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르비아는 남동유럽의 발칸반도 중앙의 판노니아 평원에 위치하며 구 유고 연방에서 분리독립한 내륙국이다. 수도는 베오그라드(Београд / Beograd)인데 영어로는 벨그레이드(Belgrade)라고도 한다.

1992년 공산주의가 붕괴하자 이후 세르비아도 변화를 겪어 통제경제에서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였다. 하지만 유고슬라비아 내전의 혼란 속에서 경제에 금이 가기 시작했고 여기에 UN 등 국제사회의 경제제재로 완전히 몰락하게 된다.

2003년에서 2004년 사이에 세르비아는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가지 노력을 하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국유재산 민영화와 외자유치이다. 하지만 이 정책은 실패하였고 무역적자는 증가했다

알바니아와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등 4개국이 단일 경제시장을 만드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부정부패로 인해 경제개발이 수월하지 않고 세르비아 마피아들과 연관된 부패 스캔들이 많다.

세르비아는 명시적으로 의회는 단원제, 행정부는 의원내각제를 구성하고 있다. 세르비아의 의회는 국민의회(Народна скупштина / Narodna skupština)라고 한다.

세르비아 국민의회는 250석이며, 명시적으로 126석 이상을 차지해야 내각을 구성할 수 있다. 세르비아의 의회는 재적 단순 과반수로 모든 것을 의결할 수 있다. 헌법 개정안도 의회 과반수 찬성을 한 이후 국민투표를 통과시키면 된다. 개헌 과정에서 세르비아의 대통령은 아무것도 관여할 수 없다.

세르비아는 100% 비례대표제를 채택하고 있다. 정당명부 비례대표이며, 정당명부 순위는 정당 내부의 전당원투표 경선으로 정하도록 정해져 있다.

세르비아의 대통령은 의회의 투표가 아닌 국민 직선제로 선출한다. 세르비아 대통령은 세르비아 의회의 안건에 대해 1회에 한해 거부권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해도 의회의 재의결 허들이 높아지거나 하지 않는다. 그래서 세르비아 대통령의 거부권은 사실상 봉쇄당한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세르비아의 정치는 전형적인 의회제를 따르고 있다.

세르비아는 인구 대비 총기 수가 세계 5위다. * 다만 1위 미국에 비해서는 총기 문제가 덜한 편. 물론 미국이 연간 1만 명씩 총기 범죄/사고로 사망하는 만큼, 소국에서 벌어지는 내전 수준의 규모로 문제가 심각한 탓도 있기는 하다. 그렇게 총기가 많은 미국조차도 전세계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아가듯, 세르비아도 일반 관광객 수준에서 문제가 있을 정도로 전체적인 치안이 나쁜 나라는 아니다.

한편 이 나라의 탄약 회사인 프르비 파르티잔(Prvi Partizan)도 상당히 큰 규모의 탄약 회사인데, 현대에 널리 쓰이는 주요 탄약부터 구식 총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탄약에 이르기까지 여러 종류의 탄약을 생산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세르비아 마피아들의 범죄가 세계적으로 악명 높다. 과거 내전 당시 많은 민병대들이 마피아와 구분하기 어려웠으며 잔혹한 만행을 많이 저질렀다.

2003년 조란 진지치 총리가 세르비아 마피아의 총격에 암살당한 사건이 벌어지고, 정부의 강력한 대규모 조직 범죄 단속에 현재는 다소 약화된 편이다.

이런 세르비아 마피아들과 정부 고위 관료들과의 부정부패 문제도 고질적이다. 2021년에도 알렉산다르 부치치 대통령과 벨리부크 클랜과의 커넥션 문제가 또 다시 수면위로 떠올라서 세르비아 정계의 스캔들로 비화되었다. 부치치 대통령은 대거 검거된 벨리부크 클랜이 궁지에 몰려서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일축하는 중이다.

다만 전세계의 마피아, 야쿠자, 조폭 등이 대개 그렇듯, 지나가는 일반 외국인 관광객 개개인까지 굳이 건드리지 않기 때문에 세르비아를 방문하는 개인 레벨에서 큰 문제가 되는 정도는 아니다.

 

지금은 민주화가 이루어졌고 사회도 안정됐지만 과거사 문제 때문에 국제 사회에서는 부정적 이미지가 팽배하다. 이는 세르비아군이 유고슬라비아 내전(특히 보스니아 내전과 코소보 내전) 당시 보스니아와 크로아티아, 코소보 등지에서 대량학살, 집단 강간 등 온갖 잔악한 전쟁범죄를 일삼았기 때문이다.

이런 전쟁범죄는 당시 세르비아의 독재자였던 인간도살자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보스니아 내전 당시에는 인종학살 문제로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과 1994 미국 월드컵에 출전을 금지당한 적도 있었다.

물론 세르비아인들 입장에서 슬픈 역사가 없는것은 아니다. 중세시대에는 코소보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에 처절하게 맞서 싸우다 멸망했으며, 독립한 이후에도 러시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 외세의 간섭을 받았고,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크로아티아인들에게 학살당한 과거또한 존재한다.

다만 여전히 현존하는 문제인 코소보 문제와 주변국과의 과거사 문제에서 유연한 자세를 보여주지 않고 반성하지 않는 점은 여전히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밀로셰비치가 축출된 이후에도 모든 세르비아 유력 정치인들이 쭉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들과 화해를 추구하기보다는 대세르비아주의를 내세우는 민족주의자들이었다. 물론 현실주의에 입각해서 오브차라 학살이나 스레브레니차 학살 같은 구 유고 전쟁 시기에 세르비아계 측이 저질렀던 학살 범죄 행위에 대해서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게 사과하기도 했다.

보스니아 내전에서 보스니아를 거의 점령할 뻔했지만 NATO의 개입으로 전황이 한순간에 뒤집혔기 때문에,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은 친러 성향을 보인다.

어쨌든 역사에 관심 있는 학생이라면 보통 세르비아의 존재를 제1차 세계대전을 통해 알게 되고, 그래서 프란츠 페르디난트가 암살당한 사라예보를 수도로 착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카더라. 사라예보는 세르비아의 수도가 아니라 당시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휘하였던 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4&pagePerCnt=10&SITE_NO=3&MENU_ID=260&CONTENTS_NO=1&bbsGbn=302&bbsSn=302&pNttSn=201550&recordCountPerPage=10&viewType=&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sSearchVal=#;

인구

6,871,547 명 2021년, 세계 106위

경제 규모(명목 GDP)

604억 3,500만 달러(약 69조 원) 2021년, 세계 86위

경제 규모(PPP)

1,195억 3,200만 달러(약 137조 원) 2021년, 세계 85위

1인당 명목 GDP

8,748 달러 2021년, 세계 96위

1인당 PPP

20,545 달러 2021년, 세계 92위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71.0%

실업률 12.8%

1992년 공산주의가 붕괴하자 이후 세르비아도 변화를 겪어 통제경제에서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였다. 하지만 유고슬라비아 내전의 혼란 속에서 경제에 금이 가기 시작했고 여기에 UN 등 국제사회의 경제제재로 완전히 몰락하게 된다.

2003년에서 2004년 사이에 세르비아는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가지 노력을 하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국유재산 민영화와 외자유치이다. 하지만 이 정책은 실패하였고 무역적자는 증가했다

알바니아와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등 4개국이 단일 경제시장을 만드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부정부패로 인해 경제개발이 수월하지 않고 세르비아 마피아들과 연관된 부패 스캔들이 많다.

세르비아는 명시적으로 의회는 단원제, 행정부는 의원내각제를 구성하고 있다. 세르비아의 의회는 국민의회(Народна скупштина / Narodna skupština)라고 한다.

세르비아 국민의회는 250석이며, 명시적으로 126석 이상을 차지해야 내각을 구성할 수 있다. 세르비아의 의회는 재적 단순 과반수로 모든 것을 의결할 수 있다. 헌법 개정안도 의회 과반수 찬성을 한 이후 국민투표를 통과시키면 된다.

개헌 과정에서 세르비아의 대통령은 아무것도 관여할 수 없다. 세르비아는 100% 비례대표제를 채택하고 있다. 정당명부 비례대표이며, 정당명부 순위는 정당 내부의 전당원투표 경선으로 정하도록 정해져 있다.

국가명 세르비아공화국(Republic of Serbia) / 수도 베오그라드(Belgrade) / 인구 679만 명 (2022년 1월 기준) / 면적 77,474 ㎢

○ 한국수출입은행 통계 기준 한국의 세르비아에 대한 투자는 2021년 말 현재 2,304만 불에 달함

- 현지법인 재투자 포함 총 투자금액은 약 2.1억 유로에 달함

- 최근 동유럽 V4국가(비세그라드 그룹)의 높은 임금 상승률과 구직난으로 인해 세르비아에 대한 투자 진출을 검토하는 기업 증가세

* V4국가 : 비세그라드(Visegrad)국가는 비약적 경제성장을 이룬 동유럽 4개 국가(폴란드, 헝가리, 체코, 슬로바키아) 지칭

세르비아는 소량, 다품종 주문시장이며 제조 기반이 약해 높은 수입 의존도를 보임. 단순 유통구조로 수입상이 도매상 또는 판매점을 겸하는 경우가 많으며 인근국가인 몬테네그로, 마케도니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등으로 재판매하는 수입상이 증가하는 추세임.

https://www.voakorea.com/a/7154704.html

세르비아와 코소보는 지난 2008년 코소보의 독립 선언 이후 분쟁을 계속해 왔으며, 양측은 지난 3월 EU 중재 하에 관계 정상화를 위한 계획에 합의한 바 있습니다.

■ 번호판 문제 충돌

최근 양측의 분쟁이 다시 격화하는 상황입니다.

지난해 7월 코소보 정부가 북부의 세르비아계 주민에게 세르비아에서 발급한 차량번호판 사용을 금지하자,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했습니다.

세르비아계 경찰 600명과 판검사들도 집단 사퇴했습니다. 연말에는 세르비아계 주민들이 도로를 막고 경찰과 총격전을 벌이는 사건도 발생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지난해 11월, 세르비아계 시장 4명이 집단 사퇴했습니다.

코소보 정부는 이 사태로 공석이 된 시장을 채우려 지난 4월 23일 북부 4곳의 시장 선거를 진행했습니다.

코소보의 민족 구성은 알바니아계가 다수지만 북부 등 일부 지역에선 세르비아계가 인구의 90%를 넘습니다.

정상적인 선거라면, 코소보 내 최대 세르비아계 정당인 ‘세르비아 리스트’가 내세우는 후보가 당선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이 정당을 이끄는 알렉산다르 야블라노비치는 선거 직전인 4월20일 코소보 정부가 세르비아계 주민들을 박해하고 있다며 투표 보이콧을 선언했습니다.

다수 주민의 선거 불참 경고에도 코소보 정부는 선거를 진행했습니다.

4개 지역 모두 투표율이 한자리수에 머문 가운데, 당선된 알바니아계 시장들은 취임을 강행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주민들과의 충돌이 발생했고, 세르비아계가 주도하는 시위는 코소보 북부 지역 곳곳으로 확대했습니다.

그러자 세르비아 정부는 지난달 29일 군에 최고 경계령을 내리고 코소보 접경지대로 병력을 배치했습니다.

밀로시 부체비치 세르비아 국방장관은 이틀 뒤인 31일 국경에 배치된 군 병력을 점검한 뒤 세르비아군이 "코소보 내 세르비아계 주민들이 공격받으면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쿠르티 총리는 "세르비아 정부가 폭력 갱들을 사주해 폭력을 부추기고 있다"며 "파시스트 극우 민족주의자들의 위협에 굴하지 않고 법치를 실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양쪽 사이에 신경전이 거세지자 나토가 나서 700명 병력을 증파해, 코소보의 평화유지군은 4천500명으로 늘어났습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08790

지난달 29일에는 코소보 북부 즈베찬에서 세르비아계 주민들이 알바니아계 시장의 출근을 저지하는 과정에서 북대서양조약기구 NATO 평화유지군과 충돌해 나토 평화유지군 약 30명과 세르비아계 주민 52명이 다쳤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europe/1095650.html

옛 유고슬라비아연방 시절 세르비아 내 자치주였던 코소보는 주민의 92%가 알바니아계이다. 하지만, 세르비아인들은 코소보를 ‘민족의 발원지’이자 국가와 종교의 심장으로 간주한다. 세르비아의 많은 중세 정교회 수도원이 코소보에 있다. 유럽으로 침공한 오스만 제국에 항쟁한 1389년 ‘코소보 전투’는 세르비아 민족주의의 상징이다.

이런 이유로 1990년대 초 유고연방이 해체된 뒤 세르비아 정부는 1998~1999년 분리독립을 시도하는 코소보의 알바니아계 분리주의 세력을 잔인하게 진압했다. 이 과정에서 인종학살이 발생해 1만3천여명이 숨졌다.

결국 나토가 물리적 개입에 나섰다. 나토의 개입은 1999년 5월7일 세르비아 수도 주재 중국대사관까지 폭격할 정도로 격렬했다. 세르비아는 결국 1999년 코소보에서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코소보는 2008년 2월 유엔·미국·서유럽 등의 승인 아래 독립을 선포했다. 하지만, 분쟁 당사국인 세르비아뿐 아니라 러시아·중국, 유럽연합(EU) 내에서도 스페인·그리스·키프로스·루마니아·슬로바키아 등 5개국은 아직 이를 승인하지 않고 있다.

알바니아 역시 코소보를 민족적 기원지로 본다. 오스만 제국에 정복당한 코소보로 알바니아계 주민들이 이주해 무슬림으로 개종한 뒤 다수 주민이 됐다. 19세기 말부터 이 지역에서 알바니아계 주민 봉기가 일어나며 민족주의 운동의 중심지가 됐다.

문제는 코소보 북부 등 세르비아계 주민이 다수인 지역이다. 이 지역에선 코소보 독립 이후 아슬아슬한 긴장이 이어지는 중이다.

결국 유럽연합이 중재한 2013년 4월 브뤼셀 협정을 통해 코소보 내 세르비아계 다수 지역에선 ‘세르비아 자치단체 공동체’를 결성해 고도의 자치를 하기로 정했다.

이번에 분쟁이 벌어진, 북부의 즈베찬·주빈포토크·레포사비치 등 10개 도시가 이에 속한다. 하지만, 자치의 수준과 범위를 둘러싼 이견으로 여태까지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 코소보는 브뤼셀 협정에 부합되는 지방자치단체 권력 구성에 소극적이었고, 세르비아계 주민들은 지자체 선거 등을 거부해왔다.

코소보 분쟁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닮은꼴이다. 우크라이나가 소비에트연방(소련)의 해체로 1991년 12월 분리독립한 뒤 러시아계가 다수인 돈바스와 크림반도 지역 내에서 갈등이 고조되며 전쟁이 터졌다. 러시아와 세르비아는 우크라이나와 코소보가 독립한 것처럼, 우크라이나와 코소보에서 슬라브계 주민이 다수인 지역도 독립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우크라이나에서는 이 갈등이 제어되지 못하고 2014년 3월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그해 여름 돈바스 내전을 거쳐 2022년 2월 말 전면전쟁으로 확대됐다. 이런 갈등을 막기 위해 2014년·2015년 러시아계가 다수인 돈바스 지역에서 고도의 자치를 허용하는 민스크 협정이 두차례 맺어졌으나, 지켜지지 않고 전쟁으로 비화됐다.

코소보 분쟁도 세르비아계 다수 지역의 고도 자치를 규정한 브뤼셀 협정이 실현되지 못하며 갈등이 무력충돌로 번지고 있다.

역사를 더 거슬러 오르면, 세르비아는 20세기 초 범슬라브주의의 핵심으로 발칸 지역에서 범게르만주의와 대립하다가 1차 세계대전의 방아쇠를 당겼다. 러시아는 옛 유고연방 해체 이후 세르비아를 지속적으로 지지했다. 세르비아와 러시아는 2021년 104번이나 연합군사훈련을 할 정도로 긴밀한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해 말 번호판 문제로 북부 지역의 갈등이 커지자, 쿠르티 총리는 “러시아가 세르비아군을 통해 전쟁 도발 행위를 발칸반도로 확대할 수 있다는 게 서방 국가들이 우려하는 바”라고 말했다.

 
반응형

+ Recent posts