며, 건강상태 개선, 노동자의 직무태만 방지, 우수한 인재를 채용할 수 있다

 

 

완전경쟁시장

 

모든 기업이 동질적인 재화를 생산한다. 재화의 품질뿐만 아니라 판매조건, 기타 서비스 등 모든 것이 동일하다.

따라서 소비자가 특정 생산자를 특별히 선호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수의 소비자와 생산자가 시장 내에 존재하여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 가격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는 가격수용자(price taker)이다.

 

또한 진입과 퇴출이 자유롭다. 완전경쟁시장은 경제주체들이 가격 등 시장에 관한 완전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코즈의 정리

 

소유권이 잘 확립되고 거래비용이 없을 때 시장 참여자가 자발적인 협상을 통해 외부성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미국 경제학자 로널드 코즈가 1937년 발표한 논문 ‘기업의 본성’에서 처음으로 제기했다.

 

코즈의 정리는 부정적 외부효과뿐만 아니라 긍정적 외부효과에 대해서도 작동하며, 협상 등에 필요한 거래 비용이 크거나 이해 당사자가 많으면 협상이 이루어지기 힘들어 진다.

 

또한, 외부 효과를 일으키는 행위에 대한 법적 권리가 누구에게 있는지에 상관없이 협상을 통해 모든 사람이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진행되어 시장은 효율적인 결과에 도달할 수 있다.

 

핌피현상

 

‘Please in my front yard’의 이니셜을 딴 것이다. 핌피 현상이란 수익성 있는 사업을 내 지방에 유치하겠다는 것으로 지역이기주의의 일종이다. 핵시설이나 쓰레기 매립장 등 혐오시설은 절대로 내고장에 둘 수 없다는 님비 현상(not in my back yard : NIMBY)와 정반대 개념이지만 지역이기주의란 점에서는 똑같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방자치시대가 열리면서 핌피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가맹국들이 공동의 기금을 만들어 회원국들이 이용케 함으로써 각국의 외화자금 부족을 덜고 외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1947년 3월 설립됐다. 브레턴우즈 협정에 설립근거를 두고 있으며 본부는 미국 워싱턴이다. 세계은행(IBRD)과 함께 2대 국제금융기구로 꼽히며 가맹국은 각각의 출자금에 비례, 총회에서 의결권을 갖는다.

 

구제금융

 

국가나 기업 등이 도산해 세계경제나 국민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될 경우, 도산을 방지할 목적으로 융자해 주는 자금을 가리킨다. 구제금융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신규로 자금을 융자해 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미 대출해 준 자금의 상환 시기를 늦추어 줌으로써 해당 주체가 되살아 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다.

 

정부지출을 늘릴 경우 정부지출 승수를 구하는 공식은 1/(1-한계소비성향)이다. ‘승수’란 독립지출이 변화할 때 균형국민소득이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다.

 

여기서 한계소비성향이 3/4이므로 승수는 1/(1-0.75)=4가 된다. 이 경우 정부지출이 2000억 원 증가하면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8,000억 원이 증가한다. 즉, 2000/(1-0.75)=8,000억 원 증가한다는 의미다. 승수효과에 따르면 한계소비성향이 증가할수록 정부재정지출 증가에 대한 총수요 증가분은 커진다

 

 

망중립성

 

통신사 등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가 특정 콘텐츠나 인터넷 기업을 차별하는 것을 금지하는 정책이다. 망중립성은 인터넷 기업인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넷플릭스 등이 거대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주된 배경 중 하나다.

 

통신사업자가 구축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엄청난 트래픽을 유발하며 성장했지만 접속료 외의 추가비용은 내지 않아도 됐다. 구글, 아마존 등은 “망중립성이 없어지면 ISP들이 소비자에게 전달될 콘텐츠에 대한 게이트키핑 역할을 할 것”이라며 폐지에 반대하며 망중립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국 중앙은행(Fed)

 

지속적인 정책금리 인상은 소규모 개방경제인 한국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데 한·미간 금리차가 점차적으로 커지면 원화가치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게 된다. 원화가치 하락은 원/달러 환율이 상승함을 의미한다.

 

환율이 상승하면 원화표시 수입품의 가격이 상승하여 국내물가를 상승시킨다. 또한, 한국은 자본유출에 대한 우려로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압력이 발생한다. 한국의 기준금리도 미국 정책금리 인상에 맞춰 인상을 하면 국내 가계부채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마찰적 실업

 

노동자가 일자리를 바꾸거나 이사를 가고 경제적 활동을 재배치하는 등 노동력의 수요와 공급이 일시적으로 불균형상태를 이루는 정상적이고 회피 불가능한 실업을 의미한다. 마찰적 실업은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탐색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발생하므로 탐색적 실업이라고도 한다.

 

노동자들이 가진 능력이 다르고, 각 일자리가 요구하는 노동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완전고용 상태에서도 마찰적 실업은 존재한다. 일자리에 관한 정보망의 확충 등을 통해 마찰적 실업을 줄일 수는 있다. 산업구조 개편 등 경제구조의 변화로 발생하는 실업은 구조적 실업이다.

 

 

국가공인 한경 TESAT

한경 테샛, 국가공인 한경 TESAT, 테샛, 주니어 테샛, 한국경제신문, 경제이해력검증시험, 문제유형, 평가방법, 신청방법 등 제공

www.tesat.or.kr

 


오늘의 공부 ; 위구르족 (BBC) / TESAT 49회(경제) / 20.08.06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